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제작기술과 문화컨텐츠
1. 영상 제작기술과 제작구조의 변화
2. 음반 제작기술과 제작구조의 변화
3. 출판 제작기술과 제작구조의 변화
Ⅱ. 제작기술과 디지털영상컨텐츠
1. 기획요소
2. 마케팅요소
3. 제작능력
4. 경영능력
Ⅲ. 제작기술과 방송시스템
1. 부조정실
2. 스튜디오시스템구성
1) 영상설비
2) 음향설비
3) 조명설비
Ⅳ. 제작기술과 음반산업
Ⅴ. 제작기술과 영화산업
Ⅵ. 제작기술과 웹페이지
1. 텍스트의 표현
1) 문자코드
2) 폰트
2. 텍스트 파일 포맷
1) TXT
2) DOC
3) HWP
4) RTF(Rich Text Format)
5) HTML
3. 텍스트 편집
Ⅶ. 제작기술과 애니메이션
참고문헌
1. 영상 제작기술과 제작구조의 변화
2. 음반 제작기술과 제작구조의 변화
3. 출판 제작기술과 제작구조의 변화
Ⅱ. 제작기술과 디지털영상컨텐츠
1. 기획요소
2. 마케팅요소
3. 제작능력
4. 경영능력
Ⅲ. 제작기술과 방송시스템
1. 부조정실
2. 스튜디오시스템구성
1) 영상설비
2) 음향설비
3) 조명설비
Ⅳ. 제작기술과 음반산업
Ⅴ. 제작기술과 영화산업
Ⅵ. 제작기술과 웹페이지
1. 텍스트의 표현
1) 문자코드
2) 폰트
2. 텍스트 파일 포맷
1) TXT
2) DOC
3) HWP
4) RTF(Rich Text Format)
5) HTML
3. 텍스트 편집
Ⅶ. 제작기술과 애니메이션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작 추진일정계획이 합리적인가?
핵심 제작인력의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는가?
필요시설 확보를 포함한 제작계획이 현실적인가?
제작비 산출내역이 충실하며 타당성 및 합리성이 있는가?
국내외 판매(배급)실적 및 수상실적이 있는가?
4. 경영능력
자기자본비율
연간매출액 증가율
유동비율
Ⅲ. 제작기술과 방송시스템
1. 부조정실
부조정실은 스튜디오의 제작 지휘실로 스튜디오 카메라 장치 및 영상모니터, 영상 스위쳐, VCR, DVE(특수 효과장치) 등의 영상설비 와 오디오콘솔, 테이프 레코더, CDP 등을 설치하여 영상, 음향, 조명, 연락 등의 조정기기를 설치한다.
각종기기의 기술적운용담당자, 기술감독, 영상엔지니어, 음향 엔지니어, 조명 감도 및 PD, 효과담당자가 각기 업무를 담당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곳이며 TV방송의 제1선 부대이다.
부조정실의 환경은 실내의 천정높이에서부터 벽바닥 기기의 재질이나 색체에 이르기까지 인체 공학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특히 영상모니터 면에서는 빛이 새거나 그림자가 비치지 않도록 조작기구에만 밝은 실내조명이 이루어져야하며 음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소음이 적은 음향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기 위해 SR실을 둔다.
부조정실의 실내바닥은 시스템의 유지관리를 위해 개방된 액세스 플로워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액세스플로워의 높이는 20~ 30cm정도로 시설하는 것이 적당한다.
2. 스튜디오시스템구성
스튜디오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영상라인과 음향라인은 송출 시에는 하나의 신호가 되지만 방송제작시스템에서는 쌍을 이룬 두 종류의 신호로 취급된다. 특히 스튜디오 안에서는 녹화기를 제외하면 영상설비와 음향설비라는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명설비도 독립해서 구성된다.
1) 영상설비
비디오스위쳐의 입력단에는 스튜디오카메라 이외에 VCR, Still Store, 문자발생기, 기타 스튜디오 및 중계현장이나 다른 방송사에서 들어오는 것 등이 있다.
