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몽, 동명성왕 고주몽, 주몽 탄생, 주몽신화, 고구려, 유리왕]주몽(동명성왕 고주몽)의 탄생,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주몽신화,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고구려,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유리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몽, 동명성왕 고주몽, 주몽 탄생, 주몽신화, 고구려, 유리왕]주몽(동명성왕 고주몽)의 탄생,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주몽신화,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고구려,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유리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주몽(동명성왕 고주몽)의 탄생

Ⅲ.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주몽신화

Ⅳ.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고구려

Ⅴ. 주몽(동명성왕 고주몽)과 유리왕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몽이 재사에게는 극씨로, 무골에게는 중실씨로, 묵거에게는 소실씨로 각각 성을 주고 곧 여러 사람들에게 이르기를 《내가 바야흐로 하늘의 명령을 받아서 나라를 창건하려 하는데 마침 어진 이를 세 분을 만났으니 어찌 하늘이 내려 준 것이 아니겠느냐?》하고 드디어 그들의 재능에 따라 각각 일을 맡기고 그들과 함께 졸본에 이러렀다. 그 지방의 토지가 비옥하고 산천이 준험함을 보고 드디어 도읍을 정하려 하였으나 미쳐 궁실을 지을 사이도 없이 비류수 근처에 초막을 지어 거처하며 국호를 고구려라 하였다. 따라서 자신의 성을 고씨로 정했다.(주몽이 졸본부여에 이르렀더니 왕이 아들이 없었는데 주몽에게 왕위를 잇게 한 말도 있다.)
이때 주몽의 나이 22세요. 이 해는 한 나라 효원제 건소 2년 이며 신라 시조 혁거세 21년 갑신년이었다. 사방에서 소문을 듣고 와서 따르는 자가 많았다. 그 지방이 말갈 부락과 연접되어 있었으므로 그들이 침범할까하여 쳐서 물리치니 말갈이 두려워서 감히 침범하지 못하였다.
왕이 비류수 중류에 채소 잎이 떠내려 오는 것을 보아 그 상류지방에 사람이 사는 줄 알고 사냥을 하면서 찾아 올라가 비류구에 이르렀다. 그 나라 임금 송양이 나와 보고 말하기를 《내가 해변 구석에 외따로 살기 때문에 한 번도 훌륭한 사람을 만나 보지 못하였더니 이제 우연히 그대와 서로 만나게 되니 또한 다행한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그대는 어디로부터 왔는지 알지 못하노라》하였다. 주몽이 대답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로서 아무 곳에 와서 도읍을 정하였노라》하였다. 송양이 말하기를 《우리는 여러 대째 왕이 되어 온 터에 땅이 적어서 두 임금은 용납할 수 없고 그대는 도읍을 정한지가 얼마 되지 않으니 나의 속국으로 되는 것이 어떤가?》하였다. 왕이 그의 말에 분개하여 곧 그와 더불어 말다툼을 하다가 다시 활로써 재주를 비교하게 되었는데 송양은 이에 대항할 수 없었다.
2년 여름 6월에 송양이 와서 나라를 바치며 항복함으로써 그 지방을 다물도로 개칭하고 송양을 봉하여 그 곳 우두머리로 삼았다. 고구려 말에 옛 땅을 회복한 것을 다물이라 하기 때문에 그 지방의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3년 봄 3월에 황룡이 골령에 나타났다. 가을 7월에 구름이 골령 남쪽에 나타났는데 그 빛이 푸르고 붉었다.
4년 여름 4월 구름과 안개가 사방에서 일어나 7일 동안이나 사람들이 빛을 분별하지 못하였다. 가을 7월에 성곽과 궁실을 건축하였다.
6년 가을 8월에 이상한 새들이 대궐 뜰에 모였다. 겨울 10월에 왕이 옹와 부분노를 시켜 태백산 동남방에 있는 해인국을 치고 그 땅을 빼앗아 고을을 만들었다.
10년 가을 9월에 난새들이 왕대에 모였다. 겨울 11월에 왕이 부위염을 시켜 북옥저를 쳐서 없애고 그 지역을 고을로 만들었다.
14년 가을 8월에 왕의 어머니가 동부여에서 죽었다. 나라 왕 금와가 그를 태후의 예로써 장사지내고 드디어 그의 신묘를 세웠다. 겨울 10월에 사신을 부여에 보내어 토산물을 줌으로써 그 은덕을 보답하였다.
19년 여름 4월에 왕의 아들 유리가 부여로부터 그 어머니와 함께 도망하여 돌아오니 왕이 크게 기뻐하며 세워 태자로 삼았다.
참고문헌
김연호(1983) - 주몽이야기의 사적 전개와 그 의미, 고대 석사논문
김흥규(2011) - 광개토왕릉비 주몽 신화 : 책략적 영웅들의 행방, 민족어문학회
이복규(1979) - 주몽신화의 문헌적 검토, 국제대
안지연(2006) - 고구려 주몽신화 연구 : 서언왕신화와의 비교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이경혜(1987) - 단군신화와 주몽신화의 재조명, 대한 신학교
전관수(2004) - 주몽신화에 나타난 탄생담의 의미 분석,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