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활 잘 쏘는 거타지) ~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5(새끼 한토막),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6(휴식 끝 잠수) ~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1(자아성찰이야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활 잘 쏘는 거타지) ~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5(새끼 한토막),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6(휴식 끝 잠수) ~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1(자아성찰이야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활 잘 쏘는 거타지)

Ⅲ.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2(아버지와 아들)

Ⅳ.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3(무엇이 나올까?)

Ⅴ.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4(사명당의 지혜)

Ⅵ.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5(새끼 한토막)

Ⅶ.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6(휴식 끝. 잠수!)

Ⅷ.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7(여우의 손수건)

Ⅸ.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8(우리나라의 옛이름)

Ⅹ.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9(치우침이 없는 생활)

Ⅺ.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0(창의성계발이야기)
1. 해님과 달님
2. 여우와 당나귀
3. 지성이면 감천이다
4. 어험, 이리 오너라

Ⅻ.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1(자아성찰이야기)
1. 통 속의 철학자
2. 잘못을 뉘우친 사람
3. 어떤 사람
4. 먼저 자기를 찾으라
5. 늑대의 착각
6. 개구리와 살모사
7. 바스라의 하산
8. 지배하는 것과 지배받는 것
9. 죽은 호랑이
10. 입 큰 개구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친구가 있겠지요?
친구 몇 명을 선택해서 그 친구의 좋은 점을 모두 다 샅샅이 써 보세요.
① :
② :
사신은 마음속으로 다시 감탄하였습니다.
그 다음, 사신은 발해의 한 가정에 들어가 그 집안을 살펴보았습니다.
아버지는 자식을 지극히 사랑하고 자식은 따라서 부모에게 정성을 다해 효도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사신은 자기 나라에 돌아가 왕에게 아뢰었습니다.
“발해왕은 거룩하니 신하들은 충성스러웠고, 백성들 또한 아버지가 자식을 사랑하니 자식들도 따라서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을 보았나이다. 바다의 동쪽에 있는 발해국의 번성하는 힘은 그런 데서 온 것이 아닌가 하옵니다.“
그 때부터 모든 나라에서는 발해를 ‘해동성국’ 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해동성국’은 우리나라의 옛 이름이 된 것입니다.
Ⅹ.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9(치우침이 없는 생활)
어떤 이가 늙은 뱃사람에게 물었다.
“당신은 늘 배를 타고 있는데 어부로 보자니 낚시가 없고, 장사꾼으로 보자니 물건이 없고, 강나루에서 행인을 실어 나르는 뱃사공으로 보자니 강물을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보지 못하겠소. 나뭇잎만한 조각배 하나를 타고 끝이 보이지 않는 물 속에 들어가서 거센 폭풍우와 무서운 풍랑을 만나면, 돛대도 꺾이고 삿대로 부러져서 죽음이 경각간에 닥치게 되고 정신은 삶과 죽음의 갈림길을 헤맬 터인데, 이렇게 위험한 생활을 중지하고 육지로 올라오지 않으니 그것은 무엇 때문이오?”
그가 대답하였다.
