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정의
Ⅲ.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역사
Ⅳ.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종류
1. 오사카 도오카에비스(大阪市 十日戎)
2. 히메지시 나다마츠리(姬路市 灘祭り)
3. 가라쓰시 가라쓰쿤치(唐津市 唐津くんち)
4. 도쿄의 칸다마쯔리(神田祭)
5. 교토의 기온마쯔리(祇園祭)
6. 오사카의 텐진마쯔리(天神祭)
Ⅴ.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특징
Ⅵ.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성격
1. 서민문화의 성향이 강함
2. 여러 형태와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의식문화이다
3. 씨족들이 운영하는 집단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4. 질서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Ⅶ.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역할
Ⅷ.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표상
참고문헌
Ⅱ.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정의
Ⅲ.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역사
Ⅳ.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종류
1. 오사카 도오카에비스(大阪市 十日戎)
2. 히메지시 나다마츠리(姬路市 灘祭り)
3. 가라쓰시 가라쓰쿤치(唐津市 唐津くんち)
4. 도쿄의 칸다마쯔리(神田祭)
5. 교토의 기온마쯔리(祇園祭)
6. 오사카의 텐진마쯔리(天神祭)
Ⅴ.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특징
Ⅵ.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성격
1. 서민문화의 성향이 강함
2. 여러 형태와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의식문화이다
3. 씨족들이 운영하는 집단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4. 질서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Ⅶ.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역할
Ⅷ.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표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한 공동체적 질서유지와 재생산에 순기능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기능들이 엷어지게 되면 일부사람이나 집단/조직들의 이익 추구를 위해 만들어진 이벤트나 쇼 혹은 단순한 향연이나 퍼레이드로 전락해 버리기도 한다. 여러 사회에서 행하여지는 \'축제\'의 의의와 기능으로 흔히들 \'일상의 전도\'를 지적한다. 축제는 일상을 비일상의 시공간으로 격리하며 세속의 삶을 일정 기간 전환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축제의 시공간은 일상의 부정이며 정지이며, 따라서 카오스 상태 즉 혼돈과 무질서의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일시적으로 해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축제가 끝나고 다시 일상의 질서로 전환될 때까지 지속되게 된다. 일본사회의 마츠리도 바로 이 축제 일반의 속성과 다르지 않음은 앞에서 보아 온 바이다. 일상의 시공간을 \'비일상의 시공간\'으로 전환시킴으로서 얻게 되는 카오스의 해방공간과 거기서 얻게 되는 희열감도취감이 마츠리의 최대 매력이 된다는 점이 바로 마츠리의 기능과 역할이자 현대적 번창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Ⅷ.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표상
신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인간들은 신이 존재하고 있는 곳을 인식하고 또한 나타내기 위한 어떤 것을 만들어 낸다. 즉 신이 존재하는 신성한 구역을 상징하는 표상을 여러 형태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한편 인간이 신과의 만남과 접촉을 위하여 혹은 그곳에 다가가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에 필요한 상징물이나 표상들도 많이 있다. 이런 것들은 본래 자연물에서 출발하였으나 인간들의 손에 의해 가공되면서 세련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표상들 중에서 기본적이며 중요한 것의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이 물이다. 일본사회에 산재하는 전통적 종교시설 중에서도 특히 신사 앞에는 물이 흐르는 장소가 반드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성역에 들어가기 전에 세속에 절은 몸과 마음을 정화하도록 마련된 수세천(御手洗川:미타라시가와)이나 수구리장(水垢離場:미즈고리바) 혹은 수수장(手水場:쵸오즈바)과 같은 공간이 그것이다. 참배자들은 이곳에서 손과 입을 씻고 신사 경내로 들어가 참배하게 된다. 한편 마츠리 때에는 이를 성립시키는 주요 구성원들이 이곳에서 목욕재계(沐浴齋戒)를 하기도 한다. 이를 미소기()라고 하는데 물로 부정(不淨)을 씻어서 몸을 깨끗이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즈고리(水垢離)라고도 하며 고대부터 중세에 걸쳐 신사에서 우선적으로 행해진 정화 수단으로서 엄격하게 지켜져 왔다고 할 수 있다. 바다에서 하는 해수욕은 최근에 들어와 만들어진 풍습의 하나지만 바닷가에서 소금물을 뒤집어쓰는 것은 시오아비(鹽あび)라 해서 소금이 가진 주술 효과를 얻기 위해 행해졌다. 즉 정화(淨化)나 불제(除:하라에)의 수단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져 일본사회에서 습속화 되어진 측면이 있다. 미소기를 행한 다음에야 성스러운 행위로 전이할 수 있다는 관념이 일본사회의 마츠리에 관통하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본디 물에는 민속용어로 케가레(濊れ)라고 흔히 불리는 부정한 어떤 것을 씻어내는 힘이 잠재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실질적인 측면에서 물은 벼농사를 주된 생업으로 하던 일본의 농경사회에서는 필요불가결의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물이 원초적으로 가진 주술적 영력보다도 사실상 일상의 생활과 훨씬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일본인의 의식에 복류해 왔었다는 사실일 것이다(大島他,1983:382).