이들의 영상신호의 방식은 어떠한 방식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에는 경제성, 시스템설치의 간편성 및 향후 시스템의 확장성과 방송환경의 급속한 변화(16:9)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디지털 시리얼 컴포넌트 신호기준(SMPTE 259M-C)
-양자화 : 10bit, 270Mbps
-표본화 : 4:2:2 13.5Mhz, 16:9 와 4:3(NTSC)이 호환이 되어야 함
비디오 스위쳐
카메라,VCR,중계 현장 등의 영상소재에서 얻을수 있는 영상신호의 위상을 맞추어 특성을 같게 한 후 소재를 선택하고 전환, 혼합, 가공하여 출력한다.
2) 음향설비
텔레비젼 스튜디오에서의 음향은 영상과 공존하기 때문에 영상장비와 조화를 이루도록 갖추어 져야 한다. 주요장비로는 음향콘솔, CDP, DAT등을 들 수 있으며, 부속기기로는 잔향 부가 등을 \"리버브\" 전화 접속을 위한 \"텔리폰하이브리드\" 및 음성 지연장치인 \"딜레이\" 장비 등이 있다.
부조정실의 신호는 +4dbm의 아날로그 스테레오방식을 원칙으로 하되 향후 디지털로의 전환을 고려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스튜디오 음향설비
*텔레비젼 음향의 특성
-영상과 공존하기 때문에 마이크 등의 배치에 제약이 많다.
-스튜디오의 음향특성이나 방음성이 나쁘고 소음, 전자유도잡음, 기류의 발생원이 많다
-스피치, 음악, 효과음 등을 한번에 동시 믹싱 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수음 기기인 마이크로폰은 화면에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초지향성의 마이크를 붐에 달아 카메라와 연계하여 운용하거나 초소형의 마이크를 출연자의 의복에 장치하여 사용한다.
*음향효과를 위한 소재음 재생기기로는 테이프녹음재생기, CDP, DAI등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짧은 효과음을 여러 종류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Audio File장비도 사용한다.
*Audio Console
-여러 개의 마이크나 녹하기를 포함한 음향재생기 특히 외부에서 들어오는 음성신호를 조정 혼합하여 송추하는 것이 기본기능이나 정음 회로인 이퀄라이저나 필터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스튜디오안의 출연자에게 연기에 필요한 음만을 선택하여 공급하는 회로(Aux) 가 필수적이다.
3) 조명설비
조명설비의 급전설비, 현가설비는 건축설비와 깊게 관련되어 있어 일단설비하면 수정하기가 곤란하므로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하여 설치 하여야한다. 제작 시에 주로 사용하는 설비로는 조광 기구인 조명딤머와 조명콘솔 및 조명기구를 들 수 있다.
이밖에 연락장비(인터컴시스템), 모니터장비, 측정장비 등도 시스템 구성에 있어 도외시하여서는 아니 될 장치들이다.
Ⅳ. 제작기술과 음반산업
1950년대부터 본격적인 산업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한 음반산업은 지속적인 기술발전과 디지털화가 진행되어왔다. 음반 제작은 소리의 녹음과 이 소리를 다듬는 과정인 믹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작업들은 녹음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진다. 음반산업의 경우 초기에는 목소리나 악기를 통해 나오는 소리를 그대로 담는 기술과 작업이 중심이었으나, 녹음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소리의 발생을 목소리나 악기에서 뿐 만 아니라 전자기기를 통해 만드는 기술이 등장하면서 전자음악의 등장이라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단순히 연주자가 연주하는 것을 그대로 녹음하는 방식으로 음반을 제작하던 것에 비해, 1960년대부터 보급된 신디사이저의 고난도 기술을 통해 그 기능이 확대되면서 전자음악, 컴퓨터음악은 현대 음반제작에 있어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가 된 것이다. 신디사이저는 전자 음악을 위한 총체적 기구이며 음질을 가공하는 여러 기기와 더불어 전자신호를 내는 발진기를 갖고 있다. 1960년대 중엽에 전압제어 방식이 도입되고 발달되어 대중적인 악기가 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소리의 신호체계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어져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는 더 작동이 편리해진 디지털 신디사이저로 대치되었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는 MIDI의 경우 장비 및 소프트웨어가 작곡자의 취향과 편의성에 따라 이용되는 장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작곡자가 창작한 곡의 성격과 장르별로 그 기술 및 기기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MIDI와 관련한 소프트웨어인 케
핵심 제작인력의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는가?
