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계지자선(繼志者善)이라 하였으며, 유행하는 천리가 개체 인물에 품수되어 이루어진 성을 성지자성(成之者性)이라고 해석하였다.
주자철학에 있어서 인간의 본질 문제와 관련된 가장 관건이 되는 개념이 바로 인간의 본성(性)이다. 주자에 의하면 천은 사람에게 이치(天理)를 부여하고, 그것은 인간의 본성이 되어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진정한 근거가 된다. 그러면 천리유행
과 인간의 본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주자는 인간의 본성의 당연한 법칙이 천리유행의 당연한 법칙으로부터 나온 것이고, 천리의 당연한 법칙은 인간에게 표현되어 사람이 마땅히 따라야 할 불변의 도리 혹은 도덕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바로 천리의 원형리정(元亨利貞)의 덕이 인간에 내재하여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성이 되고, 천리의 덕과 사람의 본성의 덕은 명칭만 다를 뿐 그 내용과 의미는 같다는 것이다. 주자철학의 대표적인 명제 즉 ‘성즉리(性卽理)’는 사실 이렇듯 인간의 본성과 천리의 내용상의 동일 및 상즉(相卽)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장승구 외, 『동양 사상의 이해』,경인문화사, 2006, p.262
주자가 ‘성은 리이다.’(性卽理)라고 했을 때의 성은 리의 측면으로만 말한 본연지성(本然之性)이므로 초월적 존재에 해당한 것이니, 하나의 사물로 바라볼 수 있는 존재의 실물이 아니다. 그가 “리가 있고 난 뒤에 바야흐로 기가 있다”라고 하여 기를 중시하면서 리와 기의 관계를 말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 주석 1) 과 동일 p.83
이러한 ‘성즉리’로서의 인간 본성의 특징은 생의(生意)에 있다. 천리의 특징이 ‘생명의 이치(生之理)’이듯이 인간의 본성 또한 생명의 이치로서 마땅히 생의를 갖추고 있다 주자는 인간의 본성의 생의를 주로 ‘인(仁)’의 생의로 설명하고 있다. 왜냐하면 인간 본성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보면 인의예지가 본성을 대표하는 덕목이고, 그 가운데서 인은 의예지(義禮智)를 통섭하는 것이니, 인은 본성의 가장 중요한 덕목 이면서 본성을 대표하는 덕목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천리의 대표적인 덕목인 원(元)이 바로 생의 이듯이 본성의 대표적인 덕목 즉 인(仁)도 마찬가지로 생의이다.
그러나 주의할 것은 그 존재양태로부터 보면 천리의 원형리정과 인간 본성의 인의예지는 서로 다른 존재양태를 띄고 있다는 점이다. 즉 천리유행으로서 원형리정의 생의는 그 존재양태 상 실제로 그러하게〔實然的〕존재하여 ``세계에 저절로 드러나지만, 인간 본성으로서 인의예지의 존재양태는 본래 그러하게〔本然的〕존재할 뿐이어서 현실 세계에 저절로 드러나기가 어렵다. 주석 3) 과 동일 p.263
그 이유는 본성의 생의의 작용을 말하려면 리와 기의 결합인 인간의 현실 생명에서 논해야 하므로, 즉 본성의 생의는 구체적인 현실 생명에서 발현하는 것이므로, 인간의 현실 생명이 신체생명의 제약을 받는 만큼, 본성의 생의의 발현도 신체생명의 영향을 받아 제약이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성의 생의는 반드시 자세히 추론하거나 돌이켜 생각하는 등의 인위적인 노력을 거쳐야만 비로소 그 존재를 발견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종란
주자철학에 있어서 인간의 본질 문제와 관련된 가장 관건이 되는 개념이 바로 인간의 본성(性)이다. 주자에 의하면 천은 사람에게 이치(天理)를 부여하고, 그것은 인간의 본성이 되어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진정한 근거가 된다. 그러면 천리유행
