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생태학적 사회철학
1. 칸트의 선험 철학
2. 「물자체」의 개념
3. 소결
Ⅱ. 생태학적 환경
1. 생태공원의 보호 구역을 단계별로 지정해야 한다
2. 조류 서식에 필요한 「커버」조건을 충분히 마련해 주어야 한다
3. 환삼덩굴을 일부 제거해 주어야 한다
4. 신공항 고속도로 옆에 방음벽을 설치해야 한다
5. 홍수대책이 필요하다
6. 철저한 조류 생태 공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7. 환경과 인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원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Ⅲ. 생태학적 창조신앙
1. 메시아적 세계 인식
2. 하나님 나라를 향한 창조
3. 메시아적 창조 신앙
Ⅳ. 생태학적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Ⅴ. 생태학적 삶
Ⅵ. 생태학적 쓰기평가
1. 실제성의 원리
2. 지속성의 원리
3. 전인성의 원리
4. 과정 중심의 원리
5. 통합성의 원리
6. 개별화 원리
7. 대화성의 원리
Ⅶ. 생태학적 국어교육
참고문헌
1. 칸트의 선험 철학
2. 「물자체」의 개념
3. 소결
Ⅱ. 생태학적 환경
1. 생태공원의 보호 구역을 단계별로 지정해야 한다
2. 조류 서식에 필요한 「커버」조건을 충분히 마련해 주어야 한다
3. 환삼덩굴을 일부 제거해 주어야 한다
4. 신공항 고속도로 옆에 방음벽을 설치해야 한다
5. 홍수대책이 필요하다
6. 철저한 조류 생태 공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7. 환경과 인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원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Ⅲ. 생태학적 창조신앙
1. 메시아적 세계 인식
2. 하나님 나라를 향한 창조
3. 메시아적 창조 신앙
Ⅳ. 생태학적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Ⅴ. 생태학적 삶
Ⅵ. 생태학적 쓰기평가
1. 실제성의 원리
2. 지속성의 원리
3. 전인성의 원리
4. 과정 중심의 원리
5. 통합성의 원리
6. 개별화 원리
7. 대화성의 원리
Ⅶ. 생태학적 국어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발달적 수행에 관심을 두는 지속성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단 한 편의 글만을 대상으로 하는 일회적인 평가로는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도 없고 학습자의 발달에 기여할 수도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쓰기 상황에서 다양한 목적과 형식의 글 여러 편을 대상으로 한 평가야말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전인성의 원리
이제까지의 쓰기 평가가 고정된 기준으로 결과물로서의 글만을 평가해 왔다면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는 학습자의 지식, 기능뿐만 아니라 태도의 측면까지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인성의 원리를 지향한다. 즉 쓰기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인지적 영역의 명제적절차적 지식은 물론 이 지식을 어떻게 실제 쓰기 상황에 적용하여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가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은, 어떠한 자세와 태도로 쓰기 활동에 임하는가 하는 정의적 영역까지를 모두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다.
4. 과정 중심의 원리
생태학적 쓰기 평가는 쓰기란 결과가 아닌 과정이고, 학습자는 이 쓰기 과정을 통해서 변화하고 성장하고 발전해 나간다는 점을 중시한다. 따라서 결과물로서의 글만을 평가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계획하기, 초고쓰기, 고쳐쓰기, 편집하기 등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쓰기 전략의 적용 등을 통해서 한 편의 글을 생산해 가는 과정도 중요한 평가 대상으로 삼는다.
