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소설가 강경애의 생애
Ⅲ. 소설가 강경애의 평가
Ⅳ. 소설가 강경애의 소설 소금 작품분석
Ⅴ. 소설가 강경애의 소설 인간 문제 작품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소설가 강경애의 생애
Ⅲ. 소설가 강경애의 평가
Ⅳ. 소설가 강경애의 소설 소금 작품분석
Ⅴ. 소설가 강경애의 소설 인간 문제 작품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기 장하일과 결혼해 간도 용정으로 이주한 강경애는 대부분의 소설을 간도에 머물면서 발표했고 <인간 문제>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는 조국의 현실을 누구보다도 정확히 주시하고 노동자들의 삶의 실상을 상세히 그렸다. 실제로 1929년의 원산 총파업을 전야제 삼은 30년대 전반기의 조선은 일제 강점기 전체를 통틀어 가장 활발한 노동운동의 개화를 보였다. 특히 1931년 초여름 평양 을밀대 지붕에서 고공투쟁을 벌여 유명해진 강주룡과 그의 동료들에게서 보듯 여성 노동자의 의식화와 조직화는 괄목상대할 정도였다.
국문학자 이상경(36)씨는 <인간 문제>의 장점으로 꼽히는 노동현장의 구체적인 묘사는 작가 자신의 체험에 힘입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지금까지 밝혀진 강경애의 연보에는 20년대 후반의 몇년간이 불확실한 채로 남아 있는데, 그 기간 동안 그가 인천에서 노동현장에 있었거나 적어도 외곽에서 지원하는 일을 했으리라는 것이다.
노동자들이 무리를 지어 쓸어나온다. 잠깐 동안에 수천 명이나 돼 보이는 노동자들이 축항을 둘러싸고 벌떼같이 와와 하며 떠들었다. 그들은 지게꾼이 절반이나 넘고 그 외에 손구루마를 끄는 사람, 창고로 쌀가마니를 메고 뛰어가는 사람, 몇 명씩 짝을 지어 목도로 짐을 나르는 사람, 늙은이, 젊은이, 어린애 할 것 없이 한 뭉치가 돼 서로 비비며 돌아가고 있다.
소설이 나온 뒤로 60여 년, 90년대 중반의 인천 부두에서 지게를 메거나 손수레를 끄는 수천 명의 노동자를 목격하기는 어렵게 됐다. 당시와는 비교도 할 수 없게 커진 부두에서 아직도 5천여 명의 노동자들이 이런저런 일을 하는 것으로 생계를 삼고 있지만, 그들은 기중기와 트럭 따위 힘센 기계의 일을 관리하고 보조하는 일에 치중할 뿐이다. 요즘 부두에서 흔히 보이는 것은 중국산 참깨와 옥수수, 밀 따위를 실어 오거나 수출용 자동차를 실어 내가는 대형 화물선, 그리고 중국과 인천을 오가는 페리 여객선 등이다.
소설 속 대동방적의 무대가 된 동일방직 역시 옛 모습을 거의 간직하고 있지 않다. 한때 수천 명에 이르렀던 노동자는 자동화 바람에 밀려 지금은 6백여 명 수준으로 줄었고 갈수록 줄고 있는 추세다. 1934년 일본 동양방적의 인천공장으로 출발해 해방 이후 한국인에게 불하된 동일방직은 70년대 민주노조 투쟁의 상징으로서도 명성을 날렸다. 구사대의 똥물 세례를 받고 1백 명이 넘는 노조원들이 해고를 당하면서도 민주노조를 지키고자 했던 노동자들의 싸움은 80년 신군부의 등장으로 된서리를 맞고 말았지만, 그들의 기개와 활약은 한국 노동운동사에 지울 수 없는 한 장으로 남아 있다.
이상경씨는 30년대의 <인간 문제>에서부터 70년대 동일방직 투쟁의 소산인 석정남의 르포 <공장의 불빛>, 그리고 80년대 노동소설의 대명사인 방현석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모두 인천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 만큼 한국의 노동문학과 인천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Ⅵ. 결론
강경애는 노력하는 작가였다. 그녀는 작품을 쓸 때는 파지(못쓰게 된 원고 종이)를 엄청나게 내고 자신의 체험으로부터 소재를 구하며 직접 답사를 해가면서 썼다. 그녀는 집필하는 외 여가만 있으면 공장에도 가보고 독립운동에 참가한 사람들도 만나보고 함으로서 소설의 리얼리티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작가였다. 그러한 사실적 묘사에 충실한 작품이 「지하촌」이다.
강경애는 농촌에서의 가난한 생활, 비극적인 민족 모순이 첨예하게 나타나는 간도에서의 생활 등, 식민지 조선의 현실과 정면으로 마주치게 되는 그러한 삶의 현장에 있었고 그녀가 이룩한 문학적 성과는 이에 바탕한 것이었다. 특히, 당시 여류작가로는 드물게 궁핍한 삶의 체험을 가졌고 국내의 다른 작가들과는 달리 간도라는 특수한 공간에서의 생활 체험을 가졌으며 또한 자신이 살아 낼 수밖에 없는 시대에 대한 치열한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문학사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이루지 않았나 싶다.
