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비만의 정의
비만의 측정방법
비만의 원인
비만 운동처방의 실제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과 운동
비만의 정의
비만의 측정방법
비만의 원인
비만 운동처방의 실제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과 운동
본문내용
혈당의 70-80%가 이동저장되어 혈당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조직에서 일어난다. 또한 지방 세포에 지방이축적되어 지방세포 비대로 인하여 발생한다. 인슐린 저항성은 간에서 지방 합성을 증가시켜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이고 신장에서 Na+의 흡수를 증가시키고 말초저항을 증가시켜 고혈압으로 발전되며 혈당의 조절능력을 감소시켜 내당능장애와 제2형 당뇨병의 만성질환을 유발시킨다(LeRoith et al., 2004).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은 인슐린이 췌장 베타세포에서 생성된 후 순환 혈액을 통하여 표적세포에 있는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하면 세포내 신호전달계를 거쳐 인슐린의 생물학적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 중의 결함에 의하여 생성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는 인자로는 Randle et al.(1963)에 의하여 제시된 glucose-fatty acid cycle이 대표적이다. 혈중 FFA의 증가에 따른 근육내 지방산 산화의 증가는 근육에서의 포도당 이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기업, 1992; Krssak et al,, 1999; Ellis et al., 2000)
즉 인슐린이 많이 있는데도 포도당이 적절히 사용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즉 인슐린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쓰이지 않는 것이다.
인슐린 저항성과 운동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Homeostatic Model Assessment) 방법을 이용해 HOMA-IR(insulin resistance)인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와 HOMA-β(pancreatic β-cell function)인 췌장 베타세포 인슐린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HOMA-IR = Fasting Insulin(uU/mL) × Fasting Glucose(mmol/L) / 22.5
HOMA-β = 20 × Fasting Insulin(uU/mL) /Fasting Glucose(mmol/L) - 3.5
본 연구의 운동 프로그램을 위한 운동 강도 설정은 ACSM(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00)의 기준을 근거로 하여 처음 6주 동안은 VO2max의 40-70%로 설정하고 6주 후 재측정하여 60-85%로 설정하여 그 시점의 심박수로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의 강도를 설정하였다. 덤벨운동은 처음 6주간 15RM의 무게로 실시하고 6주후 재측정하여 15RM의 무게를 재설정하였다. 운동은 크게 운동시작적응단계, 운동향상유지단계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운동시작적응단계(1-6주)에서 스트레칭은 단순동작과 기본동작을 익히고 덤벨운동은 저중량으로 정확한 운동자세를 익힌 후 적당한 무게를 선정하여 고반복운동
을 실시하였고 유산소 운동은 VO2max의 40-70%의 강도로 걷기, 가볍게 달리기 등을 실시하였다. 운동향상유지단계(6-12주)에서는 스트레칭은 응용동작을 익히고 덤벨운동은 고중량 고반복형태로 운동을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조깅, 달리기 등 VO2max의 60-85% 운동을 실시하였다.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능에 대한 12주간의 운동 처치 전후 각 그룹의 HOMA-IR, HOMA-β의 변화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 전후 HOMA-IR의 변화
구분
운동 전
운동 후
t-value
p
HOMA-IR
34.10±12.64
20.90±14.51
4.913
.002**
Values are Mean ± SD * p<.05, ** p<.01, *** p<.001
운동 전후 HOMA-β의 변화
구분
운동 전
운동 후
t-value
p
HOMA-β
118.52±69.26
66.51±55.21
1.345
.220
Values are Mean ± SD * p<.05, ** p<.01, *** p<.001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 HOMA-IR(insulin resistance)와 췌장 베타세포 인슐린 분비능HOMA-β(pancreatic β-cell function)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운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참고자료
운동 처방론 (박상갑 김은희 권유찬 박진기 곽현 편저)
논문 -운동과 영양교육이 대사성 증후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심폐기능 및 신체구성에 미치 는 영향 (김연수 외8명 체육과학연구원. 체육과학연구. 2005년)
-비만환자에서의 운동처방 (오상우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
목 차
비만의 정의
비만의 측정방법
비만의 원인
비만 운동처방의 실제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과 운동
즉 인슐린이 많이 있는데도 포도당이 적절히 사용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즉 인슐린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쓰이지 않는 것이다.
