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본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낙상
1. 간호사고의 정의와 종류
2. 낙상이란
3. 낙상의 위험요소
4. 낙상의 빈도

Ⅱ. 낙상실태(사례)
1. 침상에서의 낙상사고 사례 <국내>
2. 침상에서 낙상사례 <외국>
3. 환자의 속박에 관한 낙상사례 <국내>
4. 환자의 속박에 관한 낙상사례 <외국>

Ⅲ. 낙상사고 대처 방안
1. 낙상사고시 대처 방법
2. 낙상사고시 유의 사항
3. 낙상사고시 의사와 상의해야하는 경우

Ⅳ. 낙상사고 예방 전략과 추후관리
1. 낙상사고 예방의 중요성
2. 낙상사고 예방 접근법
3. 낙상사고 예방 방법
4. 추후관리

본문내용

보호자에게 낙상사고 사실을 반드시 알린다.
2. 낙상사고시 유의 사항
-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옮기지 않는다.
- 골절 의심이 있는 환자는 옮기지 않는다.
- 입,코,귀 등에서 분비물이 나오는 환자는 옮기지 않는다.
- 출혈이 있는 환자는 옮기지 않는다.
- 의식이 없는 환자는 옮기지 않는다.
3. 낙상사고시 의사와 상의해야하는 경우
- 호흡을 하지 않을 때 의사와 상의한다.
- 출혈이 있거나, 의식이 없을 때 의사와 상의한다.
- 떨어져 다친 곳이 있을 것으로 의심될 때 의사와 상의한다.
- 낙상 후 새로 생긴 허약감, 무감각, 정신 이상이 있을 때 의사와 상의한다.
Ⅳ. 낙상사고 예방 전략과 추후관리
1. 낙상사고 예방의 중요성
낙상은 환자의 심각한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심각한 손상으로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경우에 따라 사망까지 발생한다. 따라서 환자 본인과 가족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심할 뿐 아니라 경제적 손실 또한 크다. 그리고 낙상은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낙상사고의 예방이 중요하다.
2. 낙상사고 예방 접근법
- 낙상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하여 미리 조사해야 한다.
- 환자들이 복용하고 있는 약물들을 잘 살펴 약물에 의한 낙상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한다.
- 앞이 잘 보이질 않아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우하여 안과적 검진을 한다.
3. 낙상사고 예방 방법
(1) 입원시
- 환자 입원시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입원생활 안내를 한다. 교육시에 각종 낙상사고의 가능성을 철저히 주의시킨다.
- 온돌방을 사용하던 환자들에게는 침대에서의 각종 낙상사고의 가능성을 철저히 주지시켜야 한다.
(2) 가족 또는 보호자 교육
- 가족에게 대상자 가까이 침대 옆 탁자나 침대 위에 탁자를 두도록 한다.
- 가족에게 침대 옆 탁자나 복도, 욕실, 어두운 지역에 흩어져 있는 것들을 제거하도록 지시한다.
(3) 침상
- 대상자가 쉽게 사용하는 물건을 침대 옆 탁자나 침상 곁에 둔다.
- 침상에서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침대, 의자 가까이에 탁자를 둔다. 물건을 집기 위해 손을 뻗을 때,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한다.
- 대상자가 휴식을 취할 때는 침대의 위치는 낮게 해둔다.
- 혼돈된 대상자나 불안정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없는 대상자는 침대난간(side rail)을 설치한다.
- 야간이나 환자가 혼자 침상에 누워있을 때는 side rail을 양쪽 모두 올려준다.
- 어린이 섬망 환자인 경우, 반드시 side rail을 사용해야 한다.
- 환자가 수면 중 깨어 일어나 화장실에 갈 때는 반드시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를 받고 침상에서 내려오도록 한다.(call bell을 이용하여 간호사의 보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함.)
- 절대 안정을 필요하는 환자들에게 침대에서 내려오지 않도록 교육을 강화한다.
- 가족에게 대상자 가까이 침대 옆 탁자나 침대 위에 탁자를 두도록 한다.
(4) 보조기구 사용
-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이동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한다.
- 휠체어를 이용할 경우 반드시 그 사용법을 미리 설명해주고 도와준다.
(5) 이동 시(일반 환자)
- 병실이나 복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이 고무로 된 신발을 신도록 한다.
- 환자의 이동능력을 철저하게 사정하여, 필요하면 보조기구로 휠체어나 stretcher(스트레치카)를 제공한다.
휠체어로 이동되거나 또는 휠체어에서 이동할 때는 반드시 바퀴에 잠금장치를 해야한다.
stretcher로 이동될 때는 sida rail을 올려야 한다.
- 오랜 침상 안정 후, 처음 보행을 시작할 때에는 보행기를 이용한다.
- 대상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또는 반대의 경우로 이동할 때 휠체어가 잠겨져 있는지 확인한다.
(6) 소아환자 이동 시
- 보육기에 있는 아기를 이동 할 경우
보육기의 문이 꼭 닫혀 있는지 확인한다.
문을 열어 놓고 이동 할 경우 문을 열어 놓은 채 다른 곳으로 가지 않는다.
체중 측정 시에는 scale tray 위에 아기를 올려놓고 측정 할 때 아기가 떨어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한손은 아기의 몸 위에 올려놓고 다른 한 손으로 측정해야 한다.
- 간호사가 아기를 안고 갈 때, 아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으므로 crib 이나 trans incubator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7) 간호사의 역할
- 낙상사고 우려가 있는 환자의 명단을 정리하여 인수인계시 정보를 교환한다.
- 환자가 입원한 처음 며칠간, 특히 야간에 낙상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 환자를 치료시, 침상을 오르고 내릴 때에도 환자를 잘 부축하여 보호한다.
(8) 환경관리
- 병원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을 흘리지 않도록 한다.
- 바닥을 깨끗이 하거나 왁스칠을 하는 경우에는 통행이 적인 시간을 이용한다. 또한 반드시 표식을 해놓고, 반씩 나누어 닦도록 한다.
- 병실 바닥이나 복도에 물 또는 보행 시 미끄러질 수 있는 물질이 없는지 자주 순회하여 점검한다.
- 물품정리가 잘 되어 있지 않는 것도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침상 부속기구, 발 받침대, 전깃줄 등은 잘 정리하여 환자의 보행 및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콜벨은 대상자가 쉽게 닿을 수 있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야 하며, 욕실에도 설치되어야 한다.
- 화장실에 미끄럼 방지 매트를 간다.
- 병실의 조명을 적절하게 한다.
- 야간에서 취침등을 켜놓는다.
(9) 약물 투약 시(혈압강화제, 수면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 관련된 지식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 monitor를 한다.
- 낙상에 주의한다.
(10) 체위성 저혈압일 경우
- 보행 시에 조금씩 천천히 움직이도록 한다.
- 체위성 저혈압 증상을 자세히 관찰한다.
- 앉거나 서기전에 순환활동을 하게 한다.
- 체위성 저혈압으로부터 야기 되는 현기증을 예방하기 위해 침대나 의자에서 서서히 일어나도록 한다.
- 침대에서 일어날 때 각 단계마다 3분을 할애하도록 한다.(누워있을 때, 지지해서 앉기, 걸터앉기, 서기)
- 활동하는 동안에도 확인하기 위해 환자와 스케줄을 상의한다.
(11) 배뇨/배설 장애 시
- 장.
  • 가격8,4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