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천문학 발전의 핵심 요소인 역학 혁명
1. 들어가며
2. 우주 구조와 관련한 생각의 변천
1)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구조
2) 코페르니쿠스의 우주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3. 케플러와 천문학 발전
4. 천문학 발전을 이끈 역학 혁명
1) 갈릴레오와 역학혁명
2) 역학혁명의 전개
3) 역학의 혁명
4)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
1. 들어가며
2. 우주 구조와 관련한 생각의 변천
1)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구조
2) 코페르니쿠스의 우주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3. 케플러와 천문학 발전
4. 천문학 발전을 이끈 역학 혁명
1) 갈릴레오와 역학혁명
2) 역학혁명의 전개
3) 역학의 혁명
4)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
본문내용
그 바깥의 세계인 달윗세계(Super World) 또는 천상계이다. 지상계에는 물,불,흙,공기의 4원소로 이루어진 불안전한 세계여서 항상 변화가 있으며 생성,소멸의 과정들이 끊임없이 있는데 반해 천상계는 완전한 5원소로 이루어진 완전한 세계로 영구불변이다. 또한 물체의 운동은, 지상계에서 무거운 물체는 무거운 것의 본연의 위치인 우주의 중심 즉, 지구의 중심을 향해 가려하기 때문에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가벼운 물체는 그 본연의 위치인 바깥쪽으로 가려하기 때문에 이로 올라가는 것이다.
3. 케플러와 천문학 발전
케플러는 공공연히 코페르니쿠스를 지지하고 나서면서 행성의 갯수를 가지고 태양중심설의 정당성을 증명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케플러는 천문학의 이론이 다만 관측된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수학적 도구에 그쳐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확실한 물리학적 원리들에 바탕해야 하며 행성들의 운동을 그것을 일으키는 원인들을 유도해야 한다. 케플러보다 거의 200년전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대로부터 그때까지, 하늘을 물리적으로 수정체의 천구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거의 모든 사람들이 믿어왔다. 그러나 케플러는 이러한 수정체의 천구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신했다.
그는 자연의 통일성을 확신하고서 지상의 역학에 사용되는 것과 똑같은 원리들을 가지고 천상계의 현상들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케플러가 발견하고자 했던 것은 물론 진정한 수학적 구조와 물리적 원인이었다. 그것들은 관측과 일치해야만 했고 케플러는 관측된 사실과 어긋나는 어떠한 선험적인 원리도 자연에 적용하는데 대해서 거부했다. 그의 생각은 원에 대한 오랜 집착에서 벗어나서 비원 궤도의 채택으로 향하는 경향과 존재의 物活론적 사고를 버리고 기계론적 우주관으로 향하는 경향을 띄었다.
종래의 학자들은 主圓주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대로 여러 가지의 이심구도(Eccentric)와 주전원(Epicycle)를 선택해서 여러개의 원을 결합함으로써 행성의 관측된 위치를 설명하려고 했다. 결합되는 원들의 반경의 끝과 끝을 이어감으로써 얻어지는 벡터(Vecter)합성이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그것이 관측된 위치와 일치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케플러는 이들과는 달리 처음부터 궤도 자체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는 우주에서 태양이 주된 역할을 지닌 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태양으로부터 어떤 종류의 힘이 마치 바퀴의 살처럼 사출된다고 상상했다. 그리고 태양이 회전할때 바퀴의 살들이 행성들을 밀어서 태양의 회전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케플러의 천체역학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는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무었이냐 하는 것이었다. 케플러는 행성이 궤도의 한쪽 절반에 있는 동안에는 태양으로 부터 끌어 당겨지고, 다른 한쪽의 절반에 있는 동안에는 밀려나가게 된다고 믿었다. 이것을 “케플러 행성운동의 2법칙”이라고 부른다.
지구가 아니라 태양이 태양계의 중심이라는 코페르니쿠스의 가정이 받아들여진다면 행성들의 궤도는 각기 하나씩의 원추곡선만을 가지고 충분히 그려
3. 케플러와 천문학 발전
케플러는 공공연히 코페르니쿠스를 지지하고 나서면서 행성의 갯수를 가지고 태양중심설의 정당성을 증명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케플러는 천문학의 이론이 다만 관측된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수학적 도구에 그쳐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확실한 물리학적 원리들에 바탕해야 하며 행성들의 운동을 그것을 일으키는 원인들을 유도해야 한다. 케플러보다 거의 200년전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대로부터 그때까지, 하늘을 물리적으로 수정체의 천구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거의 모든 사람들이 믿어왔다. 그러나 케플러는 이러한 수정체의 천구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신했다.
그는 자연의 통일성을 확신하고서 지상의 역학에 사용되는 것과 똑같은 원리들을 가지고 천상계의 현상들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케플러가 발견하고자 했던 것은 물론 진정한 수학적 구조와 물리적 원인이었다. 그것들은 관측과 일치해야만 했고 케플러는 관측된 사실과 어긋나는 어떠한 선험적인 원리도 자연에 적용하는데 대해서 거부했다. 그의 생각은 원에 대한 오랜 집착에서 벗어나서 비원 궤도의 채택으로 향하는 경향과 존재의 物活론적 사고를 버리고 기계론적 우주관으로 향하는 경향을 띄었다.
종래의 학자들은 主圓주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대로 여러 가지의 이심구도(Eccentric)와 주전원(Epicycle)를 선택해서 여러개의 원을 결합함으로써 행성의 관측된 위치를 설명하려고 했다. 결합되는 원들의 반경의 끝과 끝을 이어감으로써 얻어지는 벡터(Vecter)합성이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그것이 관측된 위치와 일치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케플러는 이들과는 달리 처음부터 궤도 자체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는 우주에서 태양이 주된 역할을 지닌 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태양으로부터 어떤 종류의 힘이 마치 바퀴의 살처럼 사출된다고 상상했다. 그리고 태양이 회전할때 바퀴의 살들이 행성들을 밀어서 태양의 회전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케플러의 천체역학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는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무었이냐 하는 것이었다. 케플러는 행성이 궤도의 한쪽 절반에 있는 동안에는 태양으로 부터 끌어 당겨지고, 다른 한쪽의 절반에 있는 동안에는 밀려나가게 된다고 믿었다. 이것을 “케플러 행성운동의 2법칙”이라고 부른다.
지구가 아니라 태양이 태양계의 중심이라는 코페르니쿠스의 가정이 받아들여진다면 행성들의 궤도는 각기 하나씩의 원추곡선만을 가지고 충분히 그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