[미의식][한국 미의식][일본 미의식][자연주의적 미의식][전통주의적 미의식][서민가사 미의식][자연주의][전통주의]한국의 미의식, 일본의 미의식, 자연주의적 미의식, 전통주의적 미의식, 서민가사의 미의식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의식][한국 미의식][일본 미의식][자연주의적 미의식][전통주의적 미의식][서민가사 미의식][자연주의][전통주의]한국의 미의식, 일본의 미의식, 자연주의적 미의식, 전통주의적 미의식, 서민가사의 미의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의 미의식

Ⅱ. 일본의 미의식
1. 소외의식과 미의식
2. 소멸과 미의식

Ⅲ. 자연주의적 미의식

Ⅳ. 전통주의적 미의식
1. 무교 사상적 배경
2. 음양오행 사상적 배경
3. 자연주의 사상적 배경
4. 유․불․선 사상적 배경

Ⅴ. 서민가사의 미의식
1. 우아미
2. 비극미
1) 갑민가
2) 거창가
3. 희극미
1) 용부가
2) 우부가
3) 거사가
4) 오섬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을 알 수 있다.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 온 원리로 천문현상이나 인체에서 연유된다. 중국의 최고의 신화집이자 지리서인《산해경山海經》에 실려 있는 다음과 같은 글귀에서 고대 동양인의 우주관을 엿볼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은 공간 사이에 있고,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해와 달과 별들이 영향을 미치며
계절의 순환, 세월의 흐름 속에 만물이 변한다.
하늘에는 해와 달의 항성과 다섯 개의 행성인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오성五星이 있다. 이것은 지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장으로서 태양은 빛을 통해 주야晝夜라는 양기陽氣의 변화를 주도하고 달은 인력을 통해 음형陰形의 변화를 주도한다. 즉 일월日月은 음양陰陽을 낳는다. 또한 오성이 일으키는 에너지의 장은 장구한 세월동안 반복하며 단련시켜서 지상의 존재들인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라고 부른 다섯 가지 원소의 오행五行을 낳는다.
즉 우주와 인간의 모든 현상은 음양 두 원리로 이루어지며, 이 음양의 영향을 받아 삼라만상이 생성 소멸된다. 이것이 오행으로서 목화토금수의 변전變轉이다. 이에 따라 한해의 시작인 동지를 음, 한해의 중간인 하지를 양으로 표현할 수 있다. 춘분은 목, 하지는 화, 추분은 금, 동지는 수로 표현되고, 토는 변화를 일으키는 사계의 바탕이 된다.
3. 자연주의 사상적 배경
자연은 사상, 종교와 더불어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양에서 예술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회화사에서는 산수화의 개념이나 주요 미학사상이 모두 자연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미술의 무작위 정신에 기인한 미술전반의 미의식이나 도자기의 청색과 백색의 미, 미려한 곡선과 수많은 문양에서 자연에 대한 탐미정신을 쉽게 읽을 수 있다.
우리민족은 고대인의 특성 중의 하나인 태양숭배와 경천사상에 따라 고유한 사상을 형성하였는데, 은 곧 백을 뜻하여 흰색을 신성한 색으로 다루게 되었다. 흰색은 물감을 들인 색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원색이라는 의미에서 흰색은 무색이며, 무색은 곧 자연 그 자체이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에 동화하며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을 올바른 삶이라 믿어왔던 결과이다. 이것은 한국미술의 바탕을 흐르는 자연주의 형성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우리나라의 완만하고 둥근 형태와 부드러운 곡선으로 변화된 노년기성의 지형은 우리들의 심상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자연은 심리적 긴장을 안정시키는 적당한 볼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균형감을 갖게 한다. 