필요시설 확보를 포함한 제작계획이 현실적인가?
제작비 산출내역이 충실하며 타당성 및 합리성이 있는가?
국내외 판매(배급)실적 및 수상실적이 있는가?
4. 경영능력
자기자본비율
연간매출액 증가율
유동비율
Ⅲ. 제작기술과 방송시스템
1. 부조정실
부조정실은 스튜디오의 제작 지휘실로 스튜디오 카메라 장치 및 영상모니터, 영상 스위쳐, VCR, DVE(특수 효과장치) 등의 영상설비 와 오디오콘솔, 테이프 레코더, CDP 등을 설치하여 영상, 음향, 조명, 연락 등의 조정기기를 설치한다.
각종기기의 기술적운용담당자, 기술감독, 영상엔지니어, 음향 엔지니어, 조명 감도 및 PD, 효과담당자가 각기 업무를 담당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곳이며 TV방송의 제1선 부대이다.
부조정실의 환경은 실내의 천정높이에서부터 벽바닥 기기의 재질이나 색체에 이르기까지 인체 공학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특히 영상모니터 면에서는 빛이 새거나 그림자가 비치지 않도록 조작기구에만 밝은 실내조명이 이루어져야하며 음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소음이 적은 음향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기 위해 SR실을 둔다.
부조정실의 실내바닥은 시스템의 유지관리를 위해 개방된 액세스 플로워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액세스플로워의 높이는 20~ 30cm정도로 시설하는 것이 적당한다.
2. 스튜디오시스템구성
스튜디오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영상라인과 음향라인은 송출 시에는 하나의 신호가 되지만 방송제작시스템에서는 쌍을 이룬 두 종류의 신호로 취급된다. 특히 스튜디오 안에서는 녹화기를 제외하면 영상설비와 음향설비라는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명설비도 독립해서 구성된다.
1) 영상설비
비디오스위쳐의 입력단에는 스튜디오카메라 이외에 VCR, Still Store, 문자발생기, 기타 스튜디오 및 중계현장이나 다른 방송사에서 들어오는 것 등이 있다.
이들의 영상신호의 방식은 어떠한 방식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에는 경제성, 시스템설치의 간편성 및 향후 시스템의 확장성과 방송환경의 급속한 변화(16:9)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디지털 시리얼 컴포넌트 신호기준(SMPTE 259M-C)
-양자화 : 10bit, 270Mbps
-표본화 : 4:2:2 13.5Mhz, 16:9 와 4:3(NTSC)이 호환이 되어야 함
비디오 스위쳐
카메라,VCR,중계 현장 등의 영상소재에서 얻을수 있는 영상신호의 위상을 맞추어 특성을 같게 한 후 소재를 선택하고 전환, 혼합, 가공하여 출력한다.
2) 음향설비
텔레비젼 스튜디오에서의 음향은 영상과 공존하기 때문에 영상장비와 조화를 이루도록 갖추어 져야 한다. 주요장비로는 음향콘솔, CDP, DAT등을 들 수 있으며, 부속기기로는 잔향 부가 등을 \"리버브\" 전화 접속을 위한 \"텔리폰하이브리드\" 및 음성 지연장치인 \"딜레이\" 장비 등이 있다.
부조정실의 신호는 +4dbm의 아날로그 스테레오방식을 원칙으로 하되 향후 디지털로의 전환을 고려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스튜디오 음향설비
*텔레비젼 음향의 특성
-영상과 공존하기 때문에 마이크 등의 배치에 제약이 많다.
-스튜디오의 음향특성이나 방음성이 나쁘고 소음, 전자유도잡음, 기류의 발생원이 많다
-스피치, 음악, 효과음 등을 한번에 동시 믹싱 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수음 기기인 마이크로폰은 화면에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초지향성의 마이크를 붐에 달아 카메라와 연계하여 운용하거나 초소형의 마이크를 출연자의 의복에 장치하여 사용한다.
