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식생의 개념
1. 정의
2. 식생의 천이
3. 식생의 요건
1) 수분
2) 온도
3) 광선
4) 습도와 안개
5) 토양
6) 배수와 사면경사
7) 고도
8) 불과 식생
Ⅲ. 식생과 선인장
1. 선인장의 위치
2. 물 주는 방법
3. 옮겨 심기 작업
4. 흙
5. 분
6. 비료
7. 선인장 빼기
8. 뿌리
9. 마무리 방법
Ⅳ. 식생과 산성비
1. 산성비
2. 작물의 수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1) 수량구성요소
2) 콩의 엽면적
3) 작물체중 탄수화물양
4) Peroxidase
Ⅴ. 식생과 호생 및 윤생
1. 호생(互生)
1) 은행나무
2) 주목
3) 낙우송
4) 수양버들
5) 조팝나무
6) 느티나무
7) 팽나무
8) 목련
9) 황로
10) 낙상홍
11) 벽오동
12) 마가목
13) 앵도나무
14) 황매화
2. 윤생(輪生)
1) 젓나무
2) 오엽송
3) 향나무
4) 칠엽수
5) 소철
6) 당종려
7) 유엽도
8) 백량금
9) 일본목련
참고문헌
Ⅱ. 식생의 개념
1. 정의
2. 식생의 천이
3. 식생의 요건
1) 수분
2) 온도
3) 광선
4) 습도와 안개
5) 토양
6) 배수와 사면경사
7) 고도
8) 불과 식생
Ⅲ. 식생과 선인장
1. 선인장의 위치
2. 물 주는 방법
3. 옮겨 심기 작업
4. 흙
5. 분
6. 비료
7. 선인장 빼기
8. 뿌리
9. 마무리 방법
Ⅳ. 식생과 산성비
1. 산성비
2. 작물의 수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1) 수량구성요소
2) 콩의 엽면적
3) 작물체중 탄수화물양
4) Peroxidase
Ⅴ. 식생과 호생 및 윤생
1. 호생(互生)
1) 은행나무
2) 주목
3) 낙우송
4) 수양버들
5) 조팝나무
6) 느티나무
7) 팽나무
8) 목련
9) 황로
10) 낙상홍
11) 벽오동
12) 마가목
13) 앵도나무
14) 황매화
2. 윤생(輪生)
1) 젓나무
2) 오엽송
3) 향나무
4) 칠엽수
5) 소철
6) 당종려
7) 유엽도
8) 백량금
9) 일본목련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러 요인들에 따라 상이하며, 산성비로 인한 작물의 주된 피해로는 上皮組織 피해로 인한 대기오염 물질 및 旱魃에 대한 내성 감소, 잎으로부터의 양분 용탈량 증가, 광합성 및 호흡 등 대사작용 교란, 작물의 방어조직 피해에 따른 내병성, 내충성 감소 그리고 토양중 독성물질 용해로 인한 뿌리 및 기타 조직의 독성피해 등이 있다.
작물의 종류에 따른 산성비에 대한 민감도는 쌍자엽 식물 > 단자엽 식물 > 침엽수의 순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피해증상은 약산성의 비를 맞은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피해를 일으키나 pH 2.0-3.0의 강산성 비를 맞으면 잎 표면에 백색 또는 적갈색의 피해반점이 나타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육상 생태계에서 대기오염 및 산성비로 인한 가시적인 피해가 극히 미미하다 하더라도 pH 5.0 부근에서 벼와 보리 등의 광합성 속도가 저해된다는 보고처럼 잠재적인 피해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2. 작물의 수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1) 수량구성요소
주 3회 5mm/hr의 속도로 매회 2 시간씩 9주간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콩의 처리 pH 및 처리형태에 따른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한 결과, 강우 형태로 처리한 경우에서는 pH 5.6 처리구에 비하여 pH 2.0 처리구에서 콩의 건물 중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pH 3.2 처리구의 콩의 줄기, 뿌리 및 꼬투리의 무게는 pH 5.6 처리구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
2) 콩의 엽면적
작물 생육단계 및 처리된 산성비의 pH별 콩의 엽면적 차이를 보기 위하여 주당 2회 5mm/hr의 속도로 매회 1시간씩 7주간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결과, 콩의 엽면적은 pH 3.0까지는 대조구(pH 5.6)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pH 2.0처리구의 엽면적은 pH 3.0 이상의 처리구에 비해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6/7엽에서는 처리된 인공비의 pH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어 작물의 생육 단계별로 산성비에 대한 반응이 상이함을 보였다.
