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 퇴적구조, 퇴적물오염]퇴적과 퇴적구조, 퇴적과 퇴적물오염, 퇴적과 공룡발자국화석, 퇴적과 서해안 간척지, 퇴적과 남동대륙붕, 퇴적과 남서대륙붕, 퇴적과 현장학습 사례, 퇴적과 퇴적학야외조사 사례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퇴적, 퇴적구조, 퇴적물오염]퇴적과 퇴적구조, 퇴적과 퇴적물오염, 퇴적과 공룡발자국화석, 퇴적과 서해안 간척지, 퇴적과 남동대륙붕, 퇴적과 남서대륙붕, 퇴적과 현장학습 사례, 퇴적과 퇴적학야외조사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퇴적과 퇴적구조
1. 위치에 따라
1) 층 상부의 퇴적 구조
2) 층의 단면에 나타나는 퇴적 구조
3) 층 하부의 퇴적 구조
2. 성인에 따라
1) 저 에너지 구조
2) 고 에너지 구조
3. 각 층에 주로 나타나는 구조와 구성 입자
1) 만덕산층
2) 달길층
3) 산수동층

Ⅱ. 퇴적과 퇴적물오염
1.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에 의한 오염
2. 농·축산폐수
3. 양식어장 자가오염
1) 패류 양식어장의 자가오염
2) 어류양식어장의 자가오염
4. 간척․매립에 의한 오염
5. 대기로부터 유입

Ⅲ. 퇴적과 공룡발자국화석
1. 공룡발자국의 분류
2. 공룡의 주행 속도
3. 고환경 해석
1) 퇴적환경
2) 생물 서식환경
3) 화석화작용

Ⅳ. 퇴적과 서해안 간척지

Ⅴ. 퇴적과 남동대륙붕

Ⅵ. 퇴적과 남서대륙붕
1. 조류사퇴의 형성
2. 니질퇴적대의 형성

Ⅶ. 퇴적과 현장학습 사례
1. 현장학습지의 구성
2. 결과분석
1) 지층이 쌓여있는 생김새 관찰
2) 산이 뻗은 방향 찾기
3. 각 지점에서 주제로 탐구하기
1) 1번 지점에서 띠의 색과 깬 암석의 모양 관찰
2) 2번 지점에서 같은 색상의 띠의 두께측정과 알갱이의 크기 비교
3) 3번 지점에서 전체 지층의 생김새, 되풀이 된 지층띠의 색깔과 두께측정, 깬 모양의 관찰
4) 4번 지점에서 암석의 색, 두께, 깬 모양의 관찰
5) 5번 지점에서 전체 지층의 생김새, 되풀이 된 지층 띠의 색과 두께측정, 깬 모양의 관찰
6) 6번 지점에서 암석의 색, 두께, 깨진 모양의 관찰