*음향효과를 위한 소재음 재생기기로는 테이프녹음재생기, CDP, DAI등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짧은 효과음을 여러 종류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Audio File장비도 사용한다.
*Audio Console
-여러 개의 마이크나 녹하기를 포함한 음향재생기 특히 외부에서 들어오는 음성신호를 조정 혼합하여 송추하는 것이 기본기능이나 정음 회로인 이퀄라이저나 필터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스튜디오안의 출연자에게 연기에 필요한 음만을 선택하여 공급하는 회로(Aux) 가 필수적이다.
3) 조명설비
조명설비의 급전설비, 현가설비는 건축설비와 깊게 관련되어 있어 일단설비하면 수정하기가 곤란하므로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하여 설치 하여야한다. 제작 시에 주로 사용하는 설비로는 조광 기구인 조명딤머와 조명콘솔 및 조명기구를 들 수 있다.
이밖에 연락장비(인터컴시스템), 모니터장비, 측정장비 등도 시스템 구성에 있어 도외시하여서는 아니 될 장치들이다.
Ⅳ. 제작기술과 음반산업
1950년대부터 본격적인 산업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한 음반산업은 지속적인 기술발전과 디지털화가 진행되어왔다. 음반 제작은 소리의 녹음과 이 소리를 다듬는 과정인 믹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작업들은 녹음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진다. 음반산업의 경우 초기에는 목소리나 악기를 통해 나오는 소리를 그대로 담는 기술과 작업이 중심이었으나, 녹음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소리의 발생을 목소리나 악기에서 뿐 만 아니라 전자기기를 통해 만드는 기술이 등장하면서 전자음악의 등장이라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단순히 연주자가 연주하는 것을 그대로 녹음하는 방식으로 음반을 제작하던 것에 비해, 1960년대부터 보급된 신디사이저의 고난도 기술을 통해 그 기능이 확대되면서 전자음악, 컴퓨터음악은 현대 음반제작에 있어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가 된 것이다. 신디사이저는 전자 음악을 위한 총체적 기구이며 음질을 가공하는 여러 기기와 더불어 전자신호를 내는 발진기를 갖고 있다. 1960년대 중엽에 전압제어 방식이 도입되고 발달되어 대중적인 악기가 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소리의 신호체계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어져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는 더 작동이 편리해진 디지털 신디사이저로 대치되었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는 MIDI의 경우 장비 및 소프트웨어가 작곡자의 취향과 편의성에 따라 이용되는 장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작곡자가 창작한 곡의 성격과 장르별로 그 기술 및 기기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MIDI와 관련한 소프트웨어인 케
추천자료
방송 광고의 산업적 문화적 가치 재조명 (방송광고)
TV 방송사의 조직과 제작시스템
물류시스템과 산업공학
세계의 음반시장 및 산업
[MBC, 문화방송]MBC(문화방송)의 역사, 형성과정, MBC(문화방송)의 시스템, 편성규약, MBC(문...
[기술지식, 기술지식지표, 기술지식집약적 산업, 기술지식시스템]기술지식과 기술지식지표, ...
[기술정책, 기반기술, 기술확산사업, 기술거래, 정보통신]기술정책과 기반기술, 기술정책과 ...
[안전보건, 안전보건준수]안전보건과 안전보건준수, 안전보건정책, 안전보건과 안전보건제도,...
[1990년대, 경제개혁, 한국산업, 금융시스템, 버블경제, 노동시장]1990년대의 경제개혁, 1990...
[한국, 금융, 한국 금융환경, 한국 금융기관, 한국 금융산업정책, 한국 금융감독시스템, 한국...
[산업 국가간 비교][산업 국가][원자력산업]산업 정보시스템 국가간 비교, 산업 정부조직 국...
농축산업의 회계 시스템 도입필요성
[생존 전략][지역방송 생존 전략][지상파라디오 생존 전략][건설업체 생존 전략][양계산업 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