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줄거리
Ⅲ.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주인공
1. \\"에이 오라질 년\\", \\"젠장 맞을 것\\", \\"젠장 맞을 년\\", \\"이런 젠장맞을\\"
2. \\"못 먹어 병, 먹어 병\\"
3. \\"맞붙들고 앉았으면 누가 먹여 살릴 줄 알아?\\"
4. \\"아니 올시다,잇수로 치면 여기서 저기가 시오리가 넘는 답니다. 또 이런 진 날에 좀더 주셔야지요.\\"
5. \\"안녕히 다녀옵시오.\\"
6. \\"젠장 맞을 것! 이 비를 맞으며 빈 인력거를 털털거리고 돌아를 간담? 이런 빌어먹을, 제 할미를 붙을 비가 왜 남의 상판을 딱딱 때려!\\"
7. \\"아씨 인력거 아니 타랍시오?\\", \\"아씨 정거장 애들 보담 아주 사게 모셔다 드리겠습니다.\\"
8. \\"아따 이놈아, 사십전이 그리 끔찍하냐?\\", \\"이 원수엣 돈!\\"
9. \\"설렁탕을 사다 놨는데 왜 먹지를 못하니.괴상하게도 오늘은 운수가 좋더니만\\"
Ⅳ.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작가
Ⅴ.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사건전개
1. 비가 추적추적 내림
2. 두 명의 손님을 받아 큰 돈을 얻게 됨
3. (김첨지의 생각)아내가 조밥을 급히 먹어 체하며 아픈지 오래됨
4. 세 번째 손님을 태우게 됨
5. 손님을 태우고 자기 집 앞을 지나가게 됨
6. 인력 삯으로 일원 오십 전의 큰 돈을 받음
7. 전차에서 내리는 손님을 태움
8. 인력거가 빔
9. 친구 치삼이를 만남
10. 김첨지가 술에 취함
11. 아내가 죽었다며 울기 시작함
12. 울음을 거두고 웃기 시작함
13. 궂은비가 의연히 추적추적 내림
14. 설렁탕을 사서 집으로 돌아옴
15. 아내가 죽어 있음
Ⅵ.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작품특성
참고문헌
Ⅱ.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줄거리
Ⅲ.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주인공
1. \\"에이 오라질 년\\", \\"젠장 맞을 것\\", \\"젠장 맞을 년\\", \\"이런 젠장맞을\\"
2. \\"못 먹어 병, 먹어 병\\"
3. \\"맞붙들고 앉았으면 누가 먹여 살릴 줄 알아?\\"
4. \\"아니 올시다,잇수로 치면 여기서 저기가 시오리가 넘는 답니다. 또 이런 진 날에 좀더 주셔야지요.\\"
5. \\"안녕히 다녀옵시오.\\"
6. \\"젠장 맞을 것! 이 비를 맞으며 빈 인력거를 털털거리고 돌아를 간담? 이런 빌어먹을, 제 할미를 붙을 비가 왜 남의 상판을 딱딱 때려!\\"
7. \\"아씨 인력거 아니 타랍시오?\\", \\"아씨 정거장 애들 보담 아주 사게 모셔다 드리겠습니다.\\"
8. \\"아따 이놈아, 사십전이 그리 끔찍하냐?\\", \\"이 원수엣 돈!\\"
9. \\"설렁탕을 사다 놨는데 왜 먹지를 못하니.괴상하게도 오늘은 운수가 좋더니만\\"
Ⅳ.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작가
Ⅴ.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사건전개
1. 비가 추적추적 내림
2. 두 명의 손님을 받아 큰 돈을 얻게 됨
3. (김첨지의 생각)아내가 조밥을 급히 먹어 체하며 아픈지 오래됨
4. 세 번째 손님을 태우게 됨
5. 손님을 태우고 자기 집 앞을 지나가게 됨
6. 인력 삯으로 일원 오십 전의 큰 돈을 받음
7. 전차에서 내리는 손님을 태움
8. 인력거가 빔
9. 친구 치삼이를 만남
10. 김첨지가 술에 취함
11. 아내가 죽었다며 울기 시작함
12. 울음을 거두고 웃기 시작함
13. 궂은비가 의연히 추적추적 내림
14. 설렁탕을 사서 집으로 돌아옴
15. 아내가 죽어 있음
Ⅵ.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작품특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깝게도 병사하고 말았다.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굳건히 버티었고 그런 와중에도 주옥같은 많은 작품을 남겨 염상섭과 함께 우리나라의 사실주의적 단편문학을 개척하는 선구적 업적을 남겼다. 그의 작품으로는 단편 <술 권하는 사회> <빈처> <유린> <까막잡기> <운수 U은날> 등이 있고 장편으로는 <적도> <무영탑> 등이 있다
Ⅴ.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사건전개
1. 비가 추적추적 내림
전체적인 글의 분위기가 어둡게 진행될 것을 암시한다.
2. 두 명의 손님을 받아 큰 돈을 얻게 됨
가난한 김첨지에게 있어 큰 행운이다.
3. (김첨지의 생각)아내가 조밥을 급히 먹어 체하며 아픈지 오래됨
아픈 아내에게 약한 첩 제대로 써 주지 못하는 비참한 상항이다.
4. 세 번째 손님을 태우게 됨
큰 돈을 받고 손님을 태우게 된 행운 속에 불안함을 느낀다.
