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상과 스토리 텔링
다큐멘터리
_ KBS 스폐셜 [행복해지는 법 2편 행복의 비밀코드]
광고
TVCF_ 잡코리아 국장편
다큐멘터리
_ KBS 스폐셜 [행복해지는 법 2편 행복의 비밀코드]
광고
TVCF_ 잡코리아 국장편
본문내용
영상과 스토리 텔링
다큐멘터리
_ KBS 스폐셜 [행복해지는 법 2편 행복의 비밀코드]
1.
사람들 인터뷰, 음식점, 음식점 사장 최광수씨의 생활, 분주함, 자영업자의 바쁜 삶, 가정, 식당, 연세대 교수, 행복도 조사, 미국 에드디너 교수 소개, 행복에 대한 견해 인터뷰, 가진 것 원하는 것 을 밥그릇으로 표현, 환경 미화부 금동진씨의 삶 소개, 미화원 분리수거 차량, 새벽녘 출근, 행복한 환경미화원, 금동진씨 인터뷰, 태국에서 이국적인 무인도에 거주 프랑스인의 생활, 천국의 오류 소개, 반대 상황인 더러운 인도에서 조수진씨의 생활 소개 인터뷰, 행복 그래프, 초점의 오류 소개, 서울 춘천 행복도 조사, 고시생의 삶, 인터뷰, 사법고시 2차 실패, 운동장, 맥주, 전직 검사의 변호사의 생활, 농촌, 귀화, 농사 하는 모습, 동료들과의 회식, 행복의 정의, 가진 것과 원하는 것과의 상관관계서 행복 도출, 행복의 최종적 정의 및 결론, 제안
2.
거리에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한다. 신촌에서 음식점 하는 최광주 씨의 삶을 조명하고 인터뷰를 한다. 음식점과 가정에서의 삶으로 굉장히 바쁜 하루를 보낸다. 연세대 교수에게 행복에 대한 앙케이트 소개를 듣는다. 미국의 에드리너 교수에 인터뷰를 한다. 환경미화부 금동건씨에게 하루 출근해서 근무하는 모습을 따라 다니며 조명한다. 인터뷰한다. 서자연씨와 병원에서 인터뷰하며 라식수술 과정을 소개하고 소개 전과 후에 행복도를 조사한다. 고종도씨의 차 구입 장소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차 구입 후 행복한 모습을 담는다. 태국의 프랑스인에 사례를 소개 후 천국의 오류를 소개 하고 반대 인도의 상황에서 조수진씨의 삶을 보여주며 인터뷰 후 초점의 오류를 소개 한다. 춘천과 서울 각 지방의 사람들 에게 행복에 대해 거리서 조사를 한다. 고시생 정종일 씨의 생활을 보여주고 삶을 소개 하고, 2차 시험 결과 까지 조명한다. 불합격후 운동장에서 2차 실패에 대해, 행복에 대한 견해에 대해 인터뷰를 한다. 서울지검 전 검사 오원호 변호사 인터뷰 후 농촌에서 귀향에 농사 짓는 장면을 보여준다. 동료들과 회식자리에서 그가 생각하는 행복에 대해 듣는다. 소냐 브로머스키 행복 연구 교수에게 행복에 대한 의견을 인터뷰 한다. 조벽 교수와 인터뷰 한다. 삶의 질에 대한 정의와 사람들의 개념에 대해 자료조사를 보여준다. 칙센트 미하이의 인터뷰를 보여준다. 박자연씨의 인터뷰를 한다. 박자연 씨의 삶을 나레이터와 이미지를 통해 소개 한다. 봉사단체의 리더로써 대중들 앞에서 강연한다. 구호 단체 활동 아프리카서 보여준다. 지금까지 장면들을 요약하여 보여주고 음악을 삽입하여 최종 결론으로 시청자들에게 행복에 대해 제안한다.
3.
VIDEO 대로변의 사람들
AUDIO NA: 무엇을 가지면 행복해질까?
사람들 : 차, 집, 돈, 돈이요 요즘 사람들 돈이 많으면 행복하잖아요.
NA : 돈이 많으면 행복할까 원하는걸 가지면 행복할까
VIDEO 서울 신촌의 한 음식점
AUDIO NA : 창수씨의 하루는 오후 다섯시에 시작된다. 서둘러 준비를 마치기 무섭게
시작된다. 10년간의 회사 생활을 청산하고 사업을 시작한지 7년째, 작년 이
고기집에서 비로소 대박이 터졌다. 어렵게 잡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연중 무휴로 일한다. 손님이 뜸해지는 새벽 2시가 그의 식사 시간이다. 마지막
손님이 일어나면 새벽 4시 하루일과가 드디어 끝났다. 가게를 대충 정리하고
가게를 나오면 새벽 4시반 집에 가면 5시다.
