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가격과 가격통제
Ⅲ. 가격과 가격이론
Ⅳ. 가격과 가격결정방식
Ⅴ. 가격과 가격분산
Ⅵ. 가격과 가격선도력
Ⅶ. 가격과 생산가격
1. 일반적 이윤율의 변동
2. 일반적 이윤율이 불변인 경우
Ⅷ. 가격과 준거가격
Ⅸ. 가격과 다차원가격
Ⅹ. 가격과 부동산가격
1. 인구의 상태
2. 가족구성 및 가구분리의 상태
3. 도시형성 및 공공시설의 정비상태
4. 교육 및 사회복지의 수준
5. 부동산 거래 및 사용수익의 관행
6. 건축양식 등과 그 상태
참고문헌
Ⅱ. 가격과 가격통제
Ⅲ. 가격과 가격이론
Ⅳ. 가격과 가격결정방식
Ⅴ. 가격과 가격분산
Ⅵ. 가격과 가격선도력
Ⅶ. 가격과 생산가격
1. 일반적 이윤율의 변동
2. 일반적 이윤율이 불변인 경우
Ⅷ. 가격과 준거가격
Ⅸ. 가격과 다차원가격
Ⅹ. 가격과 부동산가격
1. 인구의 상태
2. 가족구성 및 가구분리의 상태
3. 도시형성 및 공공시설의 정비상태
4. 교육 및 사회복지의 수준
5. 부동산 거래 및 사용수익의 관행
6. 건축양식 등과 그 상태
참고문헌
본문내용
격이란 Biswas and Blair(1991)가 정의한 내부준거가격과 동일시 한 개념으로 소비자들의 경험에 의하여, 기억 속에 존재하는 가격을 소비자 준거가격이라 정의한다.
Ⅸ. 가격과 다차원가격
마케팅에서 가장 전통적이고 민감한 요소로서 \'가격\'을 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가격\'이란 개념이나 실체는 생산자 소비자, 양자 모두에게 가장 주된 관심사로 작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광고에 제시된 가격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좋은 품질을 가진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서 가격과 상표 등의 여러 정보단서들을 고려하게 된다. 여러 정보단서들 가운데 가격은 가장 중요한 시장 정보단서 중 하나이다.
가격은 모든 구매상황에서 제시되며 거래를 위해 회생해야만 될 경제적 유출량(流出量)으로서, 소비자 행동에 가시적이고 명백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최근 다차원가격(multi-dimensional prices)이란 새로운 개념의 가격이 대두되고 있다. 다차원가격이란 여러 요소들로 이루어진 가격을 말한다.
이는 대다수의 제품에 적용되는 \'단일 일시불 금액(a single lump-sum dollar amount)\'으로 매겨진 가격이라기보다는 \'매달의 지불금액(monthly payments)\'과 \'총지불수(number of payments)\'의 조합에 의해 매겨진 가격 같은 것을 말한다(Estelami, 1957).
다차원가격은 가격차원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줌과 동시에 보다 효과적인 광고소구를 위한 또 다른 정보단서로 이용되고 있다. 무엇보다 일시금 지불이 아니라는 점, 또 광고 등을 통해 사전에 소비자에게 가격차원의 범위나 조건이 명확하게 제시된다는 측면에서 다차원가격은 세일 등을 통한 가격할인이나 유통혁신을 통한 가격파괴와는 또 다른 개념의 가격형태인 것이다.
현재, 다차원가격광고는 미국의 경우 자동차, 가정용품, 통신서비스 제품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는 자동차 등 극히 일부 상품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고가의 고관여 제품을 중심으로 다차원가격광고는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즉, 가격은 이제 더 이상 \'단일 일시금액\'을 이루지 않는다는 사실이며(예: 32,000원) 반면에 보다 더 다양한 차원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갈 것이다(예: 265,870원 36개월 지불).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같은 산업내에서 각기 다른 회사들에 의해서 매겨지는 가격에 대한 광고의 영향과 다른 많은 산업에 의해 매겨지는 가격에 대한 광고의 일반적인 영향을 분리시키고 싶어한다. 불행하게도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인들을 통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심지어는 같은 제품유목에서 조차 제품이 모든 면에서 동일하지 않는 한 가격들을 비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Ⅹ. 가격과 부동산가격
1. 인구의 상태
모든 不動産활동의 주체는 인간이다. 인간을 주체로 하여 不動産의 유용성이 거론되고 유용성을 주체로 하여 不動産의 가격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인구에 관한 지표는 不動産의 실제에 대한 현상과 미래상을 분석 또는 예측하는 유력한 지표가 된다. 인구의 증가는 宅地의 수요를 증대시키는 대표적인 要因이고, 도시의 인구집중은 도시 土地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는 社會的 諸要因의 대표적인 것이다. 인구의 상태에 속하는 사항은 총인구의 수준출생률사망률연령별 구성도시집중 등이다.