5. 손님을 태우고 자기 집 앞을 지나가게 됨
새삼스런 염려에 다리가 무거워지고 병든 아내의 모습이 떠오른다.
6. 인력 삯으로 일원 오십 전의 큰 돈을 받음
크게 기뻐하며 좋아한다.
7. 전차에서 내리는 손님을 태움
일에 대한 욕심이 생기고, 이상하게도 인력거가 무거워질수록 몸은 가벼워진다.
8. 인력거가 빔
마음이 초조해진다.
9. 친구 치삼이를 만남
반가운 마음과 자기를 살려준 은인이나 무엇같이 고마운 마음이 든다.
10. 김첨지가 술에 취함
돈에 대한 원망과 가난하게 살아가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한다.
11. 아내가 죽었다며 울기 시작함
아내의 죽음을 예감한다.
12. 울음을 거두고 웃기 시작함
아내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예감을 부정하고 싶어 한다.
13. 궂은비가 의연히 추적추적 내림
불길한 징조, 상황이 더 어렵게 될 것을 암시한다.
14. 설렁탕을 사서 집으로 돌아옴
아내를 생각하는 김첨지의 애정이다.
15. 아내가 죽어 있음
그 날의 좋은 운수와 아내의 생명이 바뀐다.
Ⅵ.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작품특성
1920년대의 하층 노동자의 생활상을 날카로운 관찰로 생생하게 그려놓은 대표작이다. 지은이가 흔히 쓰는 수법대로 기쁨과 슬픔, 행운과 불행을 엇갈리게 병치하면서 극적 효과를 살리고 있다. 그리고 대화에서 뿐만 아니라 바탕글에서까지 거칠고 속된 말투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밑바닥 인생의 단면을 생동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빈틈없는 짜임새와 비교적 정확한 문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그의 사실주의적인 솜씨를 엿보게 한다. 막되고 거칠면서도 투박한 인정미가 넘친 주인공의 모습이 선하다.
참고문헌
김경화, 현진건 소설의 문체 연구 : 운수좋은날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1998
강민진, 현진건 단편 소설의 서술자 연구, 한남대학교, 2008
김영희, 빙허 현진건의 현실인식과 그 변모의 양상,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77
손선명, 현진건 소설의 구조연구 : 운수 좋은 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83
장춘매,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과 노사의 낙타상자 비교 연구, 한중인문학회, 2009
홍석범, 현진건 단편소설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2005
Ⅴ.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사건전개
1. 비가 추적추적 내림
전체적인 글의 분위기가 어둡게 진행될 것을 암시한다.
2. 두 명의 손님을 받아 큰 돈을 얻게 됨
가난한 김첨지에게 있어 큰 행운이다.
3. (김첨지의 생각)아내가 조밥을 급히 먹어 체하며 아픈지 오래됨
아픈 아내에게 약한 첩 제대로 써 주지 못하는 비참한 상항이다.
4. 세 번째 손님을 태우게 됨
큰 돈을 받고 손님을 태우게 된 행운 속에 불안함을 느낀다.
5. 손님을 태우고 자기 집 앞을 지나가게 됨
새삼스런 염려에 다리가 무거워지고 병든 아내의 모습이 떠오른다.
6. 인력 삯으로 일원 오십 전의 큰 돈을 받음
크게 기뻐하며 좋아한다.
7. 전차에서 내리는 손님을 태움
일에 대한 욕심이 생기고, 이상하게도 인력거가 무거워질수록 몸은 가벼워진다.
8. 인력거가 빔
마음이 초조해진다.
9. 친구 치삼이를 만남
반가운 마음과 자기를 살려준 은인이나 무엇같이 고마운 마음이 든다.
10. 김첨지가 술에 취함
돈에 대한 원망과 가난하게 살아가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한다.
11. 아내가 죽었다며 울기 시작함
아내의 죽음을 예감한다.
12. 울음을 거두고 웃기 시작함
아내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예감을 부정하고 싶어 한다.
13. 궂은비가 의연히 추적추적 내림
불길한 징조, 상황이 더 어렵게 될 것을 암시한다.
14. 설렁탕을 사서 집으로 돌아옴
아내를 생각하는 김첨지의 애정이다.
15. 아내가 죽어 있음
그 날의 좋은 운수와 아내의 생명이 바뀐다.
Ⅵ. 현진건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작품특성
1920년대의 하층 노동자의 생활상을 날카로운 관찰로 생생하게 그려놓은 대표작이다. 지은이가 흔히 쓰는 수법대로 기쁨과 슬픔, 행운과 불행을 엇갈리게 병치하면서 극적 효과를 살리고 있다. 그리고 대화에서 뿐만 아니라 바탕글에서까지 거칠고 속된 말투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밑바닥 인생의 단면을 생동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빈틈없는 짜임새와 비교적 정확한 문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그의 사실주의적인 솜씨를 엿보게 한다. 막되고 거칠면서도 투박한 인정미가 넘친 주인공의 모습이 선하다.
참고문헌
김경화, 현진건 소설의 문체 연구 : 운수좋은날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1998
강민진, 현진건 단편 소설의 서술자 연구, 한남대학교, 2008
김영희, 빙허 현진건의 현실인식과 그 변모의 양상,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77
손선명, 현진건 소설의 구조연구 : 운수 좋은 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83
장춘매,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과 노사의 낙타상자 비교 연구, 한중인문학회, 2009
홍석범, 현진건 단편소설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