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병원의 어원
Ⅲ. 병원의 전략적 기획
1. 전략이란
2. 전략적 기획이란
3. 전략적 경영이란
4. 전략적 기획을 위한 3가지 질문
1) 조직의 외부환경
2) 조직의 내부환경
3) 경영진의 가치관과 조직문화
5. 전략계획이 수행되지 못하는 원인
Ⅳ. 병원의 지식경영
Ⅴ. 병원의 연봉제
Ⅵ. 병원의 가족친화적 사업
Ⅶ. 병원의 고객마케팅
1. 고객 접점의 도입
2. 병원 같지 않은 병원 만들기
3. 진료 절차 개선
4. 휴일 및 야간 진료 서비스
5. 환자의 시간을 소중히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병원의 어원
Ⅲ. 병원의 전략적 기획
1. 전략이란
2. 전략적 기획이란
3. 전략적 경영이란
4. 전략적 기획을 위한 3가지 질문
1) 조직의 외부환경
2) 조직의 내부환경
3) 경영진의 가치관과 조직문화
5. 전략계획이 수행되지 못하는 원인
Ⅳ. 병원의 지식경영
Ⅴ. 병원의 연봉제
Ⅵ. 병원의 가족친화적 사업
Ⅶ. 병원의 고객마케팅
1. 고객 접점의 도입
2. 병원 같지 않은 병원 만들기
3. 진료 절차 개선
4. 휴일 및 야간 진료 서비스
5. 환자의 시간을 소중히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가에 비하여 낮고 병원들의 경영합리화 노력의 부족으로 병원의 재정상태는 매년 악화되고 있다. 그 결과 병원의 경영진은 경영관리에 많은 신경을 쓰게 되었으며, 역설적으로 회계관리를 포함한 병원의 경영관리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Ⅱ. 병원의 어원
당시의 일본어에는 \'병원\'이라는 어형이 쓰이기도 하였지만, 일반적으로는 \'의원(醫院), 시약의원(施藥醫院), 제원(濟院), 보제원(普濟院), 양병원(養病院), 대병원(大病院), 피병원(避病院), 요병원(療病院)\' 등 다양한 어형으로 나타난다(佐藤亨 1983:49-55). 실제로, 일본 최초의 서양식 의료 기관은 1877년 해군성이 시나가와(品川)에 세운 전염병 환자 수용 시설인데, 그 명칭은 \'피병원(避病院)\'이었다(槌田滿文 1983:257, 樺島忠夫飛田良文米川明彦 1984:277).
한편, 일본어 \'병원\'은 1870-80년대에 출판된 사전류에 영어 hospital의 대역어로도 나타난다.
Hospital, bioin(Satow 1876), bio-in(Satow 1879). <참고> bio-in은 \'病院\'임ㅡ필자.
Hospital, 病院, 貧院/Infirmary, 病院(尺振八 1884).
Hospital, 病院, 施濟院/Infirmary, 病院(棚橋一郞 1885).
Hospital, By-in/Infirmary, Byin/By ビヤウ 病. by-in, 院 a hospital, infirmary/Hiby-in ヒビヨウイン 避病院. A hospital ......(Hepburn 1886).
Hospital, 病院, 貧院, 救育院/Infirmary, 病院(島田豊 1888).
이처럼 일본어 \'병원\'은 hospital의 첫 번째 번역어였으며, 특히 infirmary의 번역어로는 \'병원\'만 쓰였을 뿐이다. 다만, Hepburn(1886)만은 권말에 붙어 있는 영어 사전에서 hospital, infirmary를 다 같이 \'병원\'으로 풀고 있으나, 정작 일본어 사전에는 \'병원\'이 \'병(病)\'의 부표제어로만 나타나는 반면, \'피병원\'이라는 어형이 표제어로 나타나 앞뒤가 일치하지 않는다.
