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Ⅰ 서론
조사목적
주제 선정 배경
Ⅱ 본론
전반적인 시장분석
시장매력도 분석
SWOT분석
STP 분석
마케팅믹스 분석
Ⅲ 결론
결 론
향후 기대 방안
Ⅳ 부록Ⅰ 서론
조사목적
주제 선정 배경
Ⅱ 본론
전반적인 시장분석
시장매력도 분석
SWOT분석
STP 분석
마케팅믹스 분석
Ⅲ 결론
결 론
향후 기대 방안
Ⅳ 부록
참고기사 및 인터넷 사이트
사진 및 그림
회의록
상품믹스표
참고기사 및 인터넷 사이트
사진 및 그림
회의록
상품믹스표
조사목적
주제 선정 배경
Ⅱ 본론
전반적인 시장분석
시장매력도 분석
SWOT분석
STP 분석
마케팅믹스 분석
Ⅲ 결론
결 론
향후 기대 방안
Ⅳ 부록Ⅰ 서론
조사목적
주제 선정 배경
Ⅱ 본론
전반적인 시장분석
시장매력도 분석
SWOT분석
STP 분석
마케팅믹스 분석
Ⅲ 결론
결 론
향후 기대 방안
Ⅳ 부록
참고기사 및 인터넷 사이트
사진 및 그림
회의록
상품믹스표
참고기사 및 인터넷 사이트
사진 및 그림
회의록
상품믹스표
본문내용
535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창출되고, 스마트 모바일 관련 산업은 5년간 총 16조9000억원의 매출증대와 4만2000여명의 간접적 고용창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모바일산업의 진흥 주체를 놓고 (부처 간에) 다툼을 하기에는 세상이 너무 급박하게 돌아가는데 종합계획은 매우 적절한 시기에 적정한 수준으로 제시됐다고 본다”며 “당면한 스마트폰 충격은 우리 통신분야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중요한 것이니, 국민과 함께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기술개발 초기단계부터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10.04.22 ET뉴스 \'스마트 모바일산업기기 1조 5000억원 투자\' (4/22검색)>
옴니아2 구입전 반드시 알아야 할 진실~!!!
2009/12/03 09:51 옴니아2 구입전 반드시 알아야 할 진실~!!!
거짓이 아닌 진짜 CPU 비교
옴니아2
ARM11 아키텍쳐에 기반을 둔 S3C6410 CPU
미니멈 클럭: 533MHz
맥시멈 클럭: 800MHz
L1 캐쉬: 16KB
아이폰 3GS
Cortex-A8 아키텍쳐에 기반을 둔 S5PC100
미니넘 클럭: 600MHz
맥시멈 클럭: 833MHz
L1 캐쉬: 32KB
L2 캐쉬: 256KB
삼성이 옴니아 2가 강조하는 800MHz CPU는 맥시멈 클럭수이다.
단순 클럭수로 CPU 성능을 비교하는 자체도 이상하지만 맥시멈 클럭수만 자랑하는 삼성도 이상하다.
아이폰은 맥시멈 800MHz이상의 클럭수를 낼 수 있음에도 배터리 효율과 안정성을 위해
자체적으로 최소 클럭수에 맞춰놓은것 뿐이다.
또한 옴니아2는 ARM11 아키텍쳐를 사용하는데 이는 아이폰 3GS에서 사용하는 Cortex-A8의 이전 버전으로 코텍스에 비해 ARM11 성능은 현저히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Cortex-A8과 ARM11의 클럭수만을 비교한다고 하면 Cortex-A8에 1.4정도를 곱한 클럭수가 ARM11의 클럭수와 비슷하다고 말하고 있다. 아크로팬 싸이트의 글을 보면 1.4배 그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게 ARM11과 Cortex-A8의 차이이다.