5. 통합성의 원리
생태학적 쓰기 평가는 교수학습과 평가 과정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역동적이면서도 순환적인 교수 전반적인 체계 속에서 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통합성의 원리를 주축으로 한다. 기존의 결과 중심의 평가 방식이 교수학습 과정이 끝난 지점에서 투여됨으로써 학습 과정 자체에 대해서는 주변적일 수밖에 없었던 것에 비해 교수학습 과정과의 통합을 지향하는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는 교수 학습 과정의 핵심부를 이루면서 그 질적 측면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6. 개별화 원리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는 학습자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일련의 쓰기 발달 단계의 계열화된 연속체(writing development continuum) 안에서 각 학습자의 쓰기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개별화 원리를 중시한다. 한 교실 안에 존재하는 학습자들마다의 다양한 능력 차이, 학습 속도면의 차이, 각기 다른 흥미와 관심사 등을 최대한 고려하면서 학습자들의 상대적인 우열이 아닌 개별 학습자들의 성장과 발달에 관심을 둔다. 이 개별화 원리는 대체적인 쓰기 발달 단계를 일련의 계열화된 연속체로 상정하고 개별 학습자가 학습 시발 지점으로부터 학습 종료 지점에 이르기까지 쓰기 능력 발달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 기술하는 것을 중심으로 운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교수자이면서 평가자인 교사의 쓰기 과정 자체와 쓰기 발달 단계 전체를 계열화해서 볼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안목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7. 대화성의 원리
기존의 쓰기 평가 체제하에서 교사의 역할은 그저 글을 읽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 점수를 매기는 것에 제한된 것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평가 체제하에서 교사는 일방적인 평가자가 아니라 학습자가 필자로 발전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원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교사는 학습자를 존중하고 함께 협의해 나가는 대화의 원리를 준수하면서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주도적이고 전략적인 필자로 성장하게끔 지원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대화의 원리는 비단 교사와 학습자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료들과의 소집단 협력 학습 과정, 학습자들이 산출해 낸 결과물로서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부모, 학생과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과정에도 확대적용된다.
Ⅶ. 생태학적 국어교육
생태학과 관련된 연구로, 백순근(2002)은 비교적 최근에 거론되기 시작한 학습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과 그러한 접근이 교육평가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고 있는가를 논의하였는데 교육학적 측면에서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이해하기에 용이하였다. 국어교육 전반에 대한 접근으로 생물이 생태학적 환경과 고립되어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생태학적 발상을 원용하여 국어교육 연구 역시 국어교육을 둘러싼 제반 환경과의 긴밀한 관련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최현섭(1994), 국어 교육학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국어교육학이 주변 환경과 작용하면서 어떻게 건강하게 살아나갈지를 살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박인기(1997), 대안적 평가 방법으로서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한 쓰기 영역의 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원진숙(1999), 음성 언어 생태와 듣기말하기 교육의 문제를 논의한 이창덕(2003), 독서 교육은 무엇보다 독서 현상의 존재 양상과 특성, 곧 독서 생태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한 이성영(2003), ‘개념의 생태’ 관점에서 글쓰기 장르 내지는 문종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 염은열(2003) 등의 주장은 국어교육을 생태학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이 아직은 철학적이념적 수준의 논의로 합의된 개념이 없어, 생태학적 접근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의 마련은 시기상조인 듯도 보이지만,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의 다양화전문화특성화를 지향하고 있는 많은 정책 속에는 생태학적인 사고가 편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수학습과 평가 체제를 재구조화 하는 데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참고문헌
김점동(1998), 생태학적 환경교육의 단원 개발, 경북대학교
김성균 외 1명(2009), 에코뮤니티 : 생태학적 삶을 위한 모둠살이의 도전과 실천, 이매진
박주원(2006), 현대 사회생태론과 맑스주의 : 마르크스의 생산력 개념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박준건(1993), 생태문제에 관한 마르크스주의의 독해와 그 한계생태학적 사회철학의 이론적 정립을 위한 모색 2,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신헌재(2010),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한기채(2003), 창조 생태학적 신앙고백, 서울신학대학교
3. 전인성의 원리
이제까지의 쓰기 평가가 고정된 기준으로 결과물로서의 글만을 평가해 왔다면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는 학습자의 지식, 기능뿐만 아니라 태도의 측면까지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인성의 원리를 지향한다. 즉 쓰기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인지적 영역의 명제적절차적 지식은 물론 이 지식을 어떻게 실제 쓰기 상황에 적용하여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가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은, 어떠한 자세와 태도로 쓰기 활동에 임하는가 하는 정의적 영역까지를 모두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다.
4. 과정 중심의 원리
생태학적 쓰기 평가는 쓰기란 결과가 아닌 과정이고, 학습자는 이 쓰기 과정을 통해서 변화하고 성장하고 발전해 나간다는 점을 중시한다. 따라서 결과물로서의 글만을 평가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계획하기, 초고쓰기, 고쳐쓰기, 편집하기 등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쓰기 전략의 적용 등을 통해서 한 편의 글을 생산해 가는 과정도 중요한 평가 대상으로 삼는다.
