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화자료 사례]훈화자료 사례1(인성교육), 훈화자료 사례2(품성), 훈화자료 사례3(불평), 훈화자료 사례4(애국심), 훈화자료 사례5(학교교육), 훈화자료 사례6(독서), 훈화자료 사례7(안전), 훈화자료 사례8(계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화자료 사례]훈화자료 사례1(인성교육), 훈화자료 사례2(품성), 훈화자료 사례3(불평), 훈화자료 사례4(애국심), 훈화자료 사례5(학교교육), 훈화자료 사례6(독서), 훈화자료 사례7(안전), 훈화자료 사례8(계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훈화자료 사례1(인성교육)
1. 내 딸이 고와야 사위를 고른다
2.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3. 만우절
4. 이빨을 가는 산돼지
5. 큰 나무와 지나가는 사람
6. 식목일
7. 영아의 꿈
8. 보건의 날
9. 자연은 거짓이 없다
10. 약속은 쉽고 실행은 어렵다
11. 웃는 얼굴에 침 뱉으랴
12. 사이 나쁜 두 사람
13. 낮말을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다
14. 안창호 선생과 이토오 히로부미
15.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
16. 접시 밥도 담을 탓
17. 고양이 세수하듯
18. 흘러가는 물도 떠 주면 공이다
19. 으뜸의 질서는(정리 정돈)
20. 4. 19 의거 기념일
21. 목마른 사람이 샘 판다
22. 체신의 날
23. 십시일반
24. 고생 끝에 낙이 온다
25. 말과 당나귀

Ⅱ. 훈화자료 사례2(품성)
1. 받고 싶으면 주어라
2. 남을 위해 착한 일을
3. 낙하산이 부족하다
1) 질문거리
2) 생각거리
4. 한정된 시간을 넉넉하게 쓰는 방법
5. 확실한 안내자
6. 보라색 옷을 입은 여인
1) 질문거리
2) 생각거리
7. 시간은 언제나 충분하다
1) 우선순위를 정하자
2) 아침에 일찍 일어나자
3)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자
4) 좋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하자
8. 고개를 숙이면 부딪치는 법이 없습니다
9. 겸손합시다
10. 송시열과 허목의 믿음
1) 질문거리
2) 생각거리
11. 어떻게 살 것인가
12. 어떤 변호사의 허풍
1) 질문거리
2) 생각거리

Ⅲ. 훈화자료 사례3(불평)
1. 호박과 도토리
2. 모두 내 잘못
3. 싸움의 공
4. 어리석은 개구리
5. 숯장수와 세탁장이
6. 괭이를 잃어버린 농부
7. 시험받은 나귀
8. 개와 염소
9. 새들의 우정
10. 사자와 곰

Ⅳ. 훈화자료 사례4(애국심)
1. 유월이 오면
2. 귀중한 음식
3. 남의 덕을 바라지 않는 사람
4. 나라를 위해 내가 할 일을 찾자

Ⅴ. 훈화자료 사례5(학교교육)
1. 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 날을(6.25)
2. 스프링과 고무줄
3. 여름철 위생에 주의하자
4. 여름 방학식
5. 나라 사랑의 길(5애 운동)
6. 맥아더 장군의 용기
7. 국군의 날

Ⅵ. 훈화자료 사례6(독서)
1. 선인들의 독서
2. 서산(書算)
3. 독서교육의 지침
1) 책 읽는 것을 즐기도록 합니다
2) 독서를 위해서는 좋은 환경의 조성이 필요합니다
3) 책은 여러 가지를 골고루 읽혀야 합니다
4) 책 읽기에도 계획이 필요합니다
5) 책 읽기 전에 제목이나 목차를 보면서 책을 방향을 알려줍니다
6) 책을 읽을 때 묻고 답하며 읽는 습관을 길러줍니다
7) 책을 읽은 뒤엔 내용을 되씹어 생각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8) 책 읽는 것을 간략히 나마 메모하도록 합니다
9) 이제, 읽은 것을 일상생활에 활용하게 합니다
10) 살아가면서 생기는 중요한 의문을 푸는 독서로 나아가야 합니다
4. 인생의 결정적 지혜 ‘책을 읽는 습관’
5. 독서 노트를 만들다