VIDEO 창수씨 집
AUDIO NA : 두 딸이 아빠 얼굴을 보기 쉽지 않다. 아빠가 자는 동안 엄마가 나머지 일과를
꾸려 나간다. 창수씨의 아이는 두 딸을 집근처 어린이집에 맡긴다. 창수씨의
부인은 오전에 혼자 장사를 한다. 경비를 줄이기 위해 친정엄마와 일하는
아줌마는 오후 두시쯤 오게 한다. 좀 여유를 부릴 틈 없이 이젠 아이를 대려
가야 한다. 네 시 반부터 약 삼십분 가량이 하루 중 온 가족이 모이는
시간이다.
최광수 : 어느날 그러더라고요. 큰애가 우린 언제 같이 사냐고, “지금 같이
사는거야”라고 얘기를 했는데 아직 제 딸아이한테는 그게 이해
안되나봐요.
권윤현 : 저희는 밥도 같이 못먹어요. 시간이 안 맞아 가지고. 최광수 : 50살 넘으면 그때부터는 좀 즐기고 싶어요. 여행도 다니고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좀 투자를 해서 열심히 안 해도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만들어 놓고 편안하게 그때는 진짜 시간이 부자인 사람이 되고
싶어요.
NA : 그가 생각하는 진짜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 하다.
VIDEO 연세대 염유식 교수실
AUDIO NA : 우리는 연세대 사회학화 염유식 교수와 함께 서울 시민 1024명의 행복도를
조사했다.
서울 시민의 40.6%가 행복하기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돈이라고 했다.
VIDEO 자료 조사 그래프
AUDIO NA : 돈이 50 ~ 60억 사이가 가장 행복하다고 했다. 대학민국 1%의 기준자산과
비슷했다. 그런데 가계 소득 400만원을 벗어나면 돈을 더 많이 번다고
행복하다고 답하지는 않았다. 즉 월 평균 소득이 430만원인 사람과 680만원인
사람의 차이는 별 차이가 없었다.
VIDEO 연세대 염유식 교수실
ADUIO 염유식 : 항상 100만원 더 벌 때마다 더 행복해지는건 아니라는게 나왔고요.
그 기준이 우리나라에서는 400만원 정도 되는 걸로 나와서 400만원
이상이면 더 이상 행복하지 않는 걸로 나왔습니다.
PD : 왜그럴까요?
염유식 : 돈을 400만원 이상 벌게 되면 아무래도 그만큼 희생하는게 있는 것
같습니다. 가족관계가
다큐멘터리
_ KBS 스폐셜 [행복해지는 법 2편 행복의 비밀코드]
1.
사람들 인터뷰, 음식점, 음식점 사장 최광수씨의 생활, 분주함, 자영업자의 바쁜 삶, 가정, 식당, 연세대 교수, 행복도 조사, 미국 에드디너 교수 소개, 행복에 대한 견해 인터뷰, 가진 것 원하는 것 을 밥그릇으로 표현, 환경 미화부 금동진씨의 삶 소개, 미화원 분리수거 차량, 새벽녘 출근, 행복한 환경미화원, 금동진씨 인터뷰, 태국에서 이국적인 무인도에 거주 프랑스인의 생활, 천국의 오류 소개, 반대 상황인 더러운 인도에서 조수진씨의 생활 소개 인터뷰, 행복 그래프, 초점의 오류 소개, 서울 춘천 행복도 조사, 고시생의 삶, 인터뷰, 사법고시 2차 실패, 운동장, 맥주, 전직 검사의 변호사의 생활, 농촌, 귀화, 농사 하는 모습, 동료들과의 회식, 행복의 정의, 가진 것과 원하는 것과의 상관관계서 행복 도출, 행복의 최종적 정의 및 결론, 제안
2.