예를 들어 한국의 정원은 자연의 연장으로서, 인간이 만들었다는 느낌을 최대한 배제하여 자연으로 회귀시켰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중국과 일본의 정원은 그 규모에서 차이가 있지만 인간의 기술과 논리적 꾸밈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재구성한 인위자연이다. 한국의 건축은 뒷산과 터를 기묘하게 이용함으로써 뒷산을 닮아 있다. 자연의 흐름을 깨트리지 않고 인위의 건축과 천연의 봉우리가 조화를 이루어 천연스럽게 살아가도록 하는 마음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4. 유불선 사상적 배경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로부터 중국의 한나라에서 유儒불佛도道의 사상을 받아들여 사고와 생활에 적용하였다. 《삼국사기》 진흥왕 37년조에 최치원의 난랑비鸞郞碑서문에는 “나라에 현묘지도玄妙之道가 있으니 이것을 풍류라고 하였다. 이 교를 창설한 내력은 선사仙史에 상세히 밝혀져 있는데, 실제적으로 유불선의 삼교를 포괄하여 중생을 교화하자는 것이다.라고 기록되어있다. 신라시대 우리 민족의 미의식에 종교적 영향이 매우 컸음을 시사하는 글이다. 한국의 본격적인 미술활동이 종교이념을 외형으로 하여 시작되었음은 물론이고, 현재 남아있는 전통유물 중 많은 수가 불교적 종교이념에 관련되어있다.
유교는 조선시대의 중심적 통치 이념으로서, 회화를 비롯한 모든 미술분야에 성리학의 영향이 강하게 미쳤다. 이기론의 철학과 사상은 정신적 내면성을 표상하는 실천적 인간학으로서, 한국예술의 특질을 마음과 뜻과 행위의 일체를 이루는 실천적 가치에 두고 있다. 한국의 미적 특징들인 소박성 혹은 무작위성, 투명성과 익명성, 관념성 등의 조형상의 특징은 규범 철학적 성격이 강했던 조선시대에 더욱 두드러진 것이다. 즉 화려한 색채와 기교, 장식보다는 검소하고 경쾌하면서 실용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져서 조야하다고 할 정도로 무식無飾 무화無華의 조선적인 미술로 전개되었다.
Ⅴ. 서민가사의 미의식
1. 우아미
우아미는 ‘현실적인 것’에 의한 ‘이상적인 것’의 융합으로 조화를 이룰 때 나타나는 미이다. 즉, ‘이상적인 것’보다 ‘현실적인 것’이 우세한 상황에서 ‘현실적인 것’을 추구할 때 우아미가 具現된다. 이러한 서민가사로는 <농부가Ⅰ> <농부가Ⅱ> <농부가Ⅲ> <용가> <치산가Ⅰ> <치산가Ⅱ> <명당가> <양신화답가> <유산가> <새타령> 등이 있다.
<농부가Ⅰ,Ⅱ,Ⅲ>은 모두 다 자신들이 士民과는 달리 농민이라는 사실을 자각하고 주어진 환경 속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을 읊은 작품인데 농민으로써 마땅히 해야 할 것과 현실적으로 이들이 하는 생활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우아미를 표출하고 있다. ‘우리는 글못배와 범민쥰슈 못될’것 임을 알고 ‘차라리 밧츨갈아 부모봉양 하오리라’고 생각해서 밤이 오면 잠간 쉬고 잠을 깨면 일터로 나가서 못자리하고 보리 베고 모심고 가꾸어서 가을이면 나락베어 타작하고 콩도 꺾고 면화도 따서 겨울준비를 한다. 단순히 괴로운 노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술 먹고 노래 부르고 춤추며 마음껏 즐기기도 하고 수수떡, 강엿, 인절미를 만들어 먹고 꿀을 받아 부모를 정성껏 모시기도 한다.
2. 비극미
비극미는 ‘현실적인 것’과 ‘이상적인 것’이 갈등을 이루면서 ‘현실적인 것’을 부정하고 ‘이상적인 것’을 긍정할 때 표출된다. 즉 ‘이상적인 것’보다 ‘현실적인 것’이 우세한 상황에서 전자를 추구하려 할 때 나타나는 미이다. 여기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갑민가> <거창가> <기음노래> <합강정가> <한시절곡> <과부가> <관등가> <과부청산가> <청상가> <청춘과부곡> <단장이별곡Ⅰ> <고상사곡> <사미인곡> <사미인곡> <사랑가> <상사별곡> <상사진정몽가> <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