Ⅶ. 훈화자료 사례7(안전)
1. 약속도 법이다
2. 있어야 할 자리
3. 등․하교 때의 좌측통행
4. 공원의 의자
5. 교통 규칙
6. 불쌍한 물고기
7. 빈자리
8. 조금만 생각했더라면
9. 새치기 모르는 제비들의 행렬
10. 거북이와 바닷게
11. 공항의 무법자
12. 아기 돼지 소풍날
13. 공중화장실에서 있었던 일
14. 질서를 되찾은 정류장
15. 위험한 공놀이

Ⅷ. 훈화자료 사례8(계기)
1. 삼일절 - 3월 1일. 국경일, 공휴일, 국기게양일
2. 식목일 - 4월 5일. 공휴일
3. 보건의 날 - 4월 7일
4.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기념일 - 4월 13일
5. 4․19 혁명 기념일 - 4월 19일
6. 장애인의 날 - 4월 20일
7. 과학의 날 - 4월 21일
8. 정보 통신의 날 - 4월 22일
9. 충무공 탄신일 - 4월 28일
10. 윤봉길 의사 의거 기념일 - 4월 29일
11. 석가 탄신일 - 음력 4월 8일, 공휴일
12. 근로자의 날(노동절) - 5월 1일
13. 어린이날 - 5월 5일. 공휴일
14. 어버이날 - 5월 8일