한 조사(佐藤亨 1983:44)에 의하면, \'병원\'이라는 어형을 처음으로 보여주는 일본 문헌은 난학자(蘭學者) 가츠라가와 호산(桂川甫粲. 본명은 森島中良, 1754-1808. <참고> 佐藤亨 1983에는 \'森島\'가 \'中島\'로 잘못 적혀 있으나, 荒川淸秀 1997:29, 126에는 \'森島\'로 바르게 나타난다ㅡ필자)의『홍모잡화』(紅毛雜話, 1787)라고 한다. 이 책에는 유럽의 사회 복지 시설을 소개한 부분이 나타나는데, 그 가운데에는 \"가스토호이스(네델란드어 Gasthuisㅡ필자)라는 시설이 있다. 명인은 병원으로 번역한다\"(同國中にガストホイスという府あり. 明人病院と譯す)라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의 \'명인(明人)\'은 명나라 사람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여기에 보이는 \'병원\'은 중국어에서 나온 번역어형임을 알 수 있다. 『홍모잡화』의 \'명인\'이란 중국의 양학서를 뜻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실상, \'병원\'은 애유락(艾儒略, G. Aleni, 1582-1649)의『직방외기』(職方外記, 1623), 남회인(南懷仁, F. Verbiest, 1623-1688)의 『곤여도설』(坤輿圖說, 1674)에 \'빈원(貧院), 유원(幼院)\'과 함께 나타나며, 남회인의 『서방요기』(西方要紀, 연대미상)에도 \'양병원(養病院)\'과 함께 나타난다(佐藤亨 1983:43-46). 결국, \'병원\'의 당초 발원지는 중국의 초기 양학서였으며, 이들의 일본 유입과 더불어 \'병원\'이라는 신생어도 일본어에 전해졌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佐藤亨 1983:42-59, 荒川淸秀 1997:29-30).
이 \'병원\'이란 어형은 중국의 후기 양학서(19세기)에는 계승되지 못했다. 중국어에서는 오히려 \'의원(醫院), 의관(醫館), 제병원(濟病院), 대병원(大病院), 보제원(普濟院), 양병원(養病院), 시의원(施醫院)\'과 같은 다양한 어형이 쓰였을 뿐이다(佐藤亨 1983:47-49).
국어의 경우, 이 \'병원\'을 처음 보여주는 문헌은 『한불뎐』(1880)이다. 여기에는 \"병원 病院 Hopital, hospice pour les malades\"처럼 나타난다. 이 때의 \'병원\'은 『직방외기』나 『곤여도설』과 같은 중국의 초기 양학서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 들어온 서양의 천주교 신부 중에는 중국에서 한문 소양을 쌓은 사람도 있었으므로 『한불뎐』의 편찬 과정에서 초기 양학서를 참고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최초의 국립의료기관은 1885년에 세워진 광혜원(廣惠院)이었다. 1884년에 내한한 미국의 선교의사 알렌(安連, H. N. Allen, 1858-1932)이 갑신정변 때 칼을 맞아 중상을 입은 민영익(閔泳翊)을 치료해 준 인연으로 고종의 시의관(侍醫官)에 임명되자 병원 설립을 건의한 것이다. 그러나 2월 29일에 설립된 광혜원은 개원 12일 만인 3월 12일 통리교섭 통상사무 아문의 건의에 따라 그 명칭이 제중원(濟衆院)으로 바뀌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병원\'이라는 일반 명칭도 점차 국어에 확산되었을 것이다. 다만, \'병원\'은 『한불뎐』이나 『일사집략』의 \'병원\'과는 다른 통로를 따라 국어에 정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1890년대부터는 \'병원\'이라는 어형이 국어에 자주 쓰이고 있는데, 유길준의 『서유견문』(西遊見聞, 1895)이나 『독립신문』(1896. 4.- 1899. 12.)에는 그 용례가 수십 차례씩 나타나며, 『한영뎐』(1897)에는 표제어로도 올라 있다. 몇몇 용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서유견문』 제17편 病院. \"病院은病人治療기爲야 設立者로\" (442면)/ 佛蘭西京城巴里에病院이大小合야十餘所니一院에配醫士의數病院의大小隨야八人或十五人이오\"(442면)/ \"諸病院이 各部內에 散在나(443면).