참고문헌
▷ 김원희(2011), 강경애 소금의 개념적 은유 접근 방법,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김원희(2010), 문학 교육을 위한 강경애 인간문제의 인지론적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 박구비(2012), 강경애 소설의 여성윤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 이은자(2011), 강경애 소설 연구 : 작품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 이선윤(2010), 강경애 소설의 주제적 특징과 교육방법 연구, 아주대학교
▷ 정원채(2009), 강경애의 소설에 나타난 지식인에 대한 인식, 한국현대소설학회
국문학자 이상경(36)씨는 <인간 문제>의 장점으로 꼽히는 노동현장의 구체적인 묘사는 작가 자신의 체험에 힘입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지금까지 밝혀진 강경애의 연보에는 20년대 후반의 몇년간이 불확실한 채로 남아 있는데, 그 기간 동안 그가 인천에서 노동현장에 있었거나 적어도 외곽에서 지원하는 일을 했으리라는 것이다.
노동자들이 무리를 지어 쓸어나온다. 잠깐 동안에 수천 명이나 돼 보이는 노동자들이 축항을 둘러싸고 벌떼같이 와와 하며 떠들었다. 그들은 지게꾼이 절반이나 넘고 그 외에 손구루마를 끄는 사람, 창고로 쌀가마니를 메고 뛰어가는 사람, 몇 명씩 짝을 지어 목도로 짐을 나르는 사람, 늙은이, 젊은이, 어린애 할 것 없이 한 뭉치가 돼 서로 비비며 돌아가고 있다.
소설이 나온 뒤로 60여 년, 90년대 중반의 인천 부두에서 지게를 메거나 손수레를 끄는 수천 명의 노동자를 목격하기는 어렵게 됐다. 당시와는 비교도 할 수 없게 커진 부두에서 아직도 5천여 명의 노동자들이 이런저런 일을 하는 것으로 생계를 삼고 있지만, 그들은 기중기와 트럭 따위 힘센 기계의 일을 관리하고 보조하는 일에 치중할 뿐이다. 요즘 부두에서 흔히 보이는 것은 중국산 참깨와 옥수수, 밀 따위를 실어 오거나 수출용 자동차를 실어 내가는 대형 화물선, 그리고 중국과 인천을 오가는 페리 여객선 등이다.
소설 속 대동방적의 무대가 된 동일방직 역시 옛 모습을 거의 간직하고 있지 않다. 한때 수천 명에 이르렀던 노동자는 자동화 바람에 밀려 지금은 6백여 명 수준으로 줄었고 갈수록 줄고 있는 추세다. 1934년 일본 동양방적의 인천공장으로 출발해 해방 이후 한국인에게 불하된 동일방직은 70년대 민주노조 투쟁의 상징으로서도 명성을 날렸다. 구사대의 똥물 세례를 받고 1백 명이 넘는 노조원들이 해고를 당하면서도 민주노조를 지키고자 했던 노동자들의 싸움은 80년 신군부의 등장으로 된서리를 맞고 말았지만, 그들의 기개와 활약은 한국 노동운동사에 지울 수 없는 한 장으로 남아 있다.
이상경씨는 30년대의 <인간 문제>에서부터 70년대 동일방직 투쟁의 소산인 석정남의 르포 <공장의 불빛>, 그리고 80년대 노동소설의 대명사인 방현석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모두 인천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 만큼 한국의 노동문학과 인천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Ⅵ. 결론
강경애는 노력하는 작가였다. 그녀는 작품을 쓸 때는 파지(못쓰게 된 원고 종이)를 엄청나게 내고 자신의 체험으로부터 소재를 구하며 직접 답사를 해가면서 썼다. 그녀는 집필하는 외 여가만 있으면 공장에도 가보고 독립운동에 참가한 사람들도 만나보고 함으로서 소설의 리얼리티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작가였다. 그러한 사실적 묘사에 충실한 작품이 「지하촌」이다.
강경애는 농촌에서의 가난한 생활, 비극적인 민족 모순이 첨예하게 나타나는 간도에서의 생활 등, 식민지 조선의 현실과 정면으로 마주치게 되는 그러한 삶의 현장에 있었고 그녀가 이룩한 문학적 성과는 이에 바탕한 것이었다. 특히, 당시 여류작가로는 드물게 궁핍한 삶의 체험을 가졌고 국내의 다른 작가들과는 달리 간도라는 특수한 공간에서의 생활 체험을 가졌으며 또한 자신이 살아 낼 수밖에 없는 시대에 대한 치열한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문학사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이루지 않았나 싶다.
참고문헌
▷ 김원희(2011), 강경애 소금의 개념적 은유 접근 방법,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김원희(2010), 문학 교육을 위한 강경애 인간문제의 인지론적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 박구비(2012), 강경애 소설의 여성윤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 이은자(2011), 강경애 소설 연구 : 작품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 이선윤(2010), 강경애 소설의 주제적 특징과 교육방법 연구, 아주대학교
▷ 정원채(2009), 강경애의 소설에 나타난 지식인에 대한 인식, 한국현대소설학회
추천자료
- [생명과환경 (A+완성)]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
- 인간체세포 복제 문제점과 황우석 사태분석 및 나의생각
- 인간 복제 문제의 해결 방법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고사 예상문제 - 명신대학(사이버대학)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고사 예상문제 - 부산장신대학(사이버대학)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기말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과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사태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문제점
- <인간발달단계별 특성과 문제점 및 대처방안>
-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의 본성 문제 - 성선설과 성악설을 중심으로)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동기에 인간발달단계에서...
- 행동주의적 상담과 인간주의적 상담을 비교하고 행동주의적 상담과 인간주의 상담의 문제점을...
- 50대 초반 알코올 중독자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다양한 인간 발달이론적 관점과 발달 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