물에 못지않게 마츠리에서 불가결의 표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로 불의 존재이다. 세계 각지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불에 대한 원시신앙이 여기에도 그 근저를 이루고 있는 셈인데, 오랜 세월동안 인류에게 있어 불은 끊임없이 영구히 보존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마츠리에서 보이는 여러 종류의 불들도 이러한 성화(聖火)의 일종으로, 난방이나 조명과 같은 용도 이외에 신령의 표상으로서 존재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불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횃불이다. 횃불을 의미하는 일본어는 타이마츠(松明)인데 마츠리의 시공간에 들어가게 되면 지역주민들은 신사를 찾게 되고 이 때 이들 손에는 작은 나무조각 다발들이 예외 없이 들려져 있게 마련이다. 또 오쇼오가츠(お正月)와 함께 일본의 2대 명절 중의 하나로 꼽히는 오봉(お盆) 때에는 각 집에서 반드시 준비해 놓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이 타이마츠 다발이다. 손에 소형의 타이마츠를 피워 흔들거나 백팔개의 타이마츠를 들거나 하는 것은 모두 불의 정화 작용에 기초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 타이마츠를 많이 모아서 고정시킨 카가리비는 야외에서의 조명으로 쓰여지던 것이다. 타이마츠나 카가리비를 통해서 신맞이(神迎에:카미무카에)와 신보내기(神送리:카미오쿠리)의 표상으로 확실하게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이마츠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용적 용도와 함께 마츠리의 시공간에서는 신령의 강림을 재촉하거나 혹은 그 자체가 신령의 표상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동시에 타이마츠는 성화로서 악령을 물리치고 공간을 정화는 기능도 부여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마츠리에 있어서 신의 존재와 관련된 표상으로 역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종이이다. 신령이 사람에게 빙의하는 경우를 요리마시라고 하는데 이것이 물체인 경우에는 의대(依代), 민속용어로는 요리시로라고 한다. 어폐(御幣:고헤이)는 바로 이 의대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져 왔다. 어폐의 재료로 주로 종이가 이용되고 있는데 753의 형태로 자른 종이형이나 좌우로 깨끗하게 늘어뜨린 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전에는 이보다 더 소박한 형태로 상록수 작은 가지에 포나 종이를 찔러 둔 형태이었다고 한다. 현재 어폐의 종류는 다양하여 긴 대나무나 봉에 홍백이나 황청 등과 같은 극채색의 종이나 포를 수많이 늘어뜨린 대형 어폐도 있다. 어폐를 가진 사람은 신을 부를 능력이 있다고 여겨졌다. 샤머니즘적 유형의 종교의례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신앙 관련의 무녀(巫女:미코)나 행자(行者:교오쟈)가 어폐를 흔들면서 접신 상태로 들어가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다. 신령이 깃들어 있다고 믿어지는 어폐는 한편에서는 악령을
Ⅷ. 마쯔리(마츠리, 일본축제)의 표상
신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인간들은 신이 존재하고 있는 곳을 인식하고 또한 나타내기 위한 어떤 것을 만들어 낸다. 즉 신이 존재하는 신성한 구역을 상징하는 표상을 여러 형태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한편 인간이 신과의 만남과 접촉을 위하여 혹은 그곳에 다가가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에 필요한 상징물이나 표상들도 많이 있다. 이런 것들은 본래 자연물에서 출발하였으나 인간들의 손에 의해 가공되면서 세련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표상들 중에서 기본적이며 중요한 것의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이 물이다. 일본사회에 산재하는 전통적 종교시설 중에서도 특히 신사 앞에는 물이 흐르는 장소가 반드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성역에 들어가기 전에 세속에 절은 몸과 마음을 정화하도록 마련된 수세천(御手洗川:미타라시가와)이나 수구리장(水垢離場:미즈고리바) 혹은 수수장(手水場:쵸오즈바)과 같은 공간이 그것이다. 참배자들은 이곳에서 손과 입을 씻고 신사 경내로 들어가 참배하게 된다. 한편 마츠리 때에는 이를 성립시키는 주요 구성원들이 이곳에서 목욕재계(沐浴齋戒)를 하기도 한다. 이를 미소기()라고 하는데 물로 부정(不淨)을 씻어서 몸을 깨끗이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즈고리(水垢離)라고도 하며 고대부터 중세에 걸쳐 신사에서 우선적으로 행해진 정화 수단으로서 엄격하게 지켜져 왔다고 할 수 있다. 바다에서 하는 해수욕은 최근에 들어와 만들어진 풍습의 하나지만 바닷가에서 소금물을 뒤집어쓰는 것은 시오아비(鹽あび)라 해서 소금이 가진 주술 효과를 얻기 위해 행해졌다. 즉 정화(淨化)나 불제(除:하라에)의 수단으로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져 일본사회에서 습속화 되어진 측면이 있다. 미소기를 행한 다음에야 성스러운 행위로 전이할 수 있다는 관념이 일본사회의 마츠리에 관통하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본디 물에는 민속용어로 케가레(濊れ)라고 흔히 불리는 부정한 어떤 것을 씻어내는 힘이 잠재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실질적인 측면에서 물은 벼농사를 주된 생업으로 하던 일본의 농경사회에서는 필요불가결의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물이 원초적으로 가진 주술적 영력보다도 사실상 일상의 생활과 훨씬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일본인의 의식에 복류해 왔었다는 사실일 것이다(大島他,1983:382).