\"病院 병보집\"(李鳳雲·境益太郞, 『單語連語 日話朝雋』, 1895:23a)
『독립신문』. \"텬안 딩산도 김덕긔가 물기울셔 이 륙일 불안당의게 돈 쳔량을 앗기고 칼에 샹야 모화관 병원에셔 나흘 약을 붓치고 갓다더라\"(제1권 17호, 1896. 5. 14. 2면 잡보)/\"그러나
Ⅱ. 병원의 어원
당시의 일본어에는 \'병원\'이라는 어형이 쓰이기도 하였지만, 일반적으로는 \'의원(醫院), 시약의원(施藥醫院), 제원(濟院), 보제원(普濟院), 양병원(養病院), 대병원(大病院), 피병원(避病院), 요병원(療病院)\' 등 다양한 어형으로 나타난다(佐藤亨 1983:49-55). 실제로, 일본 최초의 서양식 의료 기관은 1877년 해군성이 시나가와(品川)에 세운 전염병 환자 수용 시설인데, 그 명칭은 \'피병원(避病院)\'이었다(槌田滿文 1983:257, 樺島忠夫飛田良文米川明彦 1984:277).
한편, 일본어 \'병원\'은 1870-80년대에 출판된 사전류에 영어 hospital의 대역어로도 나타난다.
Hospital, bioin(Satow 1876), bio-in(Satow 1879). <참고> bio-in은 \'病院\'임ㅡ필자.
Hospital, 病院, 貧院/Infirmary, 病院(尺振八 1884).
Hospital, 病院, 施濟院/Infirmary, 病院(棚橋一郞 1885).
Hospital, By-in/Infirmary, Byin/By ビヤウ 病. by-in, 院 a hospital, infirmary/Hiby-in ヒビヨウイン 避病院. A hospital ......(Hepburn 1886).
Hospital, 病院, 貧院, 救育院/Infirmary, 病院(島田豊 1888).
이처럼 일본어 \'병원\'은 hospital의 첫 번째 번역어였으며, 특히 infirmary의 번역어로는 \'병원\'만 쓰였을 뿐이다. 다만, Hepburn(1886)만은 권말에 붙어 있는 영어 사전에서 hospital, infirmary를 다 같이 \'병원\'으로 풀고 있으나, 정작 일본어 사전에는 \'병원\'이 \'병(病)\'의 부표제어로만 나타나는 반면, \'피병원\'이라는 어형이 표제어로 나타나 앞뒤가 일치하지 않는다.
한 조사(佐藤亨 1983:44)에 의하면, \'병원\'이라는 어형을 처음으로 보여주는 일본 문헌은 난학자(蘭學者) 가츠라가와 호산(桂川甫粲. 본명은 森島中良, 1754-1808. <참고> 佐藤亨 1983에는 \'森島\'가 \'中島\'로 잘못 적혀 있으나, 荒川淸秀 1997:29, 126에는 \'森島\'로 바르게 나타난다ㅡ필자)의『홍모잡화』(紅毛雜話, 1787)라고 한다. 이 책에는 유럽의 사회 복지 시설을 소개한 부분이 나타나는데, 그 가운데에는 \"가스토호이스(네델란드어 Gasthuisㅡ필자)라는 시설이 있다. 명인은 병원으로 번역한다\"(同國中にガストホイスという府あり. 明人病院と譯す)라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의 \'명인(明人)\'은 명나라 사람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여기에 보이는 \'병원\'은 중국어에서 나온 번역어형임을 알 수 있다. 『홍모잡화』의 \'명인\'이란 중국의 양학서를 뜻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실상, \'병원\'은 애유락(艾儒略, G. Aleni, 1582-1649)의『직방외기』(職方外記, 1623), 남회인(南懷仁, F. Verbiest, 1623-1688)의 『곤여도설』(坤輿圖說, 1674)에 \'빈원(貧院), 유원(幼院)\'과 함께 나타나며, 남회인의 『서방요기』(西方要紀, 연대미상)에도 \'양병원(養病院)\'과 함께 나타난다(佐藤亨 1983:43-46). 결국, \'병원\'의 당초 발원지는 중국의 초기 양학서였으며, 이들의 일본 유입과 더불어 \'병원\'이라는 신생어도 일본어에 전해졌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佐藤亨 1983:42-59, 荒川淸秀 1997:29-30).
