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함의와 주제의식,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작품분석,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이상적 세계,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현대적 변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함의와 주제의식,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작품분석,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이상적 세계,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현대적 변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함의

Ⅲ.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주제의식

Ⅳ.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작품분석

Ⅴ.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이상적 세계

Ⅵ.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현대적 변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말 부분의 사건이 육지위기로 전개되는가, 토끼포획으로 전개되는가를 구분하여 이본을 계열화 하였다.
다양한 이본을 인물들의 갈등 양상과 그 결과에 따라 간단하게 정리하였기 때문이다. <별주부 해로>는 그 세 유형 중에 마지막 유형인 ‘토끼와 별주부, 그 맞섬과 어울림’에 해당된다. 그러나 극의 전개 방식과, 토끼와 거북이의 문제 해결 방식 등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토끼전>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별주부 해로>는 <토끼전>을 원작으로 만든 작품이지만, <효녀 심청>처럼 원작을 그대로 애니메이션화한 작품이 아니라, 기본 모티프에 에피소드를 첨가하여 색다른 이야기로 재탄생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다음은 <별주부 해로>의 줄거리이다.
깊고 평화로운 바다 속 나라는 호시탐탐 용궁을 노리던 상어 해적들의 갑작스런 습격으로 순식간에 전쟁터로 변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비대장 태극장군은 고우나 공주를 구하려다가 깊은 상처를 입고 용왕은 충신이라 믿었던 이모겐의 음모로 원인 모를 병에 걸린다. 용왕의 병세가 날로 깊어지자 어린 거북 ‘해로’는 아버지 태극장군을 대신하여 용왕의 치료약인 토끼의 간을 구하러 육지로 고행 길을 자청한다.
낯선 육지에서 해로는 연못에서 혼자 수영을 하려다 익사할 뻔한 토레미를 구해주고 친구가 된다. 토레미는 밀렵꾼 ‘처치’에 의해 부모님을 잃고 혼자 지내는 소녀로, 숲 속 친구들인 숏다리 삼총사로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친구이다.
그러던 중 숲 속의 대장 자리를 놓고 기적의 열매가 있는 기적에 숲에 먼저 도착하기 시합을 한다. 해로도 얼떨결에 토레미와 숏다리 삼총사를 따라 기적의 숲에 용이 지키고 있는 기적의 열매를 찾아 떠난다. 이 과정에서 밀렵꾼인 처치에게 해로가 잡히고, 토레미와 숏다리 삼총사의 도움으로 모두 도망쳐 숲 속으로 온다. 이후 모두 친구가 되기로 약속 한다.
그러나 해로는 본래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토레미를 데려가야 한다는 사명감에 우정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던 중 바다 속에서 같이 나온 늙은 거북 ‘칼로마’가 토레미를 유혹하고 결국 토레미는 해로와 함께 바다 속으로 간다.
그러나 용왕 앞에 끌려온 토레미는 결국 자기가 속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간을 육지에 두고 왔다며 다시 보내달라고 한다. 태극장군이 토레미가 거짓말하는 것을 알고, 죽이려 하자 해로가 기적의 열매를 가져올 테니 토레미를 살려달라고 제안한다. 이때, 용궁의 대신 이모겐과 해적 브랑코가 결탁하여 용궁을 급습하고, 이에 맞서 태극장군과 해로가 열심히 싸워 이들을 완전히 소탕한다.
해로는 토레미와 같이 육지로 나와 기적의 숲으로 향하고, 천신만고 끝에 기적의 열매를 구하게 된 해로와 토레미는 다시 용궁으로 들어가 용왕에게 그 열매를 드리고, 기적의 열매를 먹은 용왕은 병이 낫게 된다.
그리하여 수중계와 지상계의 동물들은 서로 사이좋게 잘 지내고 수중계의 해로는 태극장군에 이어 용궁의 영웅이 된다.
줄거리에서 나타나듯 <토끼전>처럼 ‘토끼가 자라의 꾐에 빠져 용궁에 들어가 생명의 위협을 당하나 지혜로 모면하고 출궁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에 앞서 용궁의 용왕이 원인모를 병에 걸려 유일한 치료약인 토끼의 간을 구해야 되고, 이에 해로는 용왕을 구하기 위하여 육지로 나간다. 이렇게 <토끼전>의 전통적 모습은 지니고 있으나, 많은 삽화들이 삽입되어 이들이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용궁과 숲 속 이외의 공간들이 설정되기도 하였다.
우선 감독이 의도하고자 하는 바는 <토끼전>에서 보여주었던 별주부와 토끼간의 대립관계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 대립이 봉건 체제 하에서 어쩔 수 없이 강요되었던 것이든, 현대 사회에서 자신 만의 이익을 위한 무한 경쟁에 몰려 본능적으로 이루어진 대립관계든 상생의 관계로 결말구조를 전환하였다. 그리하여 별주부와 토끼는 상호간의 행복을 존중하고 결국에는 수중계와 지상계가 모두 행복하게 사는 결말을 맺고 있다.
참고문헌
강지희, 토끼전의 간 상징의미와 현대적 소통,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신호림, 토끼전의 구조적 특징과 주제 구현양상, 고려대학교, 2011
이숙희, 학습자 중심의 소설교육 방안 연구 : 토끼전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04
정미라, 토끼전의 문학치료적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2009
정상은, 토끼전의 인물 분석을 통한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2008
한수영, 영상매체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방법 : 토끼전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11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