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파생상품의 개념
1. 선도형 파생상품
1) 선도계약(forward contracts)
2) 선물(futures)
3) 스왑(swap)
2. 옵션형 파생상품
1) 옵션(option)
2) 캡(cap) 또는 플로어(floor)
3. 합성형 파생상품
1) 선물옵션(futures option)
2) 스왑션(swaption)
Ⅲ. 파생상품의 탄생배경
Ⅳ. 파생상품의 유형
Ⅴ. 파생상품의 성장
Ⅵ. 파생상품의 회계처리
Ⅶ. 파생상품의 가격결정
Ⅷ. 파생상품의 규제현황
1. 증권거래법
2. 선물거래법
3. 외국환거래법
Ⅸ. 파생상품의 신용리스크
참고문헌
Ⅱ. 파생상품의 개념
1. 선도형 파생상품
1) 선도계약(forward contracts)
2) 선물(futures)
3) 스왑(swap)
2. 옵션형 파생상품
1) 옵션(option)
2) 캡(cap) 또는 플로어(floor)
3. 합성형 파생상품
1) 선물옵션(futures option)
2) 스왑션(swaption)
Ⅲ. 파생상품의 탄생배경
Ⅳ. 파생상품의 유형
Ⅴ. 파생상품의 성장
Ⅵ. 파생상품의 회계처리
Ⅶ. 파생상품의 가격결정
Ⅷ. 파생상품의 규제현황
1. 증권거래법
2. 선물거래법
3. 외국환거래법
Ⅸ. 파생상품의 신용리스크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취할 수도 있다.
⑤ 상품(Commodities) : 주요 상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종류를 들 수 있다.
분말류(Soft commodities) : 코코아, 커피, 설탕(sugar)
곡물(Grains) 및 종자용 씨앗(oilseeds) : 보리(barley), 옥수수(corn), 면화(cotton), 귀리 (oats), 야자유(palm oil), 감자(potato), 대두(soybean), 가을밀(winter wheat), 봄밀 (spring wheat) 등
금속류(Metals) : 구리(copper), 니켈(nickel), 주석(tin)
귀금속류(Precious metals) : 금, 플라티늄(platinum), 은
가축류(Livestock) : 생우(cattle), 생돈(hogs), 돼지고기(pork bellies) 등
에너지류(Energy) : 원유(crude oil), 연료용 기름(fuel oil) 등
이와 같은 기초상품군은 금융자산(financial assets)이라 하지 않고, 상품(goods)으로 보아야 한다. 즉, 이들 상품들은 대부분의 경우 물리적인(physically) 매입 및 저장활동을 수반하게 된다.
Ⅴ. 파생상품의 성장
우리경제의 개방화 및 국제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외환 및 금융시장과 관련한 각종 규제의 완화속도도 가속화되어 환율금리 등 가격변동위험이 크게 증대하였다. 특히 외환 및 자본시장자유화에 따른 자본유출입의 증가, 자유변동 환율제 시행 등으로 원화환율의 변동성(volatility)이 확대되었고, 원화의 국제화와 더불어 단계적 금리자유화를 포함한 금융자유화의 진전으로 국내금리의 가격기능이 제고되어 금리변동성도 증대하였고, 경제규모의 확대와 개방화에 따른 대외거래규모의 확대로 외화자금의 수급규모도 증대한 바, 환율 및 금리 등의 변동에 따른 기업의 리스크 헤지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금융기관의 경우에도 금융개방 진전과 함께 금융기관간의 국제적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보유금융자산의 효율적 운용과 가격변동에 대한 리스크 헤지 필요성이 커진 데다가 전통적인 예대업무만으로는 수익의 획득이 어려워 신종 금융기법에 의한 고수익성 파생상품시장에의 적극적 참여에 의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도모 측면에서도 금융기관 보유자산의 리스크 헤지 내지 수익성 제고를 위한 신종금융상품의 개발 및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앞으로 우리나라의 파생상품거래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국내 파생상품시장의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파생상품 시장은 1996년 5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가지수선물이 도입되면서 파생상품 시장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1996년 7월 주가지수 옵션시장이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개설되어 현재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의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세계 정상권에 이르렀다. 한편, 1999년 4월 한국선물거래소가 설립되어 국채, CD, 미국달러, 금에 대한 선물시장이 개설되었고, 미국달러 옵션 시장도 개설되었다. 또한, 2001년 1월부터는 코스닥지수에 대한 선물거래가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장내파생상품 시장의 발전에 비해 우리나라에서의 장외파생상품 거래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나 의미있는 변화가 진행중이다. 1999년 4월 외국환거래법의 시행으로 외국환거래가 대폭 자유화되었고, 이에 따라 홍콩을 중심으로 하는 원/달러 NDF 시장의 거래수요가 상당부분 국내 외환시장으로 흡수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은행과 종합금융회사만이 장외파생상품을 영업목적으로 거래할 수 있으며, 증권회사는 자신이 최종소비자로써 거래이외에는 장외파생상품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며, 보험회사, 증권투자신탁회사, 선물회사 등은 리스크헤지목적이외에는 파생상품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고, 일부 금융기관의 경우는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거래도 헤지목적거래만으로 제한하고 있다.
