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1.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성장과정
1.1. 위치 및 현황
1.2. 형성배경 및 발전과정
2.본론
2.1. 소피아 앙티폴리스 개발 과정 "혁신환경의 변화"
2.2.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기업입지 및 성공요인
2.3.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성공 요인
3.결론
3.1.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
3.2. 소피아 앙티폴리스로 부터 한국의 교훈(벤치마킹)
3.3. 한국 도시 비슷한 적용하기
4. 참고문헌
1.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성장과정
1.1. 위치 및 현황
1.2. 형성배경 및 발전과정
2.본론
2.1. 소피아 앙티폴리스 개발 과정 "혁신환경의 변화"
2.2.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기업입지 및 성공요인
2.3.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성공 요인
3.결론
3.1.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
3.2. 소피아 앙티폴리스로 부터 한국의 교훈(벤치마킹)
3.3. 한국 도시 비슷한 적용하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용하기
4. 참고문헌
1.서론
1. 소피아 앙티폴리스((Sophia Antipolis) )의 성장과정
1.1. 위치 및 현황
유럽 최대 첨단 과학단지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프랑스의 남부지역과 이탈리아와의 접경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이는 프랑스 26개 레지옹(region 지역) 중의 하나인 알프스-코트다쥐르 레지옹에 속해 있는 유럽의 유명 휴양도시 니스와 영화제로 유명한 칸느 및 그라스, 앙티브 등 4개 도시 중심지인 프랑스 리비에라 해안에 입지하고 있으며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그리스신화에 나온 지혜의 신 \'소피아(Sophia)\'와 전원도시(反都市)라는 뜻을 담고 있는 \'앙티폴리스(Antipolis)\'가 합쳐진 말이다.
소피아 앙티폴리스 유럽 최초최대 첨단클러스터로 Antibes, Biot, Valbonne, Vallauris, Mougins 등 5개의 코뮨(Commune 시·읍·면)에 걸친 2,300ha(약 690만 평)의 부지를 환경친화형으로 개발, 그린벨트공원 등 녹지대가 65%이며, 연구생산활동 부지는 약 28%, 주거 공간은 6%에 불과하다.
소피아 앙티폴리스에는 유럽통신표준연구소(ETSI), 국립정보과학대학(ESSI) 등 70여개 연구교육기관과 프랑스텔레콤, 에어프랑스, IBM, 시스코 시스템즈 등 60여개국 1,270여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입주 기업 중 41 %는 정보기술(IT) 업종으로 소피아 앙티폴리스에서 일하는 전체 직원(2만 6,000여명) 중 58%, 총 수입 중 42%를 차지하고 있다.
1.2. 형성배경 및 발전과정
1960년대 이전에는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와 주변의 니스국제공항 등 양호한 인프라를 근간으로 관광산업이 주로 발달한 대표적인 휴양지로서 대학이나 연구소 및 기업 등 산업적인 전통이나 지적 자산은 전혀 없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관광산업에 한계를 느낀 지방정부와 지역 인사들이 지속적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대안 마련에 부심하면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프랑스의 남부지역과 이탈리아와의 접경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이는 프랑스 26개 지역중의 하나인 프로방스, 알프스, 코트다쥐르 지역에 속해 있는 유럽의 유명 휴양지, 코트 다쥐르 해안에 소재하고 있으며, 인구 약 30만에 가까운 니스라는 도시에서 약 12km 떨어진 곳에 입지하고 있다.
성장과정(라피트)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형성과정에는 라피트라는 한 개인의 의욕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라피트 의원은 소피아 앙티폴리스가 위치한 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태어나 1960년대 초부터 파리국립광산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1960년대 포 프랑스 르몽드지에 파리의 학생가인 라틴구에 비유하여 \'들판의 라틴\'란 글을 기고하면서 오늘날의 소피아 앙티폴리스와 같이 과학과 문화, 도시가 어우러진 새로운 개념의 삶과 일터를 조성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기고 하였다. 그는 나중에 대학의 부학장을 거쳐 상원의원에 당선되었는데, 전 생애를 소피아 앙티폴리스를 위해 헌신적으로 일해 왔다.
라피트는 소피아 앙티폴리스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대학, 의회의원들을 접촉, 설득하여 1969년 소피아 앙티폴리스 협회라는 추진조직을 결성하였으며, 이 조직이 주체가 되어 5개의 코뮨에 걸친지역에 \'개발유보지역\'을 지정하도록 하였다. 1972년에는 2,300ha에 달하는 이 지구를 5개의 정부 부처간 합의로 첨단산업지구로 지정하고, 필요한 개발계획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였으며, 부지조성 및 입주회사 유치등과 같은 실질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SYMIVAL을 설립하였다. 이 곳은 1972년 전 개발예정 부지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하여 전체 면접의 삼분의 일을 혁신기술, 주택 등을 위한 지역으로 개발하고, 나머지는 그린벨트로 지정하여 자연과 환경이 공존하는 첨단산업 집적지로 조성하기 시작했다.