전 세대인 ARMv6 기반 ARM1176 프로세서와의 성능 비교에서 Cortex-A8은 모든 면에서 성능 향상이 있다. 특히 EEMBC/컨슈머 영역에서 큰 성능 향상이 있으며, 상대 성능은 2.7배 이상이다. 기본 성능 자체도 약 1.6배 이상이며, 이는 Cortex-A8에 채용된 NEON 기술을 사용하지 않은 결과이므로 이를 사용해 최적화할 경우 차이는 더 크게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시장의 숨은 강자 Cortext-A8
아키텍쳐가 다른 두 CPU의 클럭수를 비교하는것은
인텔 팬티엄4의 클럭수와 인텔 코어 2 듀오의 클럭수를 비교하는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옴니아2의 CPU에는 아이폰의 반밖에 되질 않는 L1 캐쉬가 있으며 L2 캐쉬는 존재조차 하지 않는다.
아이폰은 스마트폰의 최적화를 위하여 맥시멈 클럭을 제한하고 있고
옴니아2는 어떻게 해서든 아이폰보다 낫다는것을 알리기 위해맥시멈 클럭수만을 강조하고 있다.
참조: 위키백과 ARM 아키텍처
CPU 뿐만이 아니다
옴니아2에는 숨어있는 진실들이 더 있다.
옴니아2는 16m 칼라를 지원한다고 쓰여있지만 옴니아2에서 사용하는 윈도6.1은 65k 밖에 지원이 되질 않는다. 윈도6.5에서는 지원된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정보는... (아시는 분을 더 상세하게 알려 주세요.)
그렇게 때문에 화질 좋은 스크린을 사용하고서도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것이다.
------------- Updated ------------------------------------------------
옴니아2와 모토로라의 드로이드는 16:9의 3.7인치 와이드 스크린을 장착했다.
일반적인 3.5인치의 스크린이 아니라 16:9 비율의 와이드 스크린을 장착했지만 해상도는 800x480이다.
이부분은 같은 스크린 사이즈를 지닌 드로이드와 다르다. 드로이드는 854x480의 해상도를 지니고 있다. 54픽셀정도가 무슨 차이가 나느냐 하겠지만 드로이드의 854x480은 정확히 16:9의 비율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스크린 사이즈와 해상도가 정확히 16:9 비율을 지원한다는 뜻이다.
옴니아의 스크린 사이즈는 가로 3.22인치 세로 1.81인치로 16:9 비율이지만 해상도는 16:9가 아닌 5:3 비율을 지원하고 있는것이다. (아이폰은 크기와 해상도 모두 3;2 비율을 지원한다.)
스크린 사이즈 비율은 16:9, 해상도의 비율은 5:3(15:9)
------------------------------------------------------------------------
이뿐만이 아니다..
옴니아2는 아이폰보다 헐씬 높은 해상도(800X480)를 지녔다고 자랑하지만
윈도우 모바일에서 나오는 많다고 하는 예전 애플리케이션들이 저해상도만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가 최적화된 앱들을 그리 많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옴니아2는 아이폰 3GS의 정전식 터치 스크린이 아닌 감압식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다.
이게 더 정교한 터치가 가능하다며 장점으로 이야기 하고 있지만
현재 터치 스크린의 추세는 감압식이 아닌 정전식이다.
(TV 시장에서도 플라즈마가 아닌 LCD가 대세이듯...)
정전식에서는 멀티터치가 가능하지만 감압식은 그렇지 못하다.
정교한 터치가 장점이라고 하지만 손가락을 사용했을때는 반응속도나 정교함이 정전식보다 더 떨어진다.
정전식은 손가락을 터치 하지 않는한 오작동을 일으킬 확률이 없지만
감압식은 손가락이 아니더라도 스크린에 압력만 가해지면 작동을 하기 때문에
가방안에서든 주머니에서든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감압식을 사용하면 스타일러스펜이 악세서리로 따라 오는데
그냥 이쁜 악세서리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꼭 가지고 다녀야 하는 귀찮음도 만만치 않을것이다.