Ⅵ. 파생상품의 회계처리
파생상품 자체의 복잡성과 새로운 파생상품의 출현으로 파생상품 등에 대해 완전한 1set의 회계처리기준을 제정하는 것도 어렵거니와 회계처리기준을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가령 미국 재무회계기준심의위원회(이하 「FASB」)는 1986년 파생상품회계를 연구과제로 선정하고, 이후 1992년부터 본격적인 회계기준개발프로젝트를 착수하여 마침내 1998년 6월 SFAS 133으로 공표하기까지 상당한 기간과 노력을 투입한 사실만 보더라도 파생상품 등의 회계처리문제가 쉽지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
이에 따라 FASB는 SFAS 133의 내용을 회계실무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습용, 팀별 학습을 위한 다양한 보수교육교재도 출간하고 있으며 Big 5 회계법인도 상세한 매뉴얼을 준비하여 자체 교육은 물론 훌륭한 실무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우 상당수 기업들에서 SFAS 133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회계시스템을 이 기준에 맞출 수 있는 시간여유를 요청하여 최근 FASB는 이 기준에 대한 효력발생일을 1999년 6월 15일에서 2000년 6월 15일로 1년간 연기하여 2001 회계연도부터 적용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99년 6월 이후 재정비되거나 제정된 총 55건의 해석중 비교적 자세한 해설과 사례가 곁들여진 18건의 해석중에서도 유독 「해석53-70, 파생상품 등의 회계처리」는 본문과 예시수에서도 다른 해석과 비교가 안될 만큼 방대한 분량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파생상품 회계처리의 복잡성과 어려움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파생상품 등의 회계처리를 올바로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석53-70」에 제시된 회계처리의 기본사고를 논리적으로 이해한 다음 세부적인 규정에 대한 의미를 파악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단순하고 간단한 사례에서 출발하여 점차 복잡하고 현실적인 문제를 접근해가는 블록쌓기식 접근이 유용할 것이다.
Ⅶ. 파생상품의 가격결정
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때 자산평가의 일반적 이론과 분리하는 측면이 있다. 간단한 가정하에 그것들은 몇몇 기본적인 증권의 함수로서 파생상품의 무재정가
⑤ 상품(Commodities) : 주요 상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종류를 들 수 있다.
분말류(Soft commodities) : 코코아, 커피, 설탕(sugar)
곡물(Grains) 및 종자용 씨앗(oilseeds) : 보리(barley), 옥수수(corn), 면화(cotton), 귀리 (oats), 야자유(palm oil), 감자(potato), 대두(soybean), 가을밀(winter wheat), 봄밀 (spring wheat) 등
금속류(Metals) : 구리(copper), 니켈(nickel), 주석(tin)
귀금속류(Precious metals) : 금, 플라티늄(platinum), 은
가축류(Livestock) : 생우(cattle), 생돈(hogs), 돼지고기(pork bellies) 등
에너지류(Energy) : 원유(crude oil), 연료용 기름(fuel oil) 등
이와 같은 기초상품군은 금융자산(financial assets)이라 하지 않고, 상품(goods)으로 보아야 한다. 즉, 이들 상품들은 대부분의 경우 물리적인(physically) 매입 및 저장활동을 수반하게 된다.
Ⅴ. 파생상품의 성장
우리경제의 개방화 및 국제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외환 및 금융시장과 관련한 각종 규제의 완화속도도 가속화되어 환율금리 등 가격변동위험이 크게 증대하였다. 특히 외환 및 자본시장자유화에 따른 자본유출입의 증가, 자유변동 환율제 시행 등으로 원화환율의 변동성(volatility)이 확대되었고, 원화의 국제화와 더불어 단계적 금리자유화를 포함한 금융자유화의 진전으로 국내금리의 가격기능이 제고되어 금리변동성도 증대하였고, 경제규모의 확대와 개방화에 따른 대외거래규모의 확대로 외화자금의 수급규모도 증대한 바, 환율 및 금리 등의 변동에 따른 기업의 리스크 헤지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금융기관의 경우에도 금융개방 진전과 함께 금융기관간의 국제적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보유금융자산의 효율적 운용과 가격변동에 대한 리스크 헤지 필요성이 커진 데다가 전통적인 예대업무만으로는 수익의 획득이 어려워 신종 금융기법에 의한 고수익성 파생상품시장에의 적극적 참여에 의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도모 측면에서도 금융기관 보유자산의 리스크 헤지 내지 수익성 제고를 위한 신종금융상품의 개발 및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앞으로 우리나라의 파생상품거래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국내 파생상품시장의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파생상품 시장은 1996년 5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가지수선물이 도입되면서 파생상품 시장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1996년 7월 주가지수 옵션시장이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개설되어 현재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의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세계 정상권에 이르렀다. 한편, 1999년 4월 한국선물거래소가 설립되어 국채, CD, 미국달러, 금에 대한 선물시장이 개설되었고, 미국달러 옵션 시장도 개설되었다. 또한, 2001년 1월부터는 코스닥지수에 대한 선물거래가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장내파생상품 시장의 발전에 비해 우리나라에서의 장외파생상품 거래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나 의미있는 변화가 진행중이다. 1999년 4월 외국환거래법의 시행으로 외국환거래가 대폭 자유화되었고, 이에 따라 홍콩을 중심으로 하는 원/달러 NDF 시장의 거래수요가 상당부분 국내 외환시장으로 흡수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은행과 종합금융회사만이 장외파생상품을 영업목적으로 거래할 수 있으며, 증권회사는 자신이 최종소비자로써 거래이외에는 장외파생상품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며, 보험회사, 증권투자신탁회사, 선물회사 등은 리스크헤지목적이외에는 파생상품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고, 일부 금융기관의 경우는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거래도 헤지목적거래만으로 제한하고 있다.