참고문헌

본문내용

년이 지난 지금 ,우리 남한은 북한 공산당과의 전쟁을 억제하기 위한 엄청난 국방비를 쓰면서도 세계11위의 무역국으로 선진국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으며, 11월초에 있을 유엔 비상임이사국 선출이 확실시 되고 있을 만큼 세계200여 유엔 가맹국 중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그 동안 국민을 헐벗고 굶주리게 하면서 전쟁준비만 한 결과 어떻게 되었습니까?
6.25의 주범인 김일성이 남한을 쳐부셔 이밥과 고깃국을 실컷 먹여준다고 40년 이상을 속이다 죽어 버린 후 그 아들 김정일이 권력세습을 한 후에 북한은 지금 최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먹을 것이 없어 우리나라와 일본에 손 벌려 곡식을 얻어 가면서도 우성호를 납치해 아직도 억류하고 있는가 하면 쌀을 싣고 간 우리 선원을 사진 한 장 찍었다는 것을 트집 잡아 온갖 억지를 다 쓰더니만 지난여름 홍수로 120여 개국에게 수해 지원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번 북한의 수해로 일으킨 결정적인 이유는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온 산을 깎아 민둥산을 만들어 옥수수를 심는 바람에 흙이 물에 씻겨 내려가 엄청난 피해를 일으켰다고 합니다.
지금 북한 주민들은 추운 겨울이 닥쳐오는데 집도 잃고 먹을 것도 없으며 여기에 콜레라까지 겹쳤으나 의약품마저 없으니 참으로 비참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북한이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북한 주민들을 비참한 생활에서 구하기 위해서는 하루 속히 적화야욕을 버리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와 손잡고 나가야 합니다.
적화통일이 아닌 평화통일의 길을 모색하기 위해 핵 개발을 포기하고 남북대화에 성실하게 임해야 합니다.
오늘은 서울 수복 일을 맞이해서 맥아더 장군의 용기와 전후 53년 동안 남북의 발전상을 비교해 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7. 국군의 날
10월 1일은 국군의 날입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이후 48년 7월 17일 헌법을 제정 공포하고 8월 15일은 정부수립, 10월 1일은 국군이 창설되어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국군의 날이 제정되었습니다.
한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군이 있어야 하며 이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조선시대에 우리나라는 국군이 있었으나 힘이 약하여 일본에게 강제로 나라를 빼앗겨 1905년 11월 17일 외교권을 빼앗기는 을사보호조약을 맺고 1908년에는 고종 황제를 왕위에서 폐위 시켰으며 7월 31일에 우리의 군대마저 해산시킴으로써 일본의 손아귀에 들어갔던 것입니다. 그러나 해방이 되면서 다시 국군을 창설하였으나 역시 힘이 약해 소련의 군사장비를 지원 받은 북한 공산군에게 불법남침을 당하여 UN군의 지원이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해방 후 5년 만에 다시 공산치하에 들어가 고통을 당할 뻔 했습니다.
이렇듯 힘없는 군대는 나라를 빼앗기게 되므로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는 잘 훈련된 군대가 있어야 하고 최신 무기와 장비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휴전선 너머 호시탐탐 남침을 노리는 북한 공산군을 막기 위해 전후방에서 철통같은 방위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전쟁을 막기 위해서 국군이 있지만 북한은 남침을 하여 적화통일을 하기 위해 군대를 양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군에는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4군의 현역 군인이 있고, 현역에서 제대한 군인은 우리 고장을 지키기 위해 1968.4.6일 창설한 향토 예비군과 민방위 대원이 있어 전후방 모두를 전쟁이 일어나거나, 재난이 발생하거나, 간첩이 남파 됐을 때 완벽하게 우리들의 재산과 생명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우리들은 이렇듯 고마운 국군 장병에게 마음속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도록 합시다.
3일은 단군 왕검께서 나라를 세운지 4336년이 되는 날입니다. 즉 금년이 단기 4336년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개국한지 5000 여년이 되었다하여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를 가졌다고 합니다.
불교의 중심사상이 자비(慈悲)이고 예수의 중심사상은 박애(博愛)이며 단군 조선의 개국이념은 홍익인간(弘益人間)입니다.
홍익인간(弘益人間)은 온 국민이 서로 협력하고 단결하여 행복을 누리며, 나아가서는 전 인류 공영을 위하여 힘쓴다는 사상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는 국내적으로는 말할 것 없이 세계 평화를 위해서도 노력한다는 개국이념을 갖고 있습니다.
이 날은 한 가정도 빠짐없이 태극기를 게양하도록 합시다.
4일은 우리 학교 생일날이지요. 개교기념일입니다.
개교기념일은 그냥 하루 놀기 위해서 만든 날이 아닙니다. 우리 학교를 사랑하는 마음을 갖고 학교를 빛내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자기의 소질을 기르는데 노력해야 합니다.
각종 대회에 나가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일, 졸업 후 훌륭한 사람이 되는 일 등은 학교를 빛내는 일입니다.
나라를 사랑합시다.
학교를 사랑합시다.
자기 주면에 있는 사람들을 사랑합시다.
그리고 자기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사랑합시다.
Ⅵ. 훈화자료 사례6(독서)
1. 선인들의 독서
등불 보기형
독서 생활에서 가장 큰 적이라고 할 권태증 추방을 위해서 우리 선인들은 등불 보기형이라는 감정 자극법을 썼다. 예나 지금이나 인근 마을에는 다같이 독서에 정진하는 비슷한 또래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 가운데 하나가 잡념이 생기면 잠깐 책을 덮고 집 뒤 언덕에 오른다. 이미 사위는 잠들어서 멀리 가까이에는 개 짖는 소리만이 들린다. 마을의 여러 집 창들도 어둠에 싸인 지 오래다. 그러나 개울 건너 아랫마을에는 아직 불빛이 흐르는 집이 두어 개 나 있다. 그것은 아직도 거기에 잠들지 않고 책을 읽는 그 또래가 있다는 신호에 해당된다. ‘아무개 아무개가 아직 공부를 하는데 내가 질 수 있나!’ 이런 생각과 함께 재빨리 언덕을 내려간다. 그리하여 다시 몸을 곧추세우고 책을 읽도록 만드는 것이 이 방법이다.
끝으로 우리 선인들 가운데도 놀라울 정도로 조숙한 분들이 있었다. 김시습이 다섯 살 때 세종 앞에 나가 싯구를 지어 바쳤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단재 같은 분도 조숙한 천재형이었다. 그는 일곱 살에 이미 통감을 외우고 시작(詩作)을 했다. 그런가 하면 우리 선인들 가운데는 놀라울 정도로 속독이 가능한 분도 있었다. 한번은 성 우계가 율곡을 향해 물은 적이 있었다.
“한창 능률이 오르면 한꺼번에

추천자료

  • 가격10,000
  • 페이지수64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