또한 스타일러스펜을 분실할 염려도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Updated (12/03/09)
-----------------------------------------------------------------------
옴니아2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기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10.04.22 ET뉴스 \'스마트 모바일산업기기 1조 5000억원 투자\' (4/22검색)>
옴니아2 구입전 반드시 알아야 할 진실~!!!
2009/12/03 09:51 옴니아2 구입전 반드시 알아야 할 진실~!!!
거짓이 아닌 진짜 CPU 비교
옴니아2
ARM11 아키텍쳐에 기반을 둔 S3C6410 CPU
미니멈 클럭: 533MHz
맥시멈 클럭: 800MHz
L1 캐쉬: 16KB
아이폰 3GS
Cortex-A8 아키텍쳐에 기반을 둔 S5PC100
미니넘 클럭: 600MHz
맥시멈 클럭: 833MHz
L1 캐쉬: 32KB
L2 캐쉬: 256KB
삼성이 옴니아 2가 강조하는 800MHz CPU는 맥시멈 클럭수이다.
단순 클럭수로 CPU 성능을 비교하는 자체도 이상하지만 맥시멈 클럭수만 자랑하는 삼성도 이상하다.
아이폰은 맥시멈 800MHz이상의 클럭수를 낼 수 있음에도 배터리 효율과 안정성을 위해
자체적으로 최소 클럭수에 맞춰놓은것 뿐이다.
또한 옴니아2는 ARM11 아키텍쳐를 사용하는데 이는 아이폰 3GS에서 사용하는 Cortex-A8의 이전 버전으로 코텍스에 비해 ARM11 성능은 현저히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Cortex-A8과 ARM11의 클럭수만을 비교한다고 하면 Cortex-A8에 1.4정도를 곱한 클럭수가 ARM11의 클럭수와 비슷하다고 말하고 있다. 아크로팬 싸이트의 글을 보면 1.4배 그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게 ARM11과 Cortex-A8의 차이이다.
전 세대인 ARMv6 기반 ARM1176 프로세서와의 성능 비교에서 Cortex-A8은 모든 면에서 성능 향상이 있다. 특히 EEMBC/컨슈머 영역에서 큰 성능 향상이 있으며, 상대 성능은 2.7배 이상이다. 기본 성능 자체도 약 1.6배 이상이며, 이는 Cortex-A8에 채용된 NEON 기술을 사용하지 않은 결과이므로 이를 사용해 최적화할 경우 차이는 더 크게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시장의 숨은 강자 Cortext-A8
아키텍쳐가 다른 두 CPU의 클럭수를 비교하는것은
인텔 팬티엄4의 클럭수와 인텔 코어 2 듀오의 클럭수를 비교하는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옴니아2의 CPU에는 아이폰의 반밖에 되질 않는 L1 캐쉬가 있으며 L2 캐쉬는 존재조차 하지 않는다.
아이폰은 스마트폰의 최적화를 위하여 맥시멈 클럭을 제한하고 있고
옴니아2는 어떻게 해서든 아이폰보다 낫다는것을 알리기 위해맥시멈 클럭수만을 강조하고 있다.
참조: 위키백과 ARM 아키텍처
CPU 뿐만이 아니다
옴니아2에는 숨어있는 진실들이 더 있다.
옴니아2는 16m 칼라를 지원한다고 쓰여있지만 옴니아2에서 사용하는 윈도6.1은 65k 밖에 지원이 되질 않는다. 윈도6.5에서는 지원된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정보는... (아시는 분을 더 상세하게 알려 주세요.)
그렇게 때문에 화질 좋은 스크린을 사용하고서도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것이다.
------------- Updated ------------------------------------------------
옴니아2와 모토로라의 드로이드는 16:9의 3.7인치 와이드 스크린을 장착했다.