Ⅵ. 파생상품의 회계처리
파생상품 자체의 복잡성과 새로운 파생상품의 출현으로 파생상품 등에 대해 완전한 1set의 회계처리기준을 제정하는 것도 어렵거니와 회계처리기준을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가령 미국 재무회계기준심의위원회(이하 「FASB」)는 1986년 파생상품회계를 연구과제로 선정하고, 이후 1992년부터 본격적인 회계기준개발프로젝트를 착수하여 마침내 1998년 6월 SFAS 133으로 공표하기까지 상당한 기간과 노력을 투입한 사실만 보더라도 파생상품 등의 회계처리문제가 쉽지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
이에 따라 FASB는 SFAS 133의 내용을 회계실무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습용, 팀별 학습을 위한 다양한 보수교육교재도 출간하고 있으며 Big 5 회계법인도 상세한 매뉴얼을 준비하여 자체 교육은 물론 훌륭한 실무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우 상당수 기업들에서 SFAS 133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회계시스템을 이 기준에 맞출 수 있는 시간여유를 요청하여 최근 FASB는 이 기준에 대한 효력발생일을 1999년 6월 15일에서 2000년 6월 15일로 1년간 연기하여 2001 회계연도부터 적용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99년 6월 이후 재정비되거나 제정된 총 55건의 해석중 비교적 자세한 해설과 사례가 곁들여진 18건의 해석중에서도 유독 「해석53-70, 파생상품 등의 회계처리」는 본문과 예시수에서도 다른 해석과 비교가 안될 만큼 방대한 분량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파생상품 회계처리의 복잡성과 어려움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파생상품 등의 회계처리를 올바로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석53-70」에 제시된 회계처리의 기본사고를 논리적으로 이해한 다음 세부적인 규정에 대한 의미를 파악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단순하고 간단한 사례에서 출발하여 점차 복잡하고 현실적인 문제를 접근해가는 블록쌓기식 접근이 유용할 것이다.
Ⅶ. 파생상품의 가격결정
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때 자산평가의 일반적 이론과 분리하는 측면이 있다. 간단한 가정하에 그것들은 몇몇 기본적인 증권의 함수로서 파생상품의 무재정가
추천자료
채권의 가격과 수익률 이자율의 결정
[이마트][E-Mart][마트][유통업]이마트(E-Mart) 성공 사례 분석(이마트(E-Mart)의 경영관련 ...
기술 이전 전략 - 기술 이전 성공 요인, 기술 판매 전략 (기술 수명 주기별), 기술 가격 결정
[로열티][라이센스][브랜드]로열티의 결정요소, 로열티와 라이센서, 로열티와 브랜드, 로열티...
네네치킨 성공요인 분석 PPT자료 - 차별화된 상품력, 가격정책, 입지전략, 광고 전략
상품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 지는 것일까
[촉진믹스의 결정] 상품과 표적고객의 종류, 상품수명주기단계
스포츠 상품의 분류와 스포츠 제품의 가격 및 촉진, 유통
[코스닥시장] 코스닥시장의 의의와 특징, 기능, 상장요건, 심사, 최대공모주 발행가격 결정
의약품의 수요는 가격변화에 비탄력적이지만 컴퓨터수요는 가격변화에 탄력적이다. 기술진보...
[A+] [관광상품기획] 리마인드웨딩 고객 대상 그리스 산토리니 여행계획 및 상품소개 기획의...
[소비자태도][소비자][광고태도]소비자태도의 종속변수, 소비자태도의 형성, 소비자태도의 행...
세법=1. 소득세법이 소득세의 부과 대상으로 “다른 사람과 거래에서 현저하게 저렴한 가격으...
호텔마케팅 - 해운대 그랜드 호텔(Haeundae Grand Hotel), 상품 개요, 현황분석, 시장분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