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신화, 일본신화 특징, 일본신화 내용, 일본신화 비교, 이즈모계신화, 오모이마쯔가네신화]일본신화의 특징, 일본신화의 내용, 일본신화의 비교, 일본신화와 이즈모계신화, 일본신화와 오모이마쯔가네신화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신화, 일본신화 특징, 일본신화 내용, 일본신화 비교, 이즈모계신화, 오모이마쯔가네신화]일본신화의 특징, 일본신화의 내용, 일본신화의 비교, 일본신화와 이즈모계신화, 일본신화와 오모이마쯔가네신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일본신화의 특징

Ⅲ. 일본신화의 내용
1. 창세 신화
2. 이사나기 이사나미
3. 황천국
4. 천조대어신과 수좌지남명
5. 대국주신 이후

Ⅳ. 일본신화의 비교

Ⅴ. 일본신화와 이즈모계신화

Ⅵ. 일본신화와 오모이마쯔가네신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화가 매우 유사한 모티브로 되어 있고, 가락국 세력이 큐우슈우 일대로 진출하였다는 김석형의 역사적인 연구에 근거를 둔 것이다.
넷째, 이렇게 타까마노하라계 신화를 직접적으로는 가락국과 관련을 가지면서도 그 계통은 서해안을 따라 남하한 고구려와 백제의 지배 계층 문화였던 수렵 문화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추정은 북방 아시아로부터 한국으로 들어오는 수렵 문화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 곧 건국주나 그 조상의 출자(出自)를 하늘에서 구하는 것과 5를 성수로 한다는 것에 바탕을 둔 것이다.
다섯째, 신화상으로는 많은 갈등과 대립을 보이면서도 실제로는 천손인 니니기노미꼬토를 중심으로 한 집단의 정착지가 이즈모가 아니라 큐우슈우로 되어 있는 것은 이들 이주 세력간의 갈등이 정착 단계에서 벌어졌던 것이 아니고, 이 신화들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벌어졌던 것임을 드러내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런 추단이 사실로 판명되는 경우에는 일본의 고대 국가 형성을 재구함에 있어서는 이들 집단간의 역학 관계가 보다 명확하게 해명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볼 때, 일본 신화의 역사는 한국으로부터 이주해간 집단들이 가지고 있었던 신화들이 문헌으로 정착되는 과정의 일단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들 신화의 구조는 출발지와 문화가 달랐던 이주 세력간의 대립과 갈등의 한 단면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한다. 다시 말해 신라에서 이주한 집단은 농경문화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후에 가락국으로부터 건너간 수렵 문화를 가진 집단이 이들을 통합하여 국가를 형성하였다. 그렇지만 이렇게 통합은 되었으나, 그들의 세력이 완전히 동화된 것이 아니라 상당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신화 상으로 대립과 갈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Ⅲ. 일본신화의 내용
1. 창세 신화
동양에서 『古事記』『日本書紀』 본문에 기재되어 있는 創世神話만큼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는 것도 없다라고 할 정도로 일본신화에서의 창세신화는 가치있고 독특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창세신화를 꼽으라면 성경의 창세기편을 들 수 있다. 며칠에 걸쳐 하나님이 이 세상과 인간을 창조하는 모습에 대해 자세히 나와있는 이야기는 가장 자세한 것으로 꼽힌다. 또한 가장 여러 신화에서 나타나는 창세신화는 번개에 의한 것인데 이것은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창조론이 아니라 진화론과도 관련되어 있어 관심을 끌기도 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의 왕인 제우스가창조하지만 그 또한 번개의 신인 사실이 흥미롭다.