원래 1960년대 초부터 인근지역에는 전통적 의미의 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그리고 1962년에는 IBM이 인근의 La Gaude 코뮨에, 그리고 텍사스 Instruments가 Villeneuve Loubet 코뮨에 각각 입주해서 경영을 시작하면서 이 지역에서 소피아 앙티폴리스와 같은 첨단산업집적지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어서 1965년에는 니스에 니스대학이 설립되었고, 1970년에는 CERGA, CNET, INRA 등과 같은 과학기술관련 실험시설 및 기관이 인접 코뮨에 입주하기 시작하였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1970년대부터 서서히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74년 이후 1980년대 초반까지 오늘날 300명을 고용하는 연구개발회사로 성장한 French Oil Institute의 자회사, FRANLAB이 입주하였고, 스위스의 Rohm & Hass가 소피아 앙티폴리스로 이전하였고, 프랑스 최대의 정부출연 과학기술원에 해당하는 국립과학연구소, Air France의 예약센터, 그리고 세계 굴지의 컴퓨터 관련 회사인 Digital Equipments의 유럽지사 등이 잇달아 소피아 앙티폴리스에 입주하였다. 라프트가 재직하고 있던 국립광산학교의 분교 역시 1976년 소피아 앙티폴리스로 확장, 이주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1982년 총 125개 회사에 3,700명, 2003년까지는 총 1,200여개의 업체에 24,500명의 종업원을 수용하는 세계 굴지의 첨단산업단지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 가운데 148개 회사가 외국 회사이며, 종업원 가운데 총4,000명의 고급 연구인력인 것으로 파악된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1970년대 중반 다소 주춤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비록 단지조성은 완료되었지만 입주업체간 교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벨리와 같이 토착기업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인 혁신환경이 조성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첨단기술의 섬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는 모든 개발 부지의 분양이 완료되고, 추가적인 토지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그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또한 처음부터 참여 했던 5개의 코뮨 외 주변의 다른 코뮨들도 이 사업에 참여하기를
4. 참고문헌
1.서론
1. 소피아 앙티폴리스((Sophia Antipolis) )의 성장과정
1.1. 위치 및 현황
유럽 최대 첨단 과학단지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프랑스의 남부지역과 이탈리아와의 접경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이는 프랑스 26개 레지옹(region 지역) 중의 하나인 알프스-코트다쥐르 레지옹에 속해 있는 유럽의 유명 휴양도시 니스와 영화제로 유명한 칸느 및 그라스, 앙티브 등 4개 도시 중심지인 프랑스 리비에라 해안에 입지하고 있으며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그리스신화에 나온 지혜의 신 \'소피아(Sophia)\'와 전원도시(反都市)라는 뜻을 담고 있는 \'앙티폴리스(Antipolis)\'가 합쳐진 말이다.
소피아 앙티폴리스 유럽 최초최대 첨단클러스터로 Antibes, Biot, Valbonne, Vallauris, Mougins 등 5개의 코뮨(Commune 시·읍·면)에 걸친 2,300ha(약 690만 평)의 부지를 환경친화형으로 개발, 그린벨트공원 등 녹지대가 65%이며, 연구생산활동 부지는 약 28%, 주거 공간은 6%에 불과하다.
소피아 앙티폴리스에는 유럽통신표준연구소(ETSI), 국립정보과학대학(ESSI) 등 70여개 연구교육기관과 프랑스텔레콤, 에어프랑스, IBM, 시스코 시스템즈 등 60여개국 1,270여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입주 기업 중 41 %는 정보기술(IT) 업종으로 소피아 앙티폴리스에서 일하는 전체 직원(2만 6,000여명) 중 58%, 총 수입 중 42%를 차지하고 있다.
1.2. 형성배경 및 발전과정
1960년대 이전에는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와 주변의 니스국제공항 등 양호한 인프라를 근간으로 관광산업이 주로 발달한 대표적인 휴양지로서 대학이나 연구소 및 기업 등 산업적인 전통이나 지적 자산은 전혀 없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관광산업에 한계를 느낀 지방정부와 지역 인사들이 지속적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대안 마련에 부심하면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프랑스의 남부지역과 이탈리아와의 접경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이는 프랑스 26개 지역중의 하나인 프로방스, 알프스, 코트다쥐르 지역에 속해 있는 유럽의 유명 휴양지, 코트 다쥐르 해안에 소재하고 있으며, 인구 약 30만에 가까운 니스라는 도시에서 약 12km 떨어진 곳에 입지하고 있다.