3) 작물체중 탄수화물양
산성 안개 처리에 따른 작물 부위별 탄수화물양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pH 2.75의 산성안개 처리로 어린 잎에서 동화산물의 저장물질인 전분과 포도당 그리고 과당의 함량과 뿌리의 전분함량이 유의성 있게 낮아져 산성안개에 의한 용탈을 보였으나 산성 안개 처리로 용탈된 탄수화물의 양이 잎중 총 탄수화물 함량에 비하여 1% 이하의 극히 적은 양이므로 이로 인한 나무의 탄수화물이나 에너지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리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4) Peroxidase
Peroxidase는 Ethylene과 함께 작물이 부적합한 환경에 처할 때 활성이 높아지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Peroxidase의 활성은 나무의 수령에 매우 민감하여 수령이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고 오염지역의 식물이 훨씬 노화가 촉진되어 활성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여 Peroxidase를 공해물질 존재여부 판단의 지표효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인공산성비의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Peroxidase의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pH가 낮을수록 높았다. pH 3.0 처리구까지는 대조구(pH 6.0)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H 2.7 처리구에서는 크게 활성이 증가되어 생리적으로 산성비 피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들깨의 경우에는 1회의 산성비 처리로 급격한 Peroxidase 활성 증가를 보여 산성비에 대한 예민함을 보였다.
Ⅴ. 식생과 호생 및 윤생
1. 호생(互生)
1) 은행나무
英 : Ginkgo biloba LINN
漢 : 公孫樹
높이가 61미터에 달하고 지름이 4미터이상 자라는 낙엽활엽수로서 교목으로 자란다
가지는 긴 가지와 짧은 가지가 있고 잎은 호생하며 부채꼴이다.
가로수, 공원수, 공장녹화용, 기념수 등에 쓰인다.
2) 주목
英 :Taxus cuspidata SIEB. et ZUCC
漢 : 朱木
높이가 17미터이고, 가슴높이의 둘레가 3~5미터에 달하는 상록교목이다.
잎은 불규칙하게 두 줄로 배열된 호생이고 가지는 옆으로 펴지고 동아는 난형이다.
끝이 갑자기 뾰족하고 밑이 넓은 쐐기형이다.
정원수나 공원수로 적합하다.
3) 낙우송
英 : Taxodium distichum RICH
漢 : 落羽松
낙엽수 도는 상록수로서 소지가 잎과 같이 떨어진다. 그러나 동아가 달린 끝의 소지는 떨어지지 않는다.
짤막한 잎은 깃털과 같은 상태로 호생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두 줄로 배열되고 열매가 달리는 가지에는 비늘과 같은 잎이 압축되어 있다.
공원 용수나 풍치림 용수로 쓰이고 때로는 기념수로도 식재된다.
4) 수양버들
英 : Salix babylonica LINN
漢 : 垂楊
교목으로 자라며 가지가 길게 늘어진다.
잎은 호생 한다.
좁은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빠르고 가장자리에 선점같은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주맥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백색 가루가 붙어 있다.
양수로서 생장이 매우 빠르다.
공원수나 가로수로 많이 쓰이며 운치가 있다.
5) 조팝나무
英 :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漢 : 木常山
낙엽 관목으로서 가지는 총생한다.
수고는 1~1.5미터이다. 잎은 장타원형이고 호생하며 광택이 있다.
4~5월에 작고 흰 꽃이 가지를 덮다시피 많이 난다.
겹꽃이 피는 것도 있으나 매우 드물다.
정원수, 공원수로 쓰이며 다소 키가 높은 나무와 같이 심는 것이 좋으며 2~3그루 군식하는 것도 좋다.
6) 느티나무
英 : Zelkowa serrata MAKINO
漢 : 槐木
낙엽교목으로 원대는 밑에서부터 갈라지는 것이 많다.
수피는 오랫동안 밋밋하지만 늙으면서 비늘처럼 떨어지며, 피목은 옆으로 발달한다.
잎은 호생이며, 긴 타원형, 타원형또는 난형으로 길게 뽀족하고 밑이 좌우의 나비가 다른 예저 원저 또는 얕은 심저이다.
소나무, 단풍나무, 서어나무등과 같이 혼식, 단식, 열식이 어울린다.
7) 팽나무
英 : Celtis sinensis var. japonica NAKAI
漢 :朴樹, 樸樹
함북지방 이외의 평지에서 자라며 낙엽교목이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예저이며,
작물의 종류에 따른 산성비에 대한 민감도는 쌍자엽 식물 > 단자엽 식물 > 침엽수의 순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피해증상은 약산성의 비를 맞은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피해를 일으키나 pH 2.0-3.0의 강산성 비를 맞으면 잎 표면에 백색 또는 적갈색의 피해반점이 나타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육상 생태계에서 대기오염 및 산성비로 인한 가시적인 피해가 극히 미미하다 하더라도 pH 5.0 부근에서 벼와 보리 등의 광합성 속도가 저해된다는 보고처럼 잠재적인 피해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2. 작물의 수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1) 수량구성요소
주 3회 5mm/hr의 속도로 매회 2 시간씩 9주간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콩의 처리 pH 및 처리형태에 따른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한 결과, 강우 형태로 처리한 경우에서는 pH 5.6 처리구에 비하여 pH 2.0 처리구에서 콩의 건물 중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pH 3.2 처리구의 콩의 줄기, 뿌리 및 꼬투리의 무게는 pH 5.6 처리구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
2) 콩의 엽면적
작물 생육단계 및 처리된 산성비의 pH별 콩의 엽면적 차이를 보기 위하여 주당 2회 5mm/hr의 속도로 매회 1시간씩 7주간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결과, 콩의 엽면적은 pH 3.0까지는 대조구(pH 5.6)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pH 2.0처리구의 엽면적은 pH 3.0 이상의 처리구에 비해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6/7엽에서는 처리된 인공비의 pH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어 작물의 생육 단계별로 산성비에 대한 반응이 상이함을 보였다.