일반적인 3.5인치의 스크린이 아니라 16:9 비율의 와이드 스크린을 장착했지만 해상도는 800x480이다.
이부분은 같은 스크린 사이즈를 지닌 드로이드와 다르다. 드로이드는 854x480의 해상도를 지니고 있다. 54픽셀정도가 무슨 차이가 나느냐 하겠지만 드로이드의 854x480은 정확히 16:9의 비율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스크린 사이즈와 해상도가 정확히 16:9 비율을 지원한다는 뜻이다.
옴니아의 스크린 사이즈는 가로 3.22인치 세로 1.81인치로 16:9 비율이지만 해상도는 16:9가 아닌 5:3 비율을 지원하고 있는것이다. (아이폰은 크기와 해상도 모두 3;2 비율을 지원한다.)
스크린 사이즈 비율은 16:9, 해상도의 비율은 5:3(15:9)
------------------------------------------------------------------------
이뿐만이 아니다..
옴니아2는 아이폰보다 헐씬 높은 해상도(800X480)를 지녔다고 자랑하지만
윈도우 모바일에서 나오는 많다고 하는 예전 애플리케이션들이 저해상도만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가 최적화된 앱들을 그리 많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옴니아2는 아이폰 3GS의 정전식 터치 스크린이 아닌 감압식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다.
이게 더 정교한 터치가 가능하다며 장점으로 이야기 하고 있지만
현재 터치 스크린의 추세는 감압식이 아닌 정전식이다.
(TV 시장에서도 플라즈마가 아닌 LCD가 대세이듯...)
정전식에서는 멀티터치가 가능하지만 감압식은 그렇지 못하다.
정교한 터치가 장점이라고 하지만 손가락을 사용했을때는 반응속도나 정교함이 정전식보다 더 떨어진다.
정전식은 손가락을 터치 하지 않는한 오작동을 일으킬 확률이 없지만
감압식은 손가락이 아니더라도 스크린에 압력만 가해지면 작동을 하기 때문에
가방안에서든 주머니에서든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감압식을 사용하면 스타일러스펜이 악세서리로 따라 오는데
그냥 이쁜 악세서리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꼭 가지고 다녀야 하는 귀찮음도 만만치 않을것이다.
또한 스타일러스펜을 분실할 염려도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Updated (12/03/09)
-----------------------------------------------------------------------
옴니아2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기
추천자료
Young Woman’s Portal Site 마케팅전략
명품의 중독적 소비와 TOD'S
[마케팅조사론]패밀리레스토랑 1위 '아웃백'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A+리포트)
[경영]g마켓_성공요인_사례_분석(swot,_마케팅믹스,_4p’s)
HONG KONG (홍콩) - ASIA’s WORLD CITY
(A+ 레포트) 삼성전자의 스마트폰(갤럭시S3)의 성공 요인 및 통신사업자의 신사업 전략
삼성전자 해외마케팅 전략분석과 삼성전자 사업전략분석및 삼성전자 새로운 경영전략 제안
소니 스마트폰 마케팅실패 요인분석과 소니 스마트폰시장 재도약을위한 마케팅전략 제안과 소...
삼성전자 글로벌마케팅(스마트폰,TV부문)전략분석과 삼성전자 기업경영분석및 설문조사통한 ...
삼성전자 스마트폰(갤럭시시리즈) 미국시장진출 전략분석과 삼성전자 기업분석과 나의의견
개인화서비스를 통한 마케팅 효과 극대화 및 비용절감 효과에 대한 연구 (연구목표와 필요성,...
스마트폰 시장- 스마트폰 성장율,세계 휴대폰 시장,애플 아이폰,삼성겔럭시,브랜드마케팅,서...
(우수자료) S-Project (The Museum Sex & Health) - 사업계획서 성 박물관 설립 사업계획...
【삼성전자 (三星電子 / Samsung Electronics) 마케팅 성공사례】 - 삼성전자 기업분석과 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