거리에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한다. 신촌에서 음식점 하는 최광주 씨의 삶을 조명하고 인터뷰를 한다. 음식점과 가정에서의 삶으로 굉장히 바쁜 하루를 보낸다. 연세대 교수에게 행복에 대한 앙케이트 소개를 듣는다. 미국의 에드리너 교수에 인터뷰를 한다. 환경미화부 금동건씨에게 하루 출근해서 근무하는 모습을 따라 다니며 조명한다. 인터뷰한다. 서자연씨와 병원에서 인터뷰하며 라식수술 과정을 소개하고 소개 전과 후에 행복도를 조사한다. 고종도씨의 차 구입 장소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차 구입 후 행복한 모습을 담는다. 태국의 프랑스인에 사례를 소개 후 천국의 오류를 소개 하고 반대 인도의 상황에서 조수진씨의 삶을 보여주며 인터뷰 후 초점의 오류를 소개 한다. 춘천과 서울 각 지방의 사람들 에게 행복에 대해 거리서 조사를 한다. 고시생 정종일 씨의 생활을 보여주고 삶을 소개 하고, 2차 시험 결과 까지 조명한다. 불합격후 운동장에서 2차 실패에 대해, 행복에 대한 견해에 대해 인터뷰를 한다. 서울지검 전 검사 오원호 변호사 인터뷰 후 농촌에서 귀향에 농사 짓는 장면을 보여준다. 동료들과 회식자리에서 그가 생각하는 행복에 대해 듣는다. 소냐 브로머스키 행복 연구 교수에게 행복에 대한 의견을 인터뷰 한다. 조벽 교수와 인터뷰 한다. 삶의 질에 대한 정의와 사람들의 개념에 대해 자료조사를 보여준다. 칙센트 미하이의 인터뷰를 보여준다. 박자연씨의 인터뷰를 한다. 박자연 씨의 삶을 나레이터와 이미지를 통해 소개 한다. 봉사단체의 리더로써 대중들 앞에서 강연한다. 구호 단체 활동 아프리카서 보여준다. 지금까지 장면들을 요약하여 보여주고 음악을 삽입하여 최종 결론으로 시청자들에게 행복에 대해 제안한다.
3.
VIDEO 대로변의 사람들
AUDIO NA: 무엇을 가지면 행복해질까?
사람들 : 차, 집, 돈, 돈이요 요즘 사람들 돈이 많으면 행복하잖아요.
NA : 돈이 많으면 행복할까 원하는걸 가지면 행복할까
VIDEO 서울 신촌의 한 음식점
AUDIO NA : 창수씨의 하루는 오후 다섯시에 시작된다. 서둘러 준비를 마치기 무섭게
시작된다. 10년간의 회사 생활을 청산하고 사업을 시작한지 7년째, 작년 이
고기집에서 비로소 대박이 터졌다. 어렵게 잡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연중 무휴로 일한다. 손님이 뜸해지는 새벽 2시가 그의 식사 시간이다. 마지막
손님이 일어나면 새벽 4시 하루일과가 드디어 끝났다. 가게를 대충 정리하고
가게를 나오면 새벽 4시반 집에 가면 5시다.
VIDEO 창수씨 집
AUDIO NA : 두 딸이 아빠 얼굴을 보기 쉽지 않다. 아빠가 자는 동안 엄마가 나머지 일과를
꾸려 나간다. 창수씨의 아이는 두 딸을 집근처 어린이집에 맡긴다. 창수씨의
부인은 오전에 혼자 장사를 한다. 경비를 줄이기 위해 친정엄마와 일하는
아줌마는 오후 두시쯤 오게 한다. 좀 여유를 부릴 틈 없이 이젠 아이를 대려
가야 한다. 네 시 반부터 약 삼십분 가량이 하루 중 온 가족이 모이는
시간이다.
최광수 : 어느날 그러더라고요. 큰애가 우린 언제 같이 사냐고, “지금 같이
사는거야”라고 얘기를 했는데 아직 제 딸아이한테는 그게 이해
안되나봐요.
권윤현 : 저희는 밥도 같이 못먹어요. 시간이 안 맞아 가지고. 최광수 : 50살 넘으면 그때부터는 좀 즐기고 싶어요. 여행도 다니고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좀 투자를 해서 열심히 안 해도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만들어 놓고 편안하게 그때는 진짜 시간이 부자인 사람이 되고
싶어요.
NA : 그가 생각하는 진짜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 하다.
VIDEO 연세대 염유식 교수실
AUDIO NA : 우리는 연세대 사회학화 염유식 교수와 함께 서울 시민 1024명의 행복도를
조사했다.
서울 시민의 40.6%가 행복하기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돈이라고 했다.
VIDEO 자료 조사 그래프
AUDIO NA : 돈이 50 ~ 60억 사이가 가장 행복하다고 했다. 대학민국 1%의 기준자산과
비슷했다. 그런데 가계 소득 400만원을 벗어나면 돈을 더 많이 번다고
행복하다고 답하지는 않았다. 즉 월 평균 소득이 430만원인 사람과 680만원인
사람의 차이는 별 차이가 없었다.
VIDEO 연세대 염유식 교수실
ADUIO 염유식 : 항상 100만원 더 벌 때마다 더 행복해지는건 아니라는게 나왔고요.
그 기준이 우리나라에서는 400만원 정도 되는 걸로 나와서 400만원
이상이면 더 이상 행복하지 않는 걸로 나왔습니다.
PD : 왜그럴까요?
염유식 : 돈을 400만원 이상 벌게 되면 아무래도 그만큼 희생하는게 있는 것
같습니다. 가족관계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