인슐린 저항성과 운동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Homeostatic Model Assessment) 방법을 이용해 HOMA-IR(insulin resistance)인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와 HOMA-β(pancreatic β-cell function)인 췌장 베타세포 인슐린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HOMA-IR = Fasting Insulin(uU/mL) × Fasting Glucose(mmol/L) / 22.5
HOMA-β = 20 × Fasting Insulin(uU/mL) /Fasting Glucose(mmol/L) - 3.5
본 연구의 운동 프로그램을 위한 운동 강도 설정은 ACSM(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00)의 기준을 근거로 하여 처음 6주 동안은 VO2max의 40-70%로 설정하고 6주 후 재측정하여 60-85%로 설정하여 그 시점의 심박수로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의 강도를 설정하였다. 덤벨운동은 처음 6주간 15RM의 무게로 실시하고 6주후 재측정하여 15RM의 무게를 재설정하였다. 운동은 크게 운동시작적응단계, 운동향상유지단계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운동시작적응단계(1-6주)에서 스트레칭은 단순동작과 기본동작을 익히고 덤벨운동은 저중량으로 정확한 운동자세를 익힌 후 적당한 무게를 선정하여 고반복운동
을 실시하였고 유산소 운동은 VO2max의 40-70%의 강도로 걷기, 가볍게 달리기 등을 실시하였다. 운동향상유지단계(6-12주)에서는 스트레칭은 응용동작을 익히고 덤벨운동은 고중량 고반복형태로 운동을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조깅, 달리기 등 VO2max의 60-85% 운동을 실시하였다.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능에 대한 12주간의 운동 처치 전후 각 그룹의 HOMA-IR, HOMA-β의 변화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 전후 HOMA-IR의 변화
구분
운동 전
운동 후
t-value
p
HOMA-IR
34.10±12.64
20.90±14.51
4.913
.002**
Values are Mean ± SD * p<.05, ** p<.01, *** p<.001
운동 전후 HOMA-β의 변화
구분
운동 전
운동 후
t-value
p
HOMA-β
118.52±69.26
66.51±55.21
1.345
.220
Values are Mean ± SD * p<.05, ** p<.01, *** p<.001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 HOMA-IR(insulin resistance)와 췌장 베타세포 인슐린 분비능HOMA-β(pancreatic β-cell function)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운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참고자료
운동 처방론 (박상갑 김은희 권유찬 박진기 곽현 편저)
논문 -운동과 영양교육이 대사성 증후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심폐기능 및 신체구성에 미치 는 영향 (김연수 외8명 체육과학연구원. 체육과학연구. 2005년)
-비만환자에서의 운동처방 (오상우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
목 차
비만의 정의
비만의 측정방법
비만의 원인
비만 운동처방의 실제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과 운동
추천자료
운동과 비만(비만 측정법과 판정기준)
영양과건강-비만도 측정법
[소아비만의 치료, 소아비만] 소아비만의 원인과 문제점 및 소아비만의 치료방법과 예방법
[비만] 비만의 원인과 치료방법
비만의 판정 -적합한 비만판정 기준에 대한 견해(체지방 측정법, BMI 등)
[아동비만] 아동비만의 예방과 치료방법
비만의 판정과 평가, 측정
비만의 합병증과 해결 방안, 비만의 원인, 비만의 분류 및 측정법, 비만의 정의
[수소이온지수(pH)측정, 천칭저울]수소이온지수(pH)측정과 시험방법, 수소이온지수(pH)측정과...
측정의 평가기준 - 타당도(Validity)와 측정도구의 타당화 방법, 신뢰도(Peliability)의 의의...
[아동영양학] 소아비만의 현황과 원인, 교정방법 (소아비만이란?, 소아비만의 원인, 소아비만...
[아동영양학] 소아비만이 되는 그 원인과 그로 인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이를 해결...
비만의 진단방법, 비만의 원인(요인)과 유형, 비만의 증상 및 동반질환(비만합병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