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병렬(병렬연결)과 병렬발전기
Ⅱ. 병렬(병렬연결)과 병렬처리시스템
1. 메모리 구조에 따른 분류
2. 프로그램 실행 방식에 따른 분류(Flynn의 분류)
3. 처리 노드들의 동질성 여부에 따른 분류
4. 상호 연결망의 특성에 따라
Ⅲ. 병렬(병렬연결)과 RLC병렬회로
Ⅳ. 병렬(병렬연결)과 상호변환
Ⅴ. 병렬(병렬연결)과 병렬그래프 감축기
참고문헌
Ⅱ. 병렬(병렬연결)과 병렬처리시스템
1. 메모리 구조에 따른 분류
2. 프로그램 실행 방식에 따른 분류(Flynn의 분류)
3. 처리 노드들의 동질성 여부에 따른 분류
4. 상호 연결망의 특성에 따라
Ⅲ. 병렬(병렬연결)과 RLC병렬회로
Ⅳ. 병렬(병렬연결)과 상호변환
Ⅴ. 병렬(병렬연결)과 병렬그래프 감축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큼 돌린다면 레지스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Ⅴ. 병렬(병렬연결)과 병렬그래프 감축기
다음에서 논하는 관련 모델은 모두 기존의 공유 메모리를 가진 병렬 컴퓨터상에서 수행되는 모델로서, 프로그램 상의 임의의 함수 호출에 대하여 병렬 타스크를 생성시킨다. 많은 병렬 그래프 감축기는 주로 프로그램의 정적 분석에 의한 정보를 바탕으로 설계되었다[AuJo89, Burn91, Geor89, Gold88].-기계[AuJo89]는 계산에 필요한 스택을 팩 영역 즉 그래프 노드에 두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병렬 그래프 감축기이다. 이는 병렬 그래프 감축기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만든다. 이때, 하나의 그래프 노드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번역시 하나의 함수에 대하여 필요한 스택의 양을 미리 계산해야 하는데, 함수 인자가 수행할 함수가 되는 고차 함수의 경우 어려운 문제가 된다. 그리고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nfib 함수처럼 하나의 타스크로서 수행되는 함수의 입자 크기가 작으면서 많은 병렬성을 가지는 함수에 대해서는 그 효율이 지나치게 떨어진다. 이는 병렬 타스크의 제어가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번역시 추상 수행 기법(abstract interpretation)을 통해서 함수의 각 인자가 계산되어야 할 양을 결정해서 이를 바탕으로 병렬 그래프 감축기를 설계하는 것이다[Burn88b, Burn 91]. 설계된 모델에 대한 구현 및 성능 분석은 아직 보지 못했으나 함수 언어의 구현에 관하여 앞선 모델중의 하나이다. Goldberg는 프로그램 번역시 추출한 타스크 생성 및 동기화 시점에 관한 정보를 원시 프로그램에 추가해서(그 결과를 순차 콤비네이터라 한다) 순차 콤비네이터의 집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병렬 그래프 감축기를 설계하였다[Gold88]. 설계된 모델 중 공유 메모리를 가지는 감축기는 그래프 노드상에 많은 정보로 인하여 그래프 관리에 대한 오버헤드가 클 수 있고, 제안된 2-레벨 스케줄링 기법은 병렬성이 높을 때 높은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병렬 처리 시에도 지연 의미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할 그래프 노드에 대한 배타적인 접근을 해야 하는데, 보통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그래프 노드에 특정 필드를 두어서 이 필드의 값에 의해서 잠금(lock) 및 잠금 해제(unlock) 연산을 구현한다. 이진 그래프 노드를 사용한 G-기계의 직접적인 확장 모델[Geor89, NoPl87]은 많은 중간 그래프 노드에 대한 잠금 및 잠금 해제를 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보통 타스크 생성에 관하여 정적인 분석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yt89]. 이러한 사실을 고려해서 그래프 노드에 별도의 필드를 추가해서 실행 모델에서 타스크의 입자 크기를 동적으로 증대시키는 방안도 제시되었다[Geor89]. 제시된 타스크 생성 및 제어 모델은 순차 콤비네이터[GoPu85]의 개념과 유사하나 입자 크기의 불균형에 관하여 명확하지 않고, 시스템 내에 병렬성이 많을 때 불필요한 수행 보류가 생길 수 있다.