5. 통합성의 원리
생태학적 쓰기 평가는 교수학습과 평가 과정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역동적이면서도 순환적인 교수 전반적인 체계 속에서 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통합성의 원리를 주축으로 한다. 기존의 결과 중심의 평가 방식이 교수학습 과정이 끝난 지점에서 투여됨으로써 학습 과정 자체에 대해서는 주변적일 수밖에 없었던 것에 비해 교수학습 과정과의 통합을 지향하는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는 교수 학습 과정의 핵심부를 이루면서 그 질적 측면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6. 개별화 원리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는 학습자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일련의 쓰기 발달 단계의 계열화된 연속체(writing development continuum) 안에서 각 학습자의 쓰기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개별화 원리를 중시한다. 한 교실 안에 존재하는 학습자들마다의 다양한 능력 차이, 학습 속도면의 차이, 각기 다른 흥미와 관심사 등을 최대한 고려하면서 학습자들의 상대적인 우열이 아닌 개별 학습자들의 성장과 발달에 관심을 둔다. 이 개별화 원리는 대체적인 쓰기 발달 단계를 일련의 계열화된 연속체로 상정하고 개별 학습자가 학습 시발 지점으로부터 학습 종료 지점에 이르기까지 쓰기 능력 발달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 기술하는 것을 중심으로 운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교수자이면서 평가자인 교사의 쓰기 과정 자체와 쓰기 발달 단계 전체를 계열화해서 볼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안목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7. 대화성의 원리
기존의 쓰기 평가 체제하에서 교사의 역할은 그저 글을 읽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 점수를 매기는 것에 제한된 것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평가 체제하에서 교사는 일방적인 평가자가 아니라 학습자가 필자로 발전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원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교사는 학습자를 존중하고 함께 협의해 나가는 대화의 원리를 준수하면서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주도적이고 전략적인 필자로 성장하게끔 지원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대화의 원리는 비단 교사와 학습자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료들과의 소집단 협력 학습 과정, 학습자들이 산출해 낸 결과물로서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부모, 학생과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과정에도 확대적용된다.
Ⅶ. 생태학적 국어교육
생태학과 관련된 연구로, 백순근(2002)은 비교적 최근에 거론되기 시작한 학습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과 그러한 접근이 교육평가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고 있는가를 논의하였는데 교육학적 측면에서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이해하기에 용이하였다. 국어교육 전반에 대한 접근으로 생물이 생태학적 환경과 고립되어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생태학적 발상을 원용하여 국어교육 연구 역시 국어교육을 둘러싼 제반 환경과의 긴밀한 관련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최현섭(1994), 국어 교육학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국어교육학이 주변 환경과 작용하면서 어떻게 건강하게 살아나갈지를 살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박인기(1997), 대안적 평가 방법으로서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한 쓰기 영역의 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원진숙(1999), 음성 언어 생태와 듣기말하기 교육의 문제를 논의한 이창덕(2003), 독서 교육은 무엇보다 독서 현상의 존재 양상과 특성, 곧 독서 생태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한 이성영(2003), ‘개념의 생태’ 관점에서 글쓰기 장르 내지는 문종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 염은열(2003) 등의 주장은 국어교육을 생태학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이 아직은 철학적이념적 수준의 논의로 합의된 개념이 없어, 생태학적 접근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의 마련은 시기상조인 듯도 보이지만,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의 다양화전문화특성화를 지향하고 있는 많은 정책 속에는 생태학적인 사고가 편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수학습과 평가 체제를 재구조화 하는 데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참고문헌
김점동(1998), 생태학적 환경교육의 단원 개발, 경북대학교
김성균 외 1명(2009), 에코뮤니티 : 생태학적 삶을 위한 모둠살이의 도전과 실천, 이매진
박주원(2006), 현대 사회생태론과 맑스주의 : 마르크스의 생산력 개념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박준건(1993), 생태문제에 관한 마르크스주의의 독해와 그 한계생태학적 사회철학의 이론적 정립을 위한 모색 2,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신헌재(2010),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한기채(2003), 창조 생태학적 신앙고백, 서울신학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