물에 못지않게 마츠리에서 불가결의 표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로 불의 존재이다. 세계 각지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불에 대한 원시신앙이 여기에도 그 근저를 이루고 있는 셈인데, 오랜 세월동안 인류에게 있어 불은 끊임없이 영구히 보존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마츠리에서 보이는 여러 종류의 불들도 이러한 성화(聖火)의 일종으로, 난방이나 조명과 같은 용도 이외에 신령의 표상으로서 존재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불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횃불이다. 횃불을 의미하는 일본어는 타이마츠(松明)인데 마츠리의 시공간에 들어가게 되면 지역주민들은 신사를 찾게 되고 이 때 이들 손에는 작은 나무조각 다발들이 예외 없이 들려져 있게 마련이다. 또 오쇼오가츠(お正月)와 함께 일본의 2대 명절 중의 하나로 꼽히는 오봉(お盆) 때에는 각 집에서 반드시 준비해 놓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이 타이마츠 다발이다. 손에 소형의 타이마츠를 피워 흔들거나 백팔개의 타이마츠를 들거나 하는 것은 모두 불의 정화 작용에 기초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 타이마츠를 많이 모아서 고정시킨 카가리비는 야외에서의 조명으로 쓰여지던 것이다. 타이마츠나 카가리비를 통해서 신맞이(神迎에:카미무카에)와 신보내기(神送리:카미오쿠리)의 표상으로 확실하게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이마츠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용적 용도와 함께 마츠리의 시공간에서는 신령의 강림을 재촉하거나 혹은 그 자체가 신령의 표상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동시에 타이마츠는 성화로서 악령을 물리치고 공간을 정화는 기능도 부여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마츠리에 있어서 신의 존재와 관련된 표상으로 역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종이이다. 신령이 사람에게 빙의하는 경우를 요리마시라고 하는데 이것이 물체인 경우에는 의대(依代), 민속용어로는 요리시로라고 한다. 어폐(御幣:고헤이)는 바로 이 의대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져 왔다. 어폐의 재료로 주로 종이가 이용되고 있는데 753의 형태로 자른 종이형이나 좌우로 깨끗하게 늘어뜨린 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전에는 이보다 더 소박한 형태로 상록수 작은 가지에 포나 종이를 찔러 둔 형태이었다고 한다. 현재 어폐의 종류는 다양하여 긴 대나무나 봉에 홍백이나 황청 등과 같은 극채색의 종이나 포를 수많이 늘어뜨린 대형 어폐도 있다. 어폐를 가진 사람은 신을 부를 능력이 있다고 여겨졌다. 샤머니즘적 유형의 종교의례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신앙 관련의 무녀(巫女:미코)나 행자(行者:교오쟈)가 어폐를 흔들면서 접신 상태로 들어가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다. 신령이 깃들어 있다고 믿어지는 어폐는 한편에서는 악령을
추천자료
지역축제의 관광상품 현황및 향후방안 (하동야생차축제를 중심으로)
현대무용 관람문(일본의 부토 : 다이라 쿠다칸을 보고)
[세계의 축제][한국의 축제][축제][축제 사례][이벤트][관광상품][문화관광상품][지역축제][...
[축제, 이색축제, 축제 발전 전략] 세계의 이색축제와 국내 축제를 통해본 축제 발전 전략 - ...
[축제][한국축제]세계 각국의 축제를 통해본 한국축제의 현주소와 활성화 방안(축제의 성격과...
부산국제연극제 축제 현황과 평가및 발전방향 보고서(축제보고서)
[2008 방송대 세계의풍속과문화]대항해시대 온라인게임으로 살펴본 일본인의 특징적성향 분석...
한국축제와 세계축제
을사늑약 100년, 그때 일본이 탄생했다 - 제1편 러일전쟁
[경기도 과천시][경기도][과천시][과천][지명유래][공연인프라][과천시 성장][과천시 축제][...
[국제][국제방송][국제관광][국제꽃박람회][국제영화제][국제축제][국제페스티벌][방송][관광...
삿포로 눈축제 (さっぽろ雪まつり) - 홋카이도 삿포로, 삿포로 눈축제 역사와 발전 과정 및 ...
[축제 활성화 사업계획서] 축제 서비스 사업계획서 - 축제 활성화 사업계획서, 축제 활성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