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랭지, 고령지, 고랭지 개념, 고랭지배추, 고랭지농업, 고랭지분포]고랭지(고령지)의 개념,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배추,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농업,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분포 분석(고랭지, 고령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랭지, 고령지, 고랭지 개념, 고랭지배추, 고랭지농업, 고랭지분포]고랭지(고령지)의 개념,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배추,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농업,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분포 분석(고랭지, 고령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랭지(고령지)의 개념

Ⅲ.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배추

Ⅳ.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농업

Ⅴ. 고랭지(고령지)와 고랭지분포
1. 북부 고랭지
2. 남부 고랭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고랭지의 총면적은 약 15,000ha에 이르고 있다.
다음은 정선군 6,457ha, 횡성군 5,683ha, 홍천군 3,386ha, 삼척시 2,910ha 순이다.
고랭지의 농경지를 논과 밭으로 구별하여 비교해 보면 강원도는 원래 논보다 밭이 많아서 논밭의 비율이 39:61로 논보다 밭이 월등하게 많은 것이 특징이기도 하지만 고랭지에서는 전체 37,000ha중 논은 4,632ha(12.5%)에 불과하고 밭은 32,317ha로 전체 고랭지의 87.5%나 차지하고 있다. 표고가 600m 이상되는 고랭지에서는 논의 면적이 더욱 적어서 고랭지 면적의 6%에 해당되는 954ha 밖에 되지 않는다.
2. 남부 고랭지
남부 고랭지는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영향을 받는 고지대와 태백산맥의 말미에 위치한 고지대가 되는데, 경상북도의 영양, 군위 및 전라남도의 광양, 전라북도의 남원, 장수, 충청북도의 영동 등지는 소백산맥권이 되고, 전라북도의 무주와 제천, 경상북도의 봉화가 있는데 이들 지역은 북부와 남부의 중간지대라고 보겠다.
남부 고랭지는 북부 고랭지보다 위도상으로 약 2°가 낮아지고 있으므로 같은 표고라 하더라도 북부지역보다 약 1.5℃ 이상 기온이 높을 것으로 보아야 하며 따라서 이 지대는 대부분이 준고랭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남부 고랭지의 규모는 약 11,000ha 되며 이는 전체 고랭지의 1.5%에 해당된다.
남부 고랭지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전라북도와 경상남도가 가장 큰데, 양도는 다같이 약 4,100ha를 갖고 있으며 다음은 경상북도이고 충청북도와 전라남도는 그 규모가 매우 작다.
그리고 이 지역의 특징으로는 비교적 논이 많은데, 북부 고랭지에 있어서 논 면적이 전체 고랭지 면적의 12.5% 밖에 되지 못하고 있는데 비하여 이 지역은 약 45.5%로 절반에 가깝다.
참고문헌
김명기, 고랭지채소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05
김선영 외 1명, 기후변화가 태백산맥 고랭지 농업지역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1
농협중앙회, 고랭지채소의 수급현황과 당면과제, 농협조사월보, 1981
신인제, 한응수, 고랭지 배추의 재배실태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식품유통연구, 1993
이향미 외 1명, 강원도 산지 농협의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 실태와 확대방안, 한국식품유통학회, 2012
이정태 외 5명, 고랭지 주요 채소작물의 무기성분 흡수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