2. 가족구성 및 가구분리의 상태
주택 및 주거지에 대한 수요는 인간만의 함수관계인 것이 아니라, 가구수와의 함수관계도 있다. 우리나라에도 선진제국의 경우와 같이 가구의 분리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가구를 분리시키는 큰 작용 중에는 핵가족화의 현상이 있다. 이는 종래의 대가족제도가 부부중심의 소가족제도로 분화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주택수요 증대에 대한 괄목할 要因이다.
3. 도시형성 및 공공시설의 정비상태
도시형성이란 표현은 다소 포괄적인 것이지만, 도시의 기능구조규모역사성장상태 등의 뜻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 도시 또는 어떤 지구에 대한 환경시설의 평가이론도 성립된다. 그와 같은 조건의 충족이 오늘날의 도시에 대한 요청이라면 이것이 도시不動産에 대한 價格形成의 要因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4. 교육 및 사회복지의 수준
교육시설의 충족은 문화수준의 향상에 기여하고, 다시 통학의 시간거리를 단축한다. 사회복지가 발달하면 생활의 불균형을 완화하여 사회를 안정케함으로써 不動産활동(주로 수요의 측면)에 대하여 양적, 질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질적수요에 영향을 미친다.
5. 부동산 거래 및 사용수익의 관행
일본의 ‘감정평가기준’은 不動産거래나 사용수익에 대한 대상지역의 관행이 不動産 價格形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고 있다. 생각컨대. 不動産 거래질서가 잘 확립도이ㅓ 각종의 거래사고가 최소화된 시대나 지방과 그렇지 못한 시대나 지바, 不動産가격에 일종의 권리금등이 관행상 부착되어 거래되는 시대나 지방, 不動産 거래가격이 行政的으로 통제되어 그 부작용으로서의 ‘암거래’가 관행되는 시대나, 지방, 土地利用의 집약화 또는 조방화가 관행화된 시대나 지방 등에 있어서는 그러한 일련의 관행이 不動産가격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一般的이라고 보는 것으로 해석된다.
6. 건축양식 등과 그 상태
어떤 지역의 건축물이 어떠한 양식이고 그 상태가 어떠한가에 따라서 건축물 자체의 가격은 물론, 그 土地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김의섭(1981), 가격통제에 관한 연구 : 한국의 4개 주요상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김정훈(2010), 확률변동성 모형의 가격이론 및 헤지이론 연구, 연세대학교
김영신(2004), 가격분산 및 구매이득에 관한 연구 : 소매점유형, 지역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남궁윤 외 3명(1999), 가격결정방식에 따른 사회후생 비교 분석, 한국에너지공학회
석관호(2011), 판매촉진 준거가격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엔렌 러펠 셸 저, 정준희 역(2010), 완벽한 가격, 랜덤하우스
Ⅸ. 가격과 다차원가격
마케팅에서 가장 전통적이고 민감한 요소로서 \'가격\'을 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가격\'이란 개념이나 실체는 생산자 소비자, 양자 모두에게 가장 주된 관심사로 작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광고에 제시된 가격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좋은 품질을 가진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서 가격과 상표 등의 여러 정보단서들을 고려하게 된다. 여러 정보단서들 가운데 가격은 가장 중요한 시장 정보단서 중 하나이다.
가격은 모든 구매상황에서 제시되며 거래를 위해 회생해야만 될 경제적 유출량(流出量)으로서, 소비자 행동에 가시적이고 명백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최근 다차원가격(multi-dimensional prices)이란 새로운 개념의 가격이 대두되고 있다. 다차원가격이란 여러 요소들로 이루어진 가격을 말한다.
이는 대다수의 제품에 적용되는 \'단일 일시불 금액(a single lump-sum dollar amount)\'으로 매겨진 가격이라기보다는 \'매달의 지불금액(monthly payments)\'과 \'총지불수(number of payments)\'의 조합에 의해 매겨진 가격 같은 것을 말한다(Estelami, 1957).
다차원가격은 가격차원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줌과 동시에 보다 효과적인 광고소구를 위한 또 다른 정보단서로 이용되고 있다. 무엇보다 일시금 지불이 아니라는 점, 또 광고 등을 통해 사전에 소비자에게 가격차원의 범위나 조건이 명확하게 제시된다는 측면에서 다차원가격은 세일 등을 통한 가격할인이나 유통혁신을 통한 가격파괴와는 또 다른 개념의 가격형태인 것이다.
