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류][해류 개념][해류 현황][해류추정][대양대순환해류][해역][어패류][자연과학][바다][수온분포][조류]해류의 개념, 해류의 현황, 해류와 해류추정, 해류와 대양대순환해류, 해류와 해역, 해류와 어패류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류][해류 개념][해류 현황][해류추정][대양대순환해류][해역][어패류][자연과학][바다][수온분포][조류]해류의 개념, 해류의 현황, 해류와 해류추정, 해류와 대양대순환해류, 해류와 해역, 해류와 어패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해류의 개념
1. 해류의 측정법
1) 고전적 측정법
2) 최신의 측정법
2. 해류를 일으키는 힘
1) 바람의 응력
2) 수압경도력
3) 코리올리힘
3. 힘의 평형
1) 에크만 운동
2) 지형류 평형
3) 관성운동

Ⅲ. 해류의 현황

Ⅳ. 해류와 해류추정
1. 형태추적법
2. 최대상관계수법(MCC : Maximum Cross-Correlation Method)
3. 역행렬법

Ⅴ. 해류와 대양대순환해류

Ⅵ. 해류와 해역
1. 동해해역
2. 동남해역
3. 제주도해역

Ⅶ. 해류와 어패류
1. 쿠로시오난류에 사는 어패류
1) 농어
2) 갈치
2. 쓰시마난류에 사는 어패류
1) 조기
2) 아귀
3. 동한난류에 사는 어패류
4. 황해난류에 사는 어패류
1) 쑥두툴감펭
2) 호박돔
3) 털쑥감펭