동양 신화중에서는 중국신화 중에 거인이 하늘을 들어 올림으로써 번개가 치며 붙어있던 천지가 갈라지는 창세신화는 있으나 구체적이지 않고 거의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또한 보통 建國神話부터 시작하여 創世神話는 생략되어 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 같은 경우 황당무개한 創世神話대신 곧바로 실제 역사인 建國神話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일본신화의 創世神話는 넓게는 伊邪那岐神과 伊邪那美神의 국토생성神話까지를 말하는데 국토생성신화는 건국신화까지 이어지므로 좁게는 伊邪那岐神과 伊邪那美神의 등장까지를 의미한다.
天之御中主神 : 하늘의 중심인 주재신
高御産巢日神 : 고귀하고 놀랍게 생산하는 신
神産巢日神 : 놀랍게 생산하는 조상신
宇摩志阿志訶備比古遲神 : 쾌할하고 연륜이 있는 갈대싹왕자
天之常立神 : 하늘에 영원히 서 있는 신
國之常立神 : 땅에 영원히 서 있는 신
豊雲野神 : 풍요를 가져오는 주신
宇比地邇神 須比智邇神 : 진흙의 주와 진흙의 여신
角神活神 : 새싹 키우는 신생명 키우는 여신
意當斗能地神大斗乃弁神 : 위대한 장소의 연장자신여신
於母陀流神阿夜訶志古泥神 :완전한 외부의 신 무서운 여신
伊邪那岐神伊邪那美神 : 초대(유혹)하는 신초대하는 여신
2. 이사나기 이사나미
여러 天神들은 伊邪那岐와 伊邪那美의 두신에게 명하여 ‘떠 있는 국토를 고정시켜 단단하게 만들라’고 하였다. 그리고 天沼矛라는 창을 내려주며 모든 것을 위임하였다. 그리하여 이 두신은 天浮橋라는 다리에 서서 그 창을 밑으로 찔러 바닷물이 부글부글 소리나도록 휘저어 들어 올렸을 때 그 창끝에서 떨어지는 바닷물이 쌓여 섬이 되었다. 이것이 바로 能碁呂島라는 섬이다.
두 신은 이 섬으로 내려와 신성한 기둥 天御柱를 세워 넓은 궁전을 지었다. 그런데 伊邪那岐가 伊邪那美에게 묻기를 ‘너의 몸은 어떻게 생겼느냐’ 하자 여신이 대답하기를 ‘나의 몸은 차츰차츰 생겨 이루어졌으나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 한군데 있습니다’ 고 하자 伊邪那岐가 말하기를 ‘나의 몸은 차츰차츰 생겨 이루어졌으나 남은 곳이 한군데 있다. 그렇다면 나의 여분의 것으로 완전히 이루어져있지 않은 너의 몸에다 끼워 넣어 국토를 낳고자 한다. 너의 생각은 어떠하냐 ’라고 하자 伊邪那美 또한 ‘좋습니다’라고 하였다.
결혼의식으로 기둥을 돌면서 여신 伊邪那美가 먼저 ‘정말 잘생긴 남자’라는 말을 했기 때문에 첫아들이 불구로 태어나 갈대로 만든 배에 태워 떠내려 보낸 후 天神에게 상담하니 伊邪那美가 먼저 말을 걸었기 때문이라고 하여 다시 能碁呂島로 내려와 틀린 부분을 다시 고쳐 많은 섬들을 차례로 낳았다. 그들이 일본의 8도가 되었고 그 다음에 또 30명의 아이들을 낳아 이름을 지어 주었는데 이들은 땅, 바다, 계절, 바람, 나무, 산, 황무지, 그리고 불의 신이었다. 불의신 迦具土는 그 탄생으로 母神인 伊邪那美의 陰部가 타게되는데 이것을 원인으로 죽음에 이른다. 이에 분노한 伊邪那岐는 迦具土를 칼로 찔러 죽여버린다.
伊邪那美가 죽으면서 그리고 迦具土가 태어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신은 무려 22명이나 된다.
3. 황천국
伊邪那美가 죽은 伊邪那岐는 부인이 보고 싶어 黃泉國으로 갔다. 그곳에서 伊邪那美가 마중을 나왔을 때 돌아가자고 제안하나 이미 黃泉國의 음식을 먹어서 돌아가기 힘드나 黃泉國의 신과 의논해 볼테니 나의 모습을 보지말고 기다리라고 한다. 그러나 기다리다 지친 伊邪那岐는 왼쪽의 머리에 꽂고 있던 빗의 살을 떼어 불을 붙여 들어가 보았더니 험한 부인의 모습-구더기가 생겨났고 8종류의 雷神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를 보고 두려워 도망치니 伊邪那美는 치욕을 주었다고 하며 뒤를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