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형식의 유형과 예산관리 시스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산 형식의 유형과 예산관리 시스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예산관리시스템
2. 예산 모형

본문내용

스템, 성과(performance)예산관리, 영기준(ZBB: xero-based budget), 예산시스템, 결과(outcome)예산시스템등을 제시
2) 예산관리와 시스템의 기본들
예산관리와 회계는 서로 다른 것이며, 예산관리에는 통제, 관리, 기획과 같은 세가지의 주요 목적이 있음.
(1) 예산관리의 통제 : 수입(투입)과 지출(전환)간의 관계를 주로 다루며, “기관과 프로그램의 재정 상태는 어떠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기 위한 것.
(2) 예산관리의 관리 : 산출물 및 서비스를 포함하여 서비스 단위(중간 산출), 품질 산출, 서비스 종료별로 측정된 프로그램 수입(투입)과 프로그램 산출 간의 관계를 주로 다루며, “기관과 프로그램의 생산성은 어떠함”?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기 위한 것.
(3) 예산관리 기획 : 수입(투입)과 프로그램 결과 간의 관계를 주로 다루며, “기관과 프로그램은 얼마나 효과적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기 위한 것.
2. 예산 모형
1) 항목별 예산(품목별 예산, Line-Item Budget:LJB)
대개 1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예산형식이며 사회복지조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식으로서 지출항복별 회계와 전년도에 기초하여 작성되며 액수의 점진적인 증가(incremental)에 기초를 둔 점진주의적 특성
장점
- 지출근거가 명확하므로 예산 통제에 효과적임.
- 예산 항복별로 지출이 정리되므로 회계에 유리함.
단점
- 전년도 예산을 기준으로 점진주의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예산 증감의 신축성이 없음
- 전반적인 인상률을 적용하므로 예산 증감의 기준의 타당성이 희박하고 효율성을 무시함.
- 프로그램 목표나 내용, 결과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
2) 성과주의 예산(Perfomance Budget:PB)
기능적 예산 관리(functional budgeting system)라고도 하는데, 개별 지출 항목들을 조직활동과 연결시키는 것이 특징. 성과주의 예산은 지출을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나타나는 “성과”에 관심을 둔다. 조직의 활동을 기능별, 프로그램별로 나누고 다시 세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 단위 비용을 편성하는 과정 중심 예산 형식.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과 관련하여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예산액은 성과량과 단위원가를 계산하여 책정
장점
- 프로그램의 목표와 운영이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
- 예산 할당의 기준을 성과물에 근거를 두기
  • 가격2,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6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