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기공, 무술 등 개인생활의 영역에서 주로 기능을 발휘해왔다. 『중국 고대 철학의 이해』, 이강수, 지식산업사, 2008, p.148
장자의 사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지만 우선 긍정적 측면에서 본다면 장자의 핵심은 ‘진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장자는 백성들의 고통을 동정하며 사회의 부패상을 폭로하고 있으며, 철학적 사유에서도 창조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자의 ‘소박’, ‘천방’한 인생철학은 개성과 재능을 자유롭게 발전시키고,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자의 산문은 후세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장자의 사상도 불가피하게 역사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장자의 권위와 지식에 대한 인식은 일면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 의식의 역할에 대한 장자의 인식 역시 단편적이다. 또 부패한 정권 밑에서 일을 할 때의 곤란함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장자의 사상 역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자평전』, 왕꾸어똥, 미다스북스, 2002, p347~363.
순자는 장자를 비판하기를 “천(天)에 가리워 인(人)을 모른다”고 하였다. 여기서 말한 천은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를 가리키고, 인은 사람의 역량을 가리킨다. 순자가 보기에 장자는 자연에 순응하기를 추구하면서 인간의 힘과 노력을 간과한 것이다. 순자보다 뒤에 활약하였던 사마담(司馬談)은 장자를 긍정적으로 이해하였다.《한서》예문지 제자략에서는 겸허함을 중시하는 도가사상의 장점을 들면서도 방탕한 사람이 그러한 학술을 연구하게 되면, 예악을 끊어버리고 인의를 버리며 청허(淸虛)에 맡기기만 하면 사회가 안정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고 비판하였다.
이와 같이 도가사상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다. 장자는 인위적인 제도와 규범을 비판하였다. 도가의 이러한 비판정신은 역사가 바뀌어도 끊임없이 되살려졌다. 그 가운데 특히 허위도덕에 대한 비판은 지난날 동아시아의 전통사회에서 긍정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또 도가의 초연정신은 지난날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 명리로부터 초연할 수 있는 선비정신으로 꽃을 피웠다. 자기중심적인 사의(私意)에서 벗어나 자연에 따르려는 도가의 철학정신은 조화를 중시하는 사상으로 구현되었다. 유가에서는 인화(人和)를 중시하고 도가에서는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 천화(天和)를 추구한다. 천화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뜻한다. 인간 중심주의적 세계관을 버리고 천지만물이 각기 자기의 성향을 살리면서 조화롭게 공생, 공존할 수 있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지향한 것이다. 도가의 이러한 조화정신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오늘날 또다시 살려내야 할 것이다. 『중국 고대 철학의 이해』, 이강수, 지식산업사, 2008, p.149~150.
참고문헌
『중국 고대 철학의 이해』, 이강수, 지식산업사, 2008
『노장신론 : 노자, 장자 철학의 새로운 이해』, 진고응, 소나무, 1997
『장자평전』, 왕꾸어똥, 미다스북스, 2002
『장자와 문명』, 김갑수, 논형학술, 2004
『간명한 중국철학사』, 펑유란, 형설출판사, 2007
장자의 사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지만 우선 긍정적 측면에서 본다면 장자의 핵심은 ‘진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장자는 백성들의 고통을 동정하며 사회의 부패상을 폭로하고 있으며, 철학적 사유에서도 창조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자의 ‘소박’, ‘천방’한 인생철학은 개성과 재능을 자유롭게 발전시키고,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자의 산문은 후세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장자의 사상도 불가피하게 역사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장자의 권위와 지식에 대한 인식은 일면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 의식의 역할에 대한 장자의 인식 역시 단편적이다. 또 부패한 정권 밑에서 일을 할 때의 곤란함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장자의 사상 역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자평전』, 왕꾸어똥, 미다스북스, 2002, p347~363.
순자는 장자를 비판하기를 “천(天)에 가리워 인(人)을 모른다”고 하였다. 여기서 말한 천은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를 가리키고, 인은 사람의 역량을 가리킨다. 순자가 보기에 장자는 자연에 순응하기를 추구하면서 인간의 힘과 노력을 간과한 것이다. 순자보다 뒤에 활약하였던 사마담(司馬談)은 장자를 긍정적으로 이해하였다.《한서》예문지 제자략에서는 겸허함을 중시하는 도가사상의 장점을 들면서도 방탕한 사람이 그러한 학술을 연구하게 되면, 예악을 끊어버리고 인의를 버리며 청허(淸虛)에 맡기기만 하면 사회가 안정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고 비판하였다.
이와 같이 도가사상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다. 장자는 인위적인 제도와 규범을 비판하였다. 도가의 이러한 비판정신은 역사가 바뀌어도 끊임없이 되살려졌다. 그 가운데 특히 허위도덕에 대한 비판은 지난날 동아시아의 전통사회에서 긍정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또 도가의 초연정신은 지난날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 명리로부터 초연할 수 있는 선비정신으로 꽃을 피웠다. 자기중심적인 사의(私意)에서 벗어나 자연에 따르려는 도가의 철학정신은 조화를 중시하는 사상으로 구현되었다. 유가에서는 인화(人和)를 중시하고 도가에서는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 천화(天和)를 추구한다. 천화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뜻한다. 인간 중심주의적 세계관을 버리고 천지만물이 각기 자기의 성향을 살리면서 조화롭게 공생, 공존할 수 있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지향한 것이다. 도가의 이러한 조화정신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오늘날 또다시 살려내야 할 것이다. 『중국 고대 철학의 이해』, 이강수, 지식산업사, 2008, p.149~150.
참고문헌
『중국 고대 철학의 이해』, 이강수, 지식산업사, 2008
『노장신론 : 노자, 장자 철학의 새로운 이해』, 진고응, 소나무, 1997
『장자평전』, 왕꾸어똥, 미다스북스, 2002
『장자와 문명』, 김갑수, 논형학술, 2004
『간명한 중국철학사』, 펑유란, 형설출판사, 2007
추천자료
- 주자학과 양명학을 비교하여 논술하시오
- 중국신화에서의 신격화와 그 배경
- 디지털 시대의 문화 예술
- 도가사상과 도교에 대해
- 노자 사상에 대한 분석과 생각
- 도장(道藏)의 成立과 體系
- 노자의 도덕경 독후감
- 엔젤아우라를 읽고난 감상문
- 도교와 도가사상 A+ 완벽정리 - 중국도교의 성립과 발전, 한국도교의 수용과 발전, 한국도교 ...
-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요약
- 우언문학에 대하여
- 인생의 고난에 고개 숙이지 마라 독후감 서평 요약 줄거리 마크 피셔!!!!
- [세상읽기와논술 D형]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하여 제기된 논점과 본인의 의견, 가족들이나...
- 동양심리치료(대학원 발표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