이 \'병원\'이란 어형은 중국의 후기 양학서(19세기)에는 계승되지 못했다. 중국어에서는 오히려 \'의원(醫院), 의관(醫館), 제병원(濟病院), 대병원(大病院), 보제원(普濟院), 양병원(養病院), 시의원(施醫院)\'과 같은 다양한 어형이 쓰였을 뿐이다(佐藤亨 1983:47-49).
국어의 경우, 이 \'병원\'을 처음 보여주는 문헌은 『한불뎐』(1880)이다. 여기에는 \"병원 病院 Hopital, hospice pour les malades\"처럼 나타난다. 이 때의 \'병원\'은 『직방외기』나 『곤여도설』과 같은 중국의 초기 양학서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 들어온 서양의 천주교 신부 중에는 중국에서 한문 소양을 쌓은 사람도 있었으므로 『한불뎐』의 편찬 과정에서 초기 양학서를 참고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최초의 국립의료기관은 1885년에 세워진 광혜원(廣惠院)이었다. 1884년에 내한한 미국의 선교의사 알렌(安連, H. N. Allen, 1858-1932)이 갑신정변 때 칼을 맞아 중상을 입은 민영익(閔泳翊)을 치료해 준 인연으로 고종의 시의관(侍醫官)에 임명되자 병원 설립을 건의한 것이다. 그러나 2월 29일에 설립된 광혜원은 개원 12일 만인 3월 12일 통리교섭 통상사무 아문의 건의에 따라 그 명칭이 제중원(濟衆院)으로 바뀌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병원\'이라는 일반 명칭도 점차 국어에 확산되었을 것이다. 다만, \'병원\'은 『한불뎐』이나 『일사집략』의 \'병원\'과는 다른 통로를 따라 국어에 정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1890년대부터는 \'병원\'이라는 어형이 국어에 자주 쓰이고 있는데, 유길준의 『서유견문』(西遊見聞, 1895)이나 『독립신문』(1896. 4.- 1899. 12.)에는 그 용례가 수십 차례씩 나타나며, 『한영뎐』(1897)에는 표제어로도 올라 있다. 몇몇 용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서유견문』 제17편 病院. \"病院은病人治療기爲야 設立者로\" (442면)/ 佛蘭西京城巴里에病院이大小合야十餘所니一院에配醫士의數病院의大小隨야八人或十五人이오\"(442면)/ \"諸病院이 各部內에 散在나(443면).
\"病院 병보집\"(李鳳雲·境益太郞, 『單語連語 日話朝雋』, 1895:23a)
『독립신문』. \"텬안 딩산도 김덕긔가 물기울셔 이 륙일 불안당의게 돈 쳔량을 앗기고 칼에 샹야 모화관 병원에셔 나흘 약을 붓치고 갓다더라\"(제1권 17호, 1896. 5. 14. 2면 잡보)/\"그러나
키워드
추천자료
'소아암 환자 정미가족에 대한 의료사회사업적 개입'
프로그램 계획서(사업계획서)--저소득 여성 중증 장애인 및 가족과 함께하는 세상구경
어린이 & 가족 레스토랑 사업계획서
의료사회사업론 사례분석-알코올 중독 환자에 대한 개입,뇌내출혈 환자의 퇴원계획에 대한 개...
한부모 가족의 문제 및 복지지원사업 현황
맞벌이 가족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족문제를 설명하고, 맞벌이 가족에게 필요한 사회사업 기...
[A+] ‘싱글족’의 증가에 따른 외식사업의 변화 전망 및 예측 조사보고서 1인가구 핵가족 ...
건강한 가족의 기능을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 정책적 접근 & 사...
[우수] [사회복지 사업계획서] 대구 남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다문화 부부의 관계개선 프로...
지역아동센터 (아동권리, 아동권리보장, 특화프로그램, 가족기능강화프로그램, 건강과일바구...
급변하는 사회와 다양한 가족의 욕구에 따라 새로이 요구되는 건강가정지원 사업의 추진방향...
저소득 취약계층의 자립과 아동 발달 지원을 통한 가족역량강화사업
가족복지서비스(가족사회사업, 가족생활교육, 가정조성서비스, 가족대리서비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