과 인간의 본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주자는 인간의 본성의 당연한 법칙이 천리유행의 당연한 법칙으로부터 나온 것이고, 천리의 당연한 법칙은 인간에게 표현되어 사람이 마땅히 따라야 할 불변의 도리 혹은 도덕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바로 천리의 원형리정(元亨利貞)의 덕이 인간에 내재하여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성이 되고, 천리의 덕과 사람의 본성의 덕은 명칭만 다를 뿐 그 내용과 의미는 같다는 것이다. 주자철학의 대표적인 명제 즉 ‘성즉리(性卽理)’는 사실 이렇듯 인간의 본성과 천리의 내용상의 동일 및 상즉(相卽)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장승구 외, 『동양 사상의 이해』,경인문화사, 2006, p.262
주자가 ‘성은 리이다.’(性卽理)라고 했을 때의 성은 리의 측면으로만 말한 본연지성(本然之性)이므로 초월적 존재에 해당한 것이니, 하나의 사물로 바라볼 수 있는 존재의 실물이 아니다. 그가 “리가 있고 난 뒤에 바야흐로 기가 있다”라고 하여 기를 중시하면서 리와 기의 관계를 말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 주석 1) 과 동일 p.83
이러한 ‘성즉리’로서의 인간 본성의 특징은 생의(生意)에 있다. 천리의 특징이 ‘생명의 이치(生之理)’이듯이 인간의 본성 또한 생명의 이치로서 마땅히 생의를 갖추고 있다 주자는 인간의 본성의 생의를 주로 ‘인(仁)’의 생의로 설명하고 있다. 왜냐하면 인간 본성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보면 인의예지가 본성을 대표하는 덕목이고, 그 가운데서 인은 의예지(義禮智)를 통섭하는 것이니, 인은 본성의 가장 중요한 덕목 이면서 본성을 대표하는 덕목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천리의 대표적인 덕목인 원(元)이 바로 생의 이듯이 본성의 대표적인 덕목 즉 인(仁)도 마찬가지로 생의이다.
그러나 주의할 것은 그 존재양태로부터 보면 천리의 원형리정과 인간 본성의 인의예지는 서로 다른 존재양태를 띄고 있다는 점이다. 즉 천리유행으로서 원형리정의 생의는 그 존재양태 상 실제로 그러하게〔實然的〕존재하여 ``세계에 저절로 드러나지만, 인간 본성으로서 인의예지의 존재양태는 본래 그러하게〔本然的〕존재할 뿐이어서 현실 세계에 저절로 드러나기가 어렵다. 주석 3) 과 동일 p.263
그 이유는 본성의 생의의 작용을 말하려면 리와 기의 결합인 인간의 현실 생명에서 논해야 하므로, 즉 본성의 생의는 구체적인 현실 생명에서 발현하는 것이므로, 인간의 현실 생명이 신체생명의 제약을 받는 만큼, 본성의 생의의 발현도 신체생명의 영향을 받아 제약이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성의 생의는 반드시 자세히 추론하거나 돌이켜 생각하는 등의 인위적인 노력을 거쳐야만 비로소 그 존재를 발견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종란
키워드
추천자료
주자의 심성론
성리학(주자학)에 관한 고찰
[주자, 주자의 사상] 주자의 사상과 철학
[주자][주희][주자(주희) 심성론][주자(주희) 이기론][주자(주희) 거경궁리론][주자(주희) 성...
[주자][심성론][태극론][소학교육론][事(사),理(이)개념][격물궁리][대학]주자의 생애, 주자...
[율곡 이이][갈암 이현일][소태산][주자][이기론][이기심성론][이기일원론][이기이원론]율곡 ...
[주자][세계관][이기론][태극론][심성론][인성론][수양론]주자의 일생, 주자의 세계관, 주자...
[주자학][성리학]주자학(성리학)의 특징, 주자학(성리학)의 심성론, 주자학(성리학)의 전래, ...
[성리학]성리학(주자학)의 개념, 성리학(주자학)의 역사, 성리학(주자학)의 교육사상, 성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