3) 작물체중 탄수화물양
산성 안개 처리에 따른 작물 부위별 탄수화물양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pH 2.75의 산성안개 처리로 어린 잎에서 동화산물의 저장물질인 전분과 포도당 그리고 과당의 함량과 뿌리의 전분함량이 유의성 있게 낮아져 산성안개에 의한 용탈을 보였으나 산성 안개 처리로 용탈된 탄수화물의 양이 잎중 총 탄수화물 함량에 비하여 1% 이하의 극히 적은 양이므로 이로 인한 나무의 탄수화물이나 에너지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리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4) Peroxidase
Peroxidase는 Ethylene과 함께 작물이 부적합한 환경에 처할 때 활성이 높아지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Peroxidase의 활성은 나무의 수령에 매우 민감하여 수령이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고 오염지역의 식물이 훨씬 노화가 촉진되어 활성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여 Peroxidase를 공해물질 존재여부 판단의 지표효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인공산성비의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Peroxidase의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pH가 낮을수록 높았다. pH 3.0 처리구까지는 대조구(pH 6.0)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H 2.7 처리구에서는 크게 활성이 증가되어 생리적으로 산성비 피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들깨의 경우에는 1회의 산성비 처리로 급격한 Peroxidase 활성 증가를 보여 산성비에 대한 예민함을 보였다.
Ⅴ. 식생과 호생 및 윤생
1. 호생(互生)
1) 은행나무
英 : Ginkgo biloba LINN
漢 : 公孫樹
높이가 61미터에 달하고 지름이 4미터이상 자라는 낙엽활엽수로서 교목으로 자란다
가지는 긴 가지와 짧은 가지가 있고 잎은 호생하며 부채꼴이다.
가로수, 공원수, 공장녹화용, 기념수 등에 쓰인다.
2) 주목
英 :Taxus cuspidata SIEB. et ZUCC
漢 : 朱木
높이가 17미터이고, 가슴높이의 둘레가 3~5미터에 달하는 상록교목이다.
잎은 불규칙하게 두 줄로 배열된 호생이고 가지는 옆으로 펴지고 동아는 난형이다.
끝이 갑자기 뾰족하고 밑이 넓은 쐐기형이다.
정원수나 공원수로 적합하다.
3) 낙우송
英 : Taxodium distichum RICH
漢 : 落羽松
낙엽수 도는 상록수로서 소지가 잎과 같이 떨어진다. 그러나 동아가 달린 끝의 소지는 떨어지지 않는다.
짤막한 잎은 깃털과 같은 상태로 호생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두 줄로 배열되고 열매가 달리는 가지에는 비늘과 같은 잎이 압축되어 있다.
공원 용수나 풍치림 용수로 쓰이고 때로는 기념수로도 식재된다.
4) 수양버들
英 : Salix babylonica LINN
漢 : 垂楊
교목으로 자라며 가지가 길게 늘어진다.
잎은 호생 한다.
좁은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빠르고 가장자리에 선점같은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주맥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백색 가루가 붙어 있다.
양수로서 생장이 매우 빠르다.
공원수나 가로수로 많이 쓰이며 운치가 있다.
5) 조팝나무
英 :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漢 : 木常山
낙엽 관목으로서 가지는 총생한다.
수고는 1~1.5미터이다. 잎은 장타원형이고 호생하며 광택이 있다.
4~5월에 작고 흰 꽃이 가지를 덮다시피 많이 난다.
겹꽃이 피는 것도 있으나 매우 드물다.
정원수, 공원수로 쓰이며 다소 키가 높은 나무와 같이 심는 것이 좋으며 2~3그루 군식하는 것도 좋다.
6) 느티나무
英 : Zelkowa serrata MAKINO
漢 : 槐木
낙엽교목으로 원대는 밑에서부터 갈라지는 것이 많다.
수피는 오랫동안 밋밋하지만 늙으면서 비늘처럼 떨어지며, 피목은 옆으로 발달한다.
잎은 호생이며, 긴 타원형, 타원형또는 난형으로 길게 뽀족하고 밑이 좌우의 나비가 다른 예저 원저 또는 얕은 심저이다.
소나무, 단풍나무, 서어나무등과 같이 혼식, 단식, 열식이 어울린다.
7) 팽나무
英 : Celtis sinensis var. japonica NAKAI
漢 :朴樹, 樸樹
함북지방 이외의 평지에서 자라며 낙엽교목이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예저이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