“여보시오! 당신은 생각해 보지 않았소? 인간의 마음이란 간사하기 짝이 없다는 것을 말이오. 사람이란 평탄한 길만 걷다 보면 방자해지고, 위험한 곳에 가면 두려워서 어쩔 줄을 모르는 것이오. 두려움을 느끼면 경계하는 마음이 생겨 자신의 존재를 튼튼히 하려고 노력하지만, 반대로 편안한 생활 속에 방자한 마음이 생기면 결국에는 생활이 방탕해져서 자신을 망치게 되는 것이오. 그러므로 나는 차라리 위험한 처지에 있으면서 늘 경계하는 마음을 가질지언정 편안한 생활에 빠져 스스로를 망치고 싶지 않소. 게다가 나의 이 배는 항상 물 위에 떠 있지만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반드시 기울어져서 전복되기 때문에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어느 쪽도 더 무겁지도 않고 더 가볍지도 않게 내가 늘 그 중심에서 균형을 잡아 준다오. 그런 뒤에 라야 이 배는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평형을 이룬다오. 이렇게 평형을 이루면 아무리 거센 풍랑을 만나도 배가 전복되지 않을 터이니 그 풍랑이 어찌 내 마음의 평정을 흔 들 수 있겠소.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인간 세상은 커다란 물결과 같고, 사람의 마음은 큰 바람과 같소이다. 인간의 조그마한 몸은 그 물결과 바람 가운데 끼여 있는 것이오. 그러니 인간의 몸이 만경창파에 떠 있는 나뭇잎만한 조각배 하나와 무엇이 다르겠소?
내가 배를 타고 물위에 떠다니며 육지에서 생활하는 이 세상 사람들을 바라보니 그들은 늘 편안한 것만을 생각하고 있소. 자기 앞에 닥쳐올 환난은 염려하지도 않는다는 말이오. 때로는 무모하게 함부로 욕심을 부리다가 마침내는 서로 붙들고 함께 물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도 보았소. 이러하거늘 당신은 어찌하여 이런 것은 두려워하지도 않고 도리어 나를 염려하는 것이오?“
말이 끝난 뒤 늙은 뱃사람은 손으로 뱃전을 두드리며 뒤도 돌아보지 않고 저 깊은 바다를 향하여 멀리멀리 떠나 버렸다.
1. 인간의 마음이란 간사하기 짝이 없다 라고 했습니다.
여러분이 생활하면서 자신의 마음이 간사하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2. 편안한 생활 속에 방자한 마음이 생기면 생활이 방탕해져서 자신을 망치게 된다고 했습니다. 자신의 생활태도 중 고쳐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3. 생활하면서 함부로 욕심을 내다 오히려 어려운 곤경에 처한 적은 없었나요?
우리 주위에 이러한 곤경에 처한 사람들을 찾아보고 그들에게 해 주고 싶은 충고의 말을 써 보세요.
4. 이 이야기에 어울리는 속담이나 격언 또는 교훈을 써보세요.
. 교훈이야기 교육자료 사례10(창의성계발이야기)
1. 해님과 달님
옛날 어느 깊은 산골 외딴집에오누이가 홀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었어요. 세 식구는 가난했지만 행복했어요.
어느 날 어머니는 산 너머 부잣집에 일하러 가셨는데, 해가 져도 돌아오시지 않았어요. 어머니는 떡을 얻어서 산 고개를 넘어 오다가 호랑이에게 떡은 물론 목숨까지도 빼앗겼어요.
호랑이는 어머니의 옷을 입고 외딴집으로 찾아 갔어요. “얘들아 엄마 왔다. 문 열어라!”하며 얘기했지만 오빠가 엄마 목소리와 달라 문을 열지 않았어요. “손 좀 보여 주세요.”하니 방안으로 털이 나고 발톱도 삐죽삐죽한 손이 들어 왔어요. 오누이가 밖을 내다보고는 깜짝 놀랐어요. 엄마의 옷을 입은 호랑이였으니까요. 오누이는 부엌문으로 나가 뒤뜰로 도망쳤어요. 그리고는 커다란 나무위로 올라갔어요. 호랑이는 집 주위를 빙빙 돌며 오누이를 찾다가 우물가로 왔어요. 우물에 비친 오누이를 보고 “너희들 잘 올라갔구나. 어떻게 올라갔니?”라고 호랑이가 얘기 했어요. 오빠는 “참기름을 바르고 올라왔지.”하자 호랑이는 참기름을 부엌에서 가져다가 나무에 바르고 올라가다 미끄러워 ‘쿵!’하고 땅바닥에 떨어졌어요. 그걸 본 동생이 “도끼로 나무를 찍고 올라오면 되지.” 하였어요. 호랑이는 도끼를 헛간에서 가져다 쿵쿵 찍으며 올라왔어요. 겁이 난 오누이는 하느님께 기도드렸어요. “하느님, 저희를 살려 주시려면 금 동아줄을 내려 주시고, 죽이시려면 썩은 동아줄을 내려 주셰요.” 그때였어요. 하늘에서 동아줄이 내려와 얼른 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어요. 호랑이는 또 내려오는 동아줄을 타고 따라 올라갔어요.
그런데 그 줄은 썩은 동아줄이었어요. 그만 뚝 끊어져 호랑이는 수수밭에 피투성이가 되어 죽었어요.
하늘로 올라간 오빠는 해가 되고 동생은 달이 되었어요. 동생은 밤이 무서워 해가 되게 해달라고 빌었어요. 하느님은 오빠와 바꾸도록 하였어요.
해가 되면 눈이 부신 것은 부끄럼타는 동생이 못 쳐다보도록 빛을 뿜기 때문이고, 수수대가 빨간 것은 호랑이의 피가 묻어서랍니다.
◎ 호랑이를 피해 커다란 나무에 올라가는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세요.
◎ 내가 오누이라면 호랑이를 어떤 방법으로
  • 가격9,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