성장과정(라피트)
소피아 앙티폴리스의 형성과정에는 라피트라는 한 개인의 의욕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라피트 의원은 소피아 앙티폴리스가 위치한 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태어나 1960년대 초부터 파리국립광산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1960년대 포 프랑스 르몽드지에 파리의 학생가인 라틴구에 비유하여 \'들판의 라틴\'란 글을 기고하면서 오늘날의 소피아 앙티폴리스와 같이 과학과 문화, 도시가 어우러진 새로운 개념의 삶과 일터를 조성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기고 하였다. 그는 나중에 대학의 부학장을 거쳐 상원의원에 당선되었는데, 전 생애를 소피아 앙티폴리스를 위해 헌신적으로 일해 왔다.
라피트는 소피아 앙티폴리스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대학, 의회의원들을 접촉, 설득하여 1969년 소피아 앙티폴리스 협회라는 추진조직을 결성하였으며, 이 조직이 주체가 되어 5개의 코뮨에 걸친지역에 \'개발유보지역\'을 지정하도록 하였다. 1972년에는 2,300ha에 달하는 이 지구를 5개의 정부 부처간 합의로 첨단산업지구로 지정하고, 필요한 개발계획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였으며, 부지조성 및 입주회사 유치등과 같은 실질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SYMIVAL을 설립하였다. 이 곳은 1972년 전 개발예정 부지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하여 전체 면접의 삼분의 일을 혁신기술, 주택 등을 위한 지역으로 개발하고, 나머지는 그린벨트로 지정하여 자연과 환경이 공존하는 첨단산업 집적지로 조성하기 시작했다.
원래 1960년대 초부터 인근지역에는 전통적 의미의 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그리고 1962년에는 IBM이 인근의 La Gaude 코뮨에, 그리고 텍사스 Instruments가 Villeneuve Loubet 코뮨에 각각 입주해서 경영을 시작하면서 이 지역에서 소피아 앙티폴리스와 같은 첨단산업집적지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어서 1965년에는 니스에 니스대학이 설립되었고, 1970년에는 CERGA, CNET, INRA 등과 같은 과학기술관련 실험시설 및 기관이 인접 코뮨에 입주하기 시작하였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1970년대부터 서서히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74년 이후 1980년대 초반까지 오늘날 300명을 고용하는 연구개발회사로 성장한 French Oil Institute의 자회사, FRANLAB이 입주하였고, 스위스의 Rohm & Hass가 소피아 앙티폴리스로 이전하였고, 프랑스 최대의 정부출연 과학기술원에 해당하는 국립과학연구소, Air France의 예약센터, 그리고 세계 굴지의 컴퓨터 관련 회사인 Digital Equipments의 유럽지사 등이 잇달아 소피아 앙티폴리스에 입주하였다. 라프트가 재직하고 있던 국립광산학교의 분교 역시 1976년 소피아 앙티폴리스로 확장, 이주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1982년 총 125개 회사에 3,700명, 2003년까지는 총 1,200여개의 업체에 24,500명의 종업원을 수용하는 세계 굴지의 첨단산업단지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 가운데 148개 회사가 외국 회사이며, 종업원 가운데 총4,000명의 고급 연구인력인 것으로 파악된다.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1970년대 중반 다소 주춤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비록 단지조성은 완료되었지만 입주업체간 교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벨리와 같이 토착기업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인 혁신환경이 조성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첨단기술의 섬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는 모든 개발 부지의 분양이 완료되고, 추가적인 토지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그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또한 처음부터 참여 했던 5개의 코뮨 외 주변의 다른 코뮨들도 이 사업에 참여하기를
추천자료
중소기업의 국제 마케팅 믹스 전략 (대구 지역 - 쉬메릭, 청석)
아모레 퍼시픽의 'Lolita Lempicka' 향수의 현지화 성공사례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품질경영(TQM)의 원천과 활동요인 및 경영성과
글로벌 경영환경
마이크로소프트(MS)의 국제화전략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국제화 전략
[경영용어][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해설][경제][경영]경영경제용어(경영용어, ...
글로벌 기업의 광고 전략
글로벌 경영을 향한 ‘로레알(L'OREAL)’의 전략.
무역계약의 성립요건과 단계
[기아자동차 기업분석]기아차 경영전략,기아자동차 디자인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현대건설 대우건설 소개 및 이념-경영철학,경영전략사례,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야후 Yahoo! - 야후소개,야후글로벌전략사례,야후경영전략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신한은행 소개,경영철학 경영원칙,신한은행 조직구조,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