참고문헌
* 고윤석(2005), 부품이 실장된 전자회로보드의 RLC 병렬회로 검사기법에 대한 연구, 대한전기학회
* 김철환(2007), 단백질간 상호작용의 병렬 예측 시스템, 한국외국어대학교
* 김영자(1993), 병렬 그래프 감축기의 설계 및 구현, 경상대학교
* 오진석(1998), 발전기 병렬운전을 위한 위상시스템 설계, 한국해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이민경 외 1명(2008), 분산 멀티미디어 병렬처리 시스템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 이철희 외 1명(2012), 병렬처리를 통한 정규혼합분포의 추정, 한국통계학회
Ⅴ. 병렬(병렬연결)과 병렬그래프 감축기
다음에서 논하는 관련 모델은 모두 기존의 공유 메모리를 가진 병렬 컴퓨터상에서 수행되는 모델로서, 프로그램 상의 임의의 함수 호출에 대하여 병렬 타스크를 생성시킨다. 많은 병렬 그래프 감축기는 주로 프로그램의 정적 분석에 의한 정보를 바탕으로 설계되었다[AuJo89, Burn91, Geor89, Gold88].
병렬 처리 시에도 지연 의미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할 그래프 노드에 대한 배타적인 접근을 해야 하는데, 보통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그래프 노드에 특정 필드를 두어서 이 필드의 값에 의해서 잠금(lock) 및 잠금 해제(unlock) 연산을 구현한다. 이진 그래프 노드를 사용한 G-기계의 직접적인 확장 모델[Geor89, NoPl87]은 많은 중간 그래프 노드에 대한 잠금 및 잠금 해제를 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보통 타스크 생성에 관하여 정적인 분석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yt89]. 이러한 사실을 고려해서 그래프 노드에 별도의 필드를 추가해서 실행 모델에서 타스크의 입자 크기를 동적으로 증대시키는 방안도 제시되었다[Geor89]. 제시된 타스크 생성 및 제어 모델은 순차 콤비네이터[GoPu85]의 개념과 유사하나 입자 크기의 불균형에 관하여 명확하지 않고, 시스템 내에 병렬성이 많을 때 불필요한 수행 보류가 생길 수 있다.
참고문헌
* 고윤석(2005), 부품이 실장된 전자회로보드의 RLC 병렬회로 검사기법에 대한 연구, 대한전기학회
* 김철환(2007), 단백질간 상호작용의 병렬 예측 시스템, 한국외국어대학교
* 김영자(1993), 병렬 그래프 감축기의 설계 및 구현, 경상대학교
* 오진석(1998), 발전기 병렬운전을 위한 위상시스템 설계, 한국해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이민경 외 1명(2008), 분산 멀티미디어 병렬처리 시스템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 이철희 외 1명(2012), 병렬처리를 통한 정규혼합분포의 추정, 한국통계학회
추천자료
옴의 법칙과 저항의 직병렬 연결
[IT와경영정보시스템]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직렬처리 및 병렬처리방식 분석과 소프트웨어...
디자이너관점 및 직렬에서 병렬로의 변환
저항의 직렬과 병렬 결과레포트
(IT와경영정보시스템)(1) 일반적인 컴퓨터의 처리 방식인 직렬처리 방식에 비해 병렬처리 방...
[기초회로실험]rc, rl, rlc 회로의 임피던스 및 전력 측정(예비)
단상변압기, 단권변압기 사전보고서 (단상 변압기의 극성, 변압기의 전압 변동율, 변압기의 ...
[예비] 전기전자실험 커패시터의 직병렬 연결
[예비] 전기전자실험 인덕터의 직병렬 연결
[결과] 전기전자실험 커패시터의 직병렬 연결
RLC 교류회로에서의 임피던스 : 교류회로에서 저항, 콘덴서, 코일에서의 저항 성분인 임피던...
태양전지 - 태양 전지의 직렬/병렬 특성. 태양 전지 종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분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