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개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함경북도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함경북도 개관

본론 함경북도 각군별 특징

  - 1. 나선 직할시
  - 2. 김 책 시
  - 3. 길 주 군
  - 4. 명 천 군
  - 5. 화 대 군
  - 6. 회 령 시
  - 7. 새 별 군
  - 8. 은 덕 군
  - 9. 온 성 군
  - 10. 무 산 군
  - 11. 청 진 시
  - 12. 화 성 군
  - 13. 어 랑 군
  - 14. 경 성 군
  - 15. 연 사 군
  - 16. 부 령 군

결론 함경북도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참고자료

발 표 준 비 일 지

본문내용

공업용수, 관개용수와 원목의 운반을 위한 떼길(뗏목길) 등으로 이용된다. 함경북도는 산림자원이 풍부한 도의 하나로서 산림은 도 넓이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산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서부 고산지대이며 여기에는 경제적 가치가 큰 삼송류들이 많다. 1800m 이상 높은 지역에는 만병초, 누운잣나무 등 고산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다. 화대군 목진리 운만대 지역에는 북부지방에서 보기 드문 참대 일종인 신의대(산죽)가 있다. 이곳은 운만대 신의대 식물보호구로 되어 있다. 함경북도는 동물서식에서 유리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어 깊은 산속에는 백두산노루, 검은돈(검은담비), 사슴, 사향노루, 범 등 많은 동물들이 있으며 산림한계선을 벗어난 지역에는 산양, 쥐토끼와 같은 동물들이 많다.
함경북도는 지질구성이 다양해 철, 니켈, 동, 금, 연 등 금속광물들과 운모, 고령토, 흑연, 형석과 같은 비금속광물, 석류석, 월장석, 강옥을 비롯한 보석광물들, 석탄, 토탄을 비롯한 여러 가지 유용한 광물들이 매장돼 있다. 이런 광물들은 주로 도의 남부와 북부 일대에 퍼져 있다.
나. 함 경 북 도 주 요 산 업 및 특 산 물
함경북도에는 청진공업지구와 함경남도에 걸친 김책공업지구가 있다. 청진공업지구에서는 제철, 제강, 기계, 조선, 화학, 시멘트 부문을 김책공업지구에서는 제강, 화학, 제련, 조선, 내화물, 펄프, 제지, 합판 부문을 집중 육성, 개발하고 있다. 청진과 김책 두 공업지구를 중심으로 한 함경북도의 주요 공업부문은 채취, 전력, 금속, 기계, 화학, 건재공업 등 중공업과 경공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채취공업에서는 석탄생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그밖에 흑연, 인회석, 운모 등이 있다. 금속공업에서는 흑색금속공업, 기계공업에서는 탄광기계, 탐사기계, 조선업과 화학공업에서는 메탄올, 화학비료, 포르말린 생산과 건재공업에서는 내화벽돌생산이 기본이다. 경공업은 방직, 식료, 일용품, 제지공업이 비중이 있다.
농업부문은 곡물생산을 위주로 하는 농업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축산, 과수업 등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경지면적은 도 넓이의 약 10%을 차지하고 그 가운데 논은 18%, 밭은 71%, 과일밭은 9%를 차지한다. 농업에서 기본은 알곡과 채소, 담배생산이며 주요 곡물은 벼, 강냉이, 콩으로 이중 강냉이 생산이 가장 많다.
함경북도와 연결되어 있는 라선 직할시와 함경북도의 2개 시(청진, 김책), 5개 군(경성, 어랑, 화성, 명천, 화대)은 바다를 끼고 있어 북한에서 수산물 생산에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수산기지는 김책시, 라선, 어대진, 무수단, 화성, 화대 등이며, 특히 김책시에는 원양어로 선단이 있다.
함경북도는 1990년대 들어 \'희망의 땅\'으로 급부상 했다. 당면한 경제난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식 경제특구를 모방, 도내 라선(라진-선봉)지역을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선포하고 서방세계의 자본과 기술을 유치하기 위해 온갖 정치적 특권과 배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유경제무역지대가 북한이 계획한대로 성공적으로 운영될 때 그 파급효과는 주민들의 생활개선 및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함경북도를 희망의 땅으로 부르고 있는 것이다.
1998년 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자유경제무역지대\'는 \'자유\'라는 단어를 없애고 \'경제무역지대\'가 됐다. 함경북도는 라선경제특구 이외에도 침체된 북한 경제를 회생시킬 수 있는 수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우선 매장량 10억t에 연간 생산능력이 800만t에 달하는 북한 최대 철생산지이자 세계적인 노천광산인 무산광산이 있고, 북한 최대 정유공장으로 연간 200만t의 정유능력을 가진 승리화학공장이 도내에 있다.
여기에 \'함북의 금강\'이라는 칠보산 (명천군 소재, 659m)을 비롯 도내에 자연경관이 빼어난 명산명소가 많고 경성온천, 온포온천, 온수평온천, 세천온천, 주을온천 등 유명 온천들이 산재해 있어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다. 함 경 북 도 교 통 및 명 소
교통운수에서는 철도가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한다. 주요 철도는 평라선(평양~라진), 함북선(반죽~회령~라선), 백두산청년선(길주~혜산), 백무선(무산~백암)이다. 이밖에도 고참탄광선(고참~신명천), 회령탄광선(회령~유선), 세천선(신학포~세천), 고건원선(신건~고건원), 동포선(종성~동포), 오봉선(학송~오봉), 홍의선(홍의~적지), 두만강선(몰골~두만강) 등 철도들이 있다. 청진에서 김책까지는 199.5㎞, 라선까지는 97㎞, 회령까지는 88㎞이다.
라진역은 평라선과 함북선의 종착역이며 두만강역에서는 러시아로, 남양과 삼봉역에서는 중국으로 통하는 철도가 이어진다. 주요 도로는 철도를 따라 놓인 길과 회령, 온성 사이와 회령과 무산을 거쳐 백무고원을 지나 혜산에 이르는 길이다. 주요 항구는 김책, 라선, 웅상항이다.
함경북도에는 칠보산을 비롯하여 이름난 명승지들이 많다. 250㎢의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칠보산(659m)은 산수가 아름답고 내칠보의 청계골에는 칠보산휴양소가 있다. 바다와 접해있는 해칠보의 풍경도 매우 아름다워 절경을 이룬다.
명천군 보촌리와 화성군 부암리에는 개심사와 쌍계사가 있다. 선봉군 굴포리와 회령 일대에서는 고대유적이 많이 발굴됐다.
(U N D P)
국제연합개발계획 [U N D P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국제연합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계획을 조정·통일하는 기구
설립 연도 1965년
설립 목적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계획 조정, 통일
주요 활동 특별기금 조성, 기술원조
가입국가 141개국(2002) 본부소재지 미국 뉴욕
◆ 함 경 북 도 각 군 별 특 징 ◆
1 . 라 선 직 할 시
라선직할시는 신의주 특별행정구, 금강산 관광지구, 개성공업지구와 함께 북한의 특별지구중의 하나로 북한 첫 경제특구이다. 이 지역은 북한이 1991년 12월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한 경제특구로써 2010년까지 동북아의 국제적인 화물중계지, 수출가공기지, 관광, 금융기지의 기능을 가진 중계형 수출가공기지로 발전시킬 것을 구상하였다. 이 계획에
  • 가격4,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3.07.2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