Ⅷ. 퇴적과 퇴적학야외조사 사례
1. RP1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주변 소양강 상류지점
2. RP2 :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 오산 해수욕장 지점
1) 주요 facies 특성
2) 주변 퇴적구조
3) 세부분석
3. RP2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진포 송지호
1) 주요 facies 특성
2) 각 조별 특징분석
3) 해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구가 있는 북쪽으로 갈수록 굴곡진 형태의 해안선을 나타낸다.
이 곳은 주기적인 long shore current가 연단위로 여름철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겨울철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해가기 때문에 이로 인해 해안 퇴적구조는 이들의 주기적인교대방향을 cross-bedding으로 표현하게 된다.
해안환경은 유수의 영향뿐만이 아니라 바람의 영향도 많이 받는 곳이다. 특히 저반이 약한 퇴적체들은 바람의 유동방향을 잘 반영하는데 antidune 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며, 또한 해류의 움직임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해안에서 바다 쪽을 바라보면 파도가 몰려오다가 해안가에서 굽이치며 앞으로 파쇄 되는데 이는 해수의 wavelength와 원운동의 depth와 관계가 있다.
swash와 backwash가 들어왔다 나갈 때 자세히 관찰해 보면 해수가 빠져나가면서 sand층에 구멍이 생기는데 이는 소양강 상류지역에서 보았던 천공구조와 비슷한 과정에 의한 것이지만 지속적인 에너지의 영향(기후, 온도, 밀물, 썰물 etc..)으로 보존이 어렵다는 것이 단점.
조개껍질은 수력학적인 diameter가 동일한 모래와 파도에 의해 퇴적되었다가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그 후 다시 해수면이 상승되어 그 위에 퇴적체가 형성되면 이전 해수의 수력학적인 diameter을 짐작할 수 있게 된다.
바위초는 바위초 주변의 해안선에 파도에 의한 침식작용을 방어해 주는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2) 주변 퇴적구조
바람에 의한 ripple mark로 가까운 쪽의 경사면이 완만하고 반대편이 급한 것으로 보아 사진상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바람이 불었던 것으로 추측이 된다.
지난 집중호우 기간동안 유수에 의해 흰색 선상의 방향으로 유수가 이동하였으나 후에 다른 요인으로 인하여 유수의 방향이 바뀌어 2방향의 ripple mark를 볼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3) 세부분석
- 전체적으로는 밝은층과 검은층이 교호하면서 층서를 이루고 있지만 점점 올라오다 중간층 이후부터 cross-stratification을 이루고 있다.
- 경사부정합면과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지질학적인 큰 Event가 있었을 암시해주는 것이라 생각이 된다. 즉, 큰 에너지가 퇴적층을erosion 하면서 생긴 시간차였으리라 생각이 된다. 흔히 일어날 수 있는 태풍이라든지 혹은 폭풍을 예상할 수 있겠다.
- 전체적으로 하부 50cm가량은 특이한 상황이 반복되지 않고, 평이하게 퇴적되었으며 mud층이 나타난 검은층은 식물군의 뿌리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서 bioturbation을 추측할 수 있었다. 북쪽의 5조에서부터 1조로 올수록 부정합면이 inward한 것으로 보아서 energy가 암초쪽으로 크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 전반적으로 석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장석류들과 화산암편들이 즐비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roundness 는 moderatly 하지만 sphericity는 별로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원암으로부터 그리 멀지 않았으며 시간적 공급이 충분치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3. RP2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진포 송지호
=Transitional system→ lacustrine system - 석호환경
1) 주요 facies 특성
둘레가 4Km에 약 20만평 넓이의 대자연호수
이전에는 바다였지만 바다와 분리 되면서 염수호에서 담수호로 이동
(lagoon → lake system) ⇒ 식생분포와 퇴적구조의 변화 초래
현재는 논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으면서 호수환경을 지님
갈대와 같은 습식 식물군이 담수호임을 증명하고 있다.
호수 주변 대부분의 표면 토질은 mud 층임을 알 수 있다.
주변에 산들이 둘러싸여 있어 쇄설성 퇴적물들의 퇴적구조를 형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이 됨
큰 태풍과 폭풍우가 있었을 경우에는 이 지역이 바다와 만날 수 있었으나 해수면의 변동과 더불어 energy의 감소로 분리, 고립되면서 육성 퇴적호수층을 이뤄가고 있는 것이 특징
층형중 가장 하단에 있는 층(c층)은 해양환경의 대륙붕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점차 담수호로 변해 가면서 mud층과 같은 육성호수 퇴적층을 그 위에 지니면서 호수의 특성이 변해가는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로 갈대와 같은 습식 식물군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로부터의 퇴적물이 유입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open system)
모두 5지점을 Trenching 했으며, 퇴적구성에 있어서는 비슷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으나, 호수주변과 산턱지점의 grain size에 있어서는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2) 각 조별 특징분석
* 암갈색 층(A) 40cm / 검은색 층(B) 20cm / 담갈색 층(C) 15cm(mud 主, granule)(중조립 sand : mud = 1:1)(중조립 sand-풍화 多)
* 호수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mud 보다 sand가 많다.(clastic 한 sediments 들의 유입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지시)
* sand의 유입(풍화 산화물-산화상태) → 최하단 층 붉은계열
* sand maturity ⇒ 좋지 않음
3) 해석
전체적으로 보면 이전에 해양환경의 영향을 증명하는 clastic sand층이 최하단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점차 lgoon에서 lake sediment system의 증거로 mud층이 교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쇄설성 퇴적물이 mud층 위에 퇴적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김선효, 다층 퇴적구조 내에서 음선 이론을 이용한 시계열 신호 모의, 한양대학교, 2011
김건하 외 1명, 오염퇴적물 관리방향 및 처리공법,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공달용 외 3명, 남해 가인리 공룡발자국 화석에 대한 디지털 사진 측량 기법의 활용, 한국지구과학회, 2010
구자웅 외 2명, 우리나라 서해안 간척지 및 간석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 1998
신원철, 한국 남서대륙붕의 제4기탄성파층서와 퇴적과정연구, 서울대학교, 1995
유동근, 한국 남동 대륙붕 후 제4기 퇴적층의 사퀀스 층서, 한국해양학회, 2003
  • 가격9,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7.20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