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개념의 정의
1.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55)
2. 수학 교사용 지도서(교육 인적 자원부, 2002)
3. 개념형성론(김대수, 1994)
Ⅲ. 개념의 형성
Ⅳ. 개념의 변화
Ⅴ. 개념의 개발
1. 개념분석은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기 위한 체계적인 언어훈련
2. 근거이론 역시 개념개발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접근법
3. 개념개발을 위한 혼종모형(Hybrid model)은 Schwartz-Barcott와 Kim(1991)이 제시한 방법으로 이론적 시기, 현장연구 시기, 그리고 분석적 시기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1) 이론적 시기
2) 현장연구 시기
3) 현장 조사에서 얻은 통찰력을 첫 단계의 이론적 분석과 비교, 통합하고 평가
4) Kramer(1992)가 제시한 개념의 명료화 과정(Concept clarification)
Ⅵ. 개념의 범주화
1. 개념
2. 한 범주에 대한 정의된 형상
3. 범주들은 서로 겹쳐있음
Ⅶ. 개념의 분석
Ⅷ. 개념의 학습
1. 귀납적인 방법
2. 연역적인 방법
참고문헌
Ⅱ. 개념의 정의
1.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55)
2. 수학 교사용 지도서(교육 인적 자원부, 2002)
3. 개념형성론(김대수, 1994)
Ⅲ. 개념의 형성
Ⅳ. 개념의 변화
Ⅴ. 개념의 개발
1. 개념분석은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기 위한 체계적인 언어훈련
2. 근거이론 역시 개념개발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접근법
3. 개념개발을 위한 혼종모형(Hybrid model)은 Schwartz-Barcott와 Kim(1991)이 제시한 방법으로 이론적 시기, 현장연구 시기, 그리고 분석적 시기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1) 이론적 시기
2) 현장연구 시기
3) 현장 조사에서 얻은 통찰력을 첫 단계의 이론적 분석과 비교, 통합하고 평가
4) Kramer(1992)가 제시한 개념의 명료화 과정(Concept clarification)
Ⅵ. 개념의 범주화
1. 개념
2. 한 범주에 대한 정의된 형상
3. 범주들은 서로 겹쳐있음
Ⅶ. 개념의 분석
Ⅷ. 개념의 학습
1. 귀납적인 방법
2. 연역적인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험적 관찰이 요구된다.
Ⅵ. 개념의 범주화
1. 개념
그 개념이 속하는 집단에 대해 묘사하는 표현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개념은 여러 개의 정의된 형상들을 가지고 있는데, 한 집단에 그 형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집단에 속하게 되고,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속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다람쥐가 포유류 범주에 속하는가 질문하면, 다람쥐를 묘사한 표현 혹은 특성이 포유류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여부를 비교하여 결정하게 된다. 즉, 포유류는 뜨거운 피, 머리털, 그리고 새끼로 번식한다. 그리고, 다람쥐도 이런 형상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다람쥐는 포유류라 할 수 있다.
2. 한 범주에 대한 정의된 형상
그 범주를 정의하는 개개의 필요조건과 결합된 충분조건이다. 한 객체가 직사각형 범주에 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네 개의 면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각 두 개의 면은 동일한 길이와 각을, 그리고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만약에 하나라도 여기에 적합하지 않으면, 그 객체는 직사각형이 아니다. 직사각형의 또 다른 특성, 예를 들면 위치나 모양 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형상을 정의하는 것은 단지 그 범주의 구성원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3. 범주들은 서로 겹쳐있음
하급범주는 상급범주의 모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민들레는 \"꽃\"의 범주에 속하며, 꽃은 \"식물\"의 범주에 속하고, 식물은 \"생명체\"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므로 민들레는 \"꽃\", \"식물\", \"생명체\"의 모든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Ⅶ. 개념의 분석
개념분석의 문제는 그 중요성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제일차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모든 과학의 발전은 무엇보다도 그 분야의 기본적인 개념의 발전, 즉 개념의 보다 타당한 정립상태 여부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어떤 연구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과제는 어떻게 하면 더욱 바르고 타당한 개념을 유도하고 정립하며 또 그러한 개념을 가려낼 수 있는가 하는 문제로 귀착하게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개념분석’에 개념 정의역시 학자마다 약간씩 다르다.
R. Merton은 “개념분석은 중요개념에 대한 특정화와 명료화”라고 하고, C. Hempel은 “개념재구성은 어떤 용어의 일상적 의미와는 달리 가설 및 이론에 있어 설명력과 예측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용어의 의미를 명백히 하고 정확하게 재해석함으로써 이전에서부터 일상적으로 사용해 온 용어에 수반되는 그 용어의 한정성, 모호성, 또는 불일치성 등을 감소시키는 것”이라고 하고, F. Oppenheim은 “개념분석은 일상적 언어를 과학적 목적에 부합시키기 위해서, 개념사용을 규정하는 이론적 규칙들을 분명히 제시하고, 개념적용 기준을 구체화하며, 개념의 막연성과 모호성을 축소 제거함으로써 그에 따른 개념적 의미를 수정하는 것”이라고 하고, G. Sartori는 “개념재형성은 어떤 개념의 의미들을 분류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용어에 대한 정의들이 갖는 각각의 특징적 내용들을 유도하여 정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개념적 재구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위에 제시된 개념분석에 관한 정의들을 볼 때 개념분석이란, (1) 중요개념의 일정한 명백화 내지는 표준화, (2) 관계이론 등의 설명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념내지 그 용어의 한정성, 모호성, 비일관성 등을 축소시키는 것, (3) 개념의 사용과 적용에 관한 이론적 규칙 및 기준을 제시하는 것, (4) 개념의 정의 등을 서로 비료, 분류, 정리함으로써 개념적 재구성을 꾀하는 것 등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개념분석을 시도할 때 사용되는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통용되고 있는 기존의 중요 개념을 분석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둘
Ⅵ. 개념의 범주화
1. 개념
그 개념이 속하는 집단에 대해 묘사하는 표현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개념은 여러 개의 정의된 형상들을 가지고 있는데, 한 집단에 그 형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집단에 속하게 되고,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속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다람쥐가 포유류 범주에 속하는가 질문하면, 다람쥐를 묘사한 표현 혹은 특성이 포유류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여부를 비교하여 결정하게 된다. 즉, 포유류는 뜨거운 피, 머리털, 그리고 새끼로 번식한다. 그리고, 다람쥐도 이런 형상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다람쥐는 포유류라 할 수 있다.