참고문헌

본문내용

압력구배력의 크기는 깊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밀도가 큰 해수와 밀도가 작은 해수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때의 압력 구배력은 수심의 깊이에 따라 커진다.
3) 코리올리힘
지구의 자전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코리올리힘 또는 전향력
→회전속도가 적도 부근에서 작고 극에 가까울수록 커진다.
-해수 및 대기의 운동 양상에 큰 영향을 끼친다.
→에크만 나선운동, 지형류, 관성운동, 해수의 순환, 서안경계휴 및 용승과 침강 등
3. 힘의 평형
1) 에크만 운동
-표면 해수의 이동은 바람 방향의 오른쪽 45˚방향으로 이동
-북반구에서는 오른쪽 직각방향으로 , 남반구에서는 왼쪽 직각방향으로 일어난다.
-해양에서 마찰 저항층보다 더 깊은 곳의 해류는 지형류의 성질을 가진다. 북태평양의 쿠로시오 해류, 북대서양의 걸프 해류, 우리나라 주변의 대마난류와 동한난류 등, 모든 해류는 지형류 평형을 이루고 있다.
2) 지형류 평형
해양에서 마찰 저항층보다 더 깊은 곳의 해류는 지형류의 성질을 가진다. 북태평양의 쿠로시오 해류, 북대서양의 걸프 해류, 우리나라 주변의 대마난류와 동한난류 등, 모든 해류는 지형류 평형을 이루고 있다.
3) 관성운동
수평방향의 코리올리힘만이 작용한다면, 남반구에서는 반 시계방향으로 원운동을 한다.
Ⅲ. 해류의 현황
우리나라의 동해안 해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류는 일본 큐슈(九洲) 남쪽에서 쿠로시오(黑潮) 본류(本流)로부터 분리되어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로 유입되는 대한난류로서 크게 1, 2, 3분지류로 분류된다. 제1분지류(第1分枝流)는 대한해협의 동수도(東水道)를 지나 일본 혼슈(本洲)의 북서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른다. 제2분지류는 대한해협의 서수도(西水道)를 거쳐 동해로 유입하면서 동쪽으로 전향하여 오키제도(隱岐諸島) 외해를 거쳐 노토반도(能登半島) 근해에서 제1분지류와 합류하여 북쪽으로 흘러간다. 제3분지류는 동한난류라고도 말하며, 서수도를 지난 제2분지류에서 분리되어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며, 죽변근해에서 남하하는 한류 세력과 서로 만나 혼합되면서 동쪽으로 전향하여 노토(能登)근해에서 제1, 제2지류와 합류하며, 계절과 해에 따라 세력의 성쇄가 있어 북상하는 세력의 일부는 함경남도 근해까지 미치는 것으로 보이나 겨울철에는 죽변~울릉도사이에서 주문진 외해까지가 한계로 보인다.
한국근해의 해류순환에 관해 널리 인용되고 있는 자료는 크게 두 가지로 Uda(1934)에 의한 동해 해류모식도와 CSK 관측에 의한 1965-66년의 결과이다.
북상하는 해류의 외측(울릉도 서부와 북부)에서는 난류의 유향이 동쪽으로 전향함에 따라 좌선회(左旋回)하는 와류를 형성하며, 비교적 난온(暖溫)(10℃이상), 고염(高鹽)(34.2 ‰이상)인 대한난류의 따뜻한 흐름이 표면하 200m의 깊은 수심까지 미치고 있으며, 강원도 북부 외해에서도 우선회하는 와류를 볼 수 있고, 이 부근 일대에서는 한류와 난류가 서로 만나 복잡한 해류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동해에 유입한 대한난류는 그 대부분이 쓰가루해협(津輕海峽)과 소야해협(宗谷海峽)을 지나 태평양쪽으로 흘러가는 한편, 동해북부에 있는 해수는 그 해역의 기후, 특히 겨울철의 저온 및 혼합수에 의해 수온이 낮아져 그 수괴(水塊)가 리만해류(Liman Current)를 형성하고, 연해주 부근에서는 연해주해류, 북한 근해에서는 북한한류(N. Korea Cold Current)를 형성한다.
Ⅳ. 해류와 해류추정
해양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물질을 이동시키는 해류이다. 그러나 해류가 시공간적으로 큰 규모이므로 관측이 어렵고 관측방법도 다양하다. 또한 특정 방법만으로 해류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관측 방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상호 보완함이 바람직하다. 위성자료를 이용한 해류의 추정은 표층에 국한되며,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으나, 지속적이며 주기적으로 넓은 해역을 극히 짧은 시간에 관측하는 장점이 있다.
한반도 인근해역에서 AVHRR/SST(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Sea Surface Temperature 표층해수온도)를 이용한 연구는 대마난류의 기원과 황해 연안역의 열전선 및 대마난류의 이동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동해 표층순환과 관계된 SST의 분포와 동해 남서해역에 나타나는 와류의 크기와 변화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SST 화상자료로부터 해양표층의 유속을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형태추적법(Feature Tracking Method), 통계적인 방법인 최대상관계수법(Maximum Cross Correlation Method), 온도보전식을 이용한 역행렬법(Inverse Method)등이 연구에 응용되고 있다.
1. 형태추적법
연속된 시간의 두 영상을 비교하면 형상의 변화가 나타난다. 특징적인 형상의 변화를 연속된 영상으로부터 추적하여 해수 이동을 추정한다. 해수의 움직임에 확산을 고려하지 않고 이류 효과만을 가정하여 특징적인 형태를 이동거리와 경과시간으로부터 유속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2. 최대상관계수법(MCC : Maximum Cross-Correlation Method)
MCC는 격자로 구성된 연속 SST 화상 사이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여 상관계수가 최대인 방향으로 유속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지구물리학적 측면에서 구름과 빙산의 이동양상에 대하여 응용되었다.
대량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유속 벡터는 항상 같다. 또한 다른 화상 자료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3. 역행렬법
역행렬법은 해수의 흐름과 관련이 있는 온도보존방정식의 이류항이 표층의 수온경사를 이동시키는 표층유속으로 가정하여 계산하는 것이다.
Ⅴ. 해류와 대양대순환해류
북유럽 노르웨이와 그린란드 사이에는 멕시코 만류가 흐른다. 해류는 바람에 의해 생긴다. 그런데 유독 멕시코 만류만은 이를 거슬러 노르웨이 해안까지 흐른다. 이 난류에 의해 따뜻하게 데워진 바닷물이 대기의 온도를 높여 줘 섬 전체가 항상 온화한 기후를 유지한다. 이 현상의 원인은 미국과 소련의 핵실험으로 인해 우연히 발견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