현재, 다차원가격광고는 미국의 경우 자동차, 가정용품, 통신서비스 제품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는 자동차 등 극히 일부 상품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고가의 고관여 제품을 중심으로 다차원가격광고는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즉, 가격은 이제 더 이상 \'단일 일시금액\'을 이루지 않는다는 사실이며(예: 32,000원) 반면에 보다 더 다양한 차원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갈 것이다(예: 265,870원 36개월 지불).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같은 산업내에서 각기 다른 회사들에 의해서 매겨지는 가격에 대한 광고의 영향과 다른 많은 산업에 의해 매겨지는 가격에 대한 광고의 일반적인 영향을 분리시키고 싶어한다. 불행하게도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인들을 통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심지어는 같은 제품유목에서 조차 제품이 모든 면에서 동일하지 않는 한 가격들을 비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Ⅹ. 가격과 부동산가격
1. 인구의 상태
모든 不動産활동의 주체는 인간이다. 인간을 주체로 하여 不動産의 유용성이 거론되고 유용성을 주체로 하여 不動産의 가격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인구에 관한 지표는 不動産의 실제에 대한 현상과 미래상을 분석 또는 예측하는 유력한 지표가 된다. 인구의 증가는 宅地의 수요를 증대시키는 대표적인 要因이고, 도시의 인구집중은 도시 土地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는 社會的 諸要因의 대표적인 것이다. 인구의 상태에 속하는 사항은 총인구의 수준출생률사망률연령별 구성도시집중 등이다.
2. 가족구성 및 가구분리의 상태
주택 및 주거지에 대한 수요는 인간만의 함수관계인 것이 아니라, 가구수와의 함수관계도 있다. 우리나라에도 선진제국의 경우와 같이 가구의 분리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가구를 분리시키는 큰 작용 중에는 핵가족화의 현상이 있다. 이는 종래의 대가족제도가 부부중심의 소가족제도로 분화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주택수요 증대에 대한 괄목할 要因이다.
3. 도시형성 및 공공시설의 정비상태
도시형성이란 표현은 다소 포괄적인 것이지만, 도시의 기능구조규모역사성장상태 등의 뜻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 도시 또는 어떤 지구에 대한 환경시설의 평가이론도 성립된다. 그와 같은 조건의 충족이 오늘날의 도시에 대한 요청이라면 이것이 도시不動産에 대한 價格形成의 要因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4. 교육 및 사회복지의 수준
교육시설의 충족은 문화수준의 향상에 기여하고, 다시 통학의 시간거리를 단축한다. 사회복지가 발달하면 생활의 불균형을 완화하여 사회를 안정케함으로써 不動産활동(주로 수요의 측면)에 대하여 양적, 질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질적수요에 영향을 미친다.
5. 부동산 거래 및 사용수익의 관행
일본의 ‘감정평가기준’은 不動産거래나 사용수익에 대한 대상지역의 관행이 不動産 價格形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고 있다. 생각컨대. 不動産 거래질서가 잘 확립도이ㅓ 각종의 거래사고가 최소화된 시대나 지방과 그렇지 못한 시대나 지바, 不動産가격에 일종의 권리금등이 관행상 부착되어 거래되는 시대나 지방, 不動産 거래가격이 行政的으로 통제되어 그 부작용으로서의 ‘암거래’가 관행되는 시대나, 지방, 土地利用의 집약화 또는 조방화가 관행화된 시대나 지방 등에 있어서는 그러한 일련의 관행이 不動産가격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一般的이라고 보는 것으로 해석된다.
6. 건축양식 등과 그 상태
어떤 지역의 건축물이 어떠한 양식이고 그 상태가 어떠한가에 따라서 건축물 자체의 가격은 물론, 그 土地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김의섭(1981), 가격통제에 관한 연구 : 한국의 4개 주요상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김정훈(2010), 확률변동성 모형의 가격이론 및 헤지이론 연구, 연세대학교
김영신(2004), 가격분산 및 구매이득에 관한 연구 : 소매점유형, 지역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남궁윤 외 3명(1999), 가격결정방식에 따른 사회후생 비교 분석, 한국에너지공학회
석관호(2011), 판매촉진 준거가격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엔렌 러펠 셸 저, 정준희 역(2010), 완벽한 가격, 랜덤하우스
추천자료
아파트분양관련 주택가격안정화문제
도심접근성에 따른 수도권지역과 외각지역의 주택가격 비교
한국경제의 특성과 과제&균형가격
아파트 가격 상승 원인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A+자료) 조세제도의 특징 및 주택가격 공시제도의 특징 및 문제점과 해결방안 조사분석
금리와 주택가격
현재 주택시장의 가격형성요인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산림평가학 - 산림가격을 형성하는 요인
[금융안정, 금융시장, 국제금융시장, 금융시스템, 은행경영]금융안정과 금융시장, 금융안정과...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의 주택수요와 주택 가격변동
[PPT][토지土地 및 주택관련 제도] 토지 및 주택관련 제도의 기초와 거래, 보유규제 등 (가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