2. 한 범주에 대한 정의된 형상
그 범주를 정의하는 개개의 필요조건과 결합된 충분조건이다. 한 객체가 직사각형 범주에 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네 개의 면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각 두 개의 면은 동일한 길이와 각을, 그리고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만약에 하나라도 여기에 적합하지 않으면, 그 객체는 직사각형이 아니다. 직사각형의 또 다른 특성, 예를 들면 위치나 모양 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형상을 정의하는 것은 단지 그 범주의 구성원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3. 범주들은 서로 겹쳐있음
하급범주는 상급범주의 모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민들레는 \"꽃\"의 범주에 속하며, 꽃은 \"식물\"의 범주에 속하고, 식물은 \"생명체\"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므로 민들레는 \"꽃\", \"식물\", \"생명체\"의 모든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Ⅶ. 개념의 분석
개념분석의 문제는 그 중요성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제일차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모든 과학의 발전은 무엇보다도 그 분야의 기본적인 개념의 발전, 즉 개념의 보다 타당한 정립상태 여부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어떤 연구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과제는 어떻게 하면 더욱 바르고 타당한 개념을 유도하고 정립하며 또 그러한 개념을 가려낼 수 있는가 하는 문제로 귀착하게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개념분석’에 개념 정의역시 학자마다 약간씩 다르다.
R. Merton은 “개념분석은 중요개념에 대한 특정화와 명료화”라고 하고, C. Hempel은 “개념재구성은 어떤 용어의 일상적 의미와는 달리 가설 및 이론에 있어 설명력과 예측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용어의 의미를 명백히 하고 정확하게 재해석함으로써 이전에서부터 일상적으로 사용해 온 용어에 수반되는 그 용어의 한정성, 모호성, 또는 불일치성 등을 감소시키는 것”이라고 하고, F. Oppenheim은 “개념분석은 일상적 언어를 과학적 목적에 부합시키기 위해서, 개념사용을 규정하는 이론적 규칙들을 분명히 제시하고, 개념적용 기준을 구체화하며, 개념의 막연성과 모호성을 축소 제거함으로써 그에 따른 개념적 의미를 수정하는 것”이라고 하고, G. Sartori는 “개념재형성은 어떤 개념의 의미들을 분류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용어에 대한 정의들이 갖는 각각의 특징적 내용들을 유도하여 정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개념적 재구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위에 제시된 개념분석에 관한 정의들을 볼 때 개념분석이란, (1) 중요개념의 일정한 명백화 내지는 표준화, (2) 관계이론 등의 설명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념내지 그 용어의 한정성, 모호성, 비일관성 등을 축소시키는 것, (3) 개념의 사용과 적용에 관한 이론적 규칙 및 기준을 제시하는 것, (4) 개념의 정의 등을 서로 비료, 분류, 정리함으로써 개념적 재구성을 꾀하는 것 등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개념분석을 시도할 때 사용되는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통용되고 있는 기존의 중요 개념을 분석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둘
추천자료
관광지의 개념·유형·구조이론
관광지 이미지의 형성에 관한 연구 - 인지적, 정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문법][전통문법][규범문법][구조문법][역사비교문법]문법의 개념, 문법의 특징, 문법의 범주...
[시장] 시장의 개념과 역할 및 구조(형태), 시장특성의 변화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 개념과 치료 목표를 간단히 정리하고 이 치료기법을 어떤 가족...
[귀, 귀 개념, 귀 구조, 귀 기능, 귀 질환, 외이, 중이, 내이, 달팽이관, 청소골, 청각, 청각...
[기업아이덴티티][CI][기업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기업아이덴티티 여행사이미지]기업아이...
[사회복지] 가족대상의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과 가족치료기법으로 활용되는 구...
[생화학]탄수화물(Carbohydrate) - 탄수화물의 개념과 기능 및 분류, 단당류의 분류와 구조의...
태도態度의 의의와 태도의 형성 및 일관성(고전조건화의 학습원리, 조작조건화의 학습원리, ...
가치(價値)와 태도(態度) - 가치의 개념과 유형화, 태도의 의의와 태도의 형성 및 일관성, 가...
[정부조직(政府組織)의 구조] 정부조직구조의 의의(개념)와 복잡성, 집권화와 분권화, 조직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본원리, 주요개념, 하위체계에 대해 논하시오.
아들러의 가족구조와 출생순위에 대한 개념이 무엇인지 쓰고 나의 가족구조와 출생순위에 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