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정의
Ⅲ.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특성
Ⅳ.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사업유형
1. 인터넷 인프라 사업
1) 하드웨어 사업
2) 소프트웨어 사업
2. 네트워크 사업
3. 인터넷 서비스 사업
1) 인터넷 서비스
2) 온라인통신 서비스
Ⅴ.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목적
Ⅵ.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활용현황
Ⅶ.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전자산업
1. GE사(社)
1) 전 세계 단일 시장화에 대응하여 최고의 경영 가치를 스피드에 둔다
2)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스피드 경영을 실천한다
3) 세계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e-비즈니스에 주력한다
2. IBM사(社)
1) e-비즈니스를 새로운 기업 전략으로 선택하고 모든 사업의 초점을 맞춘다
2) e-비즈니스를 확산시키기 위한 세 가지 실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3) e-비즈니스의 특성을 이용하여 조직을 통합 운영한다
3. 오라클(Oracle)사(社)
1) 구매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업무 프로세스를 e-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하도록 전환시켜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2) 새로운 e-비즈니스 환경의 도입으로 큰 폭의 비용 절감 효과를 획득한다
4. 소니(Sony)사(社)
1) e-소니(e-Sony) 전략을 추진한다
2) 조직 혁신을 단행한다
3) 새로운 e-소니 전략의 효율적인 성공을 위해 제품의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Ⅷ.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건설산업
1. 개관
1) 건설업의 특성과 e-business
2) 기존 국내 건설업의 e-business 추진
3) 최근 e-business 추세
2. 사례 분석
1) 일본 건설업체 사례
2) 국내 건설업체 사례
3. 한일 사례 비교
Ⅸ. 향후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제고 방향
Ⅹ. 결론
참고문헌
Ⅱ.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정의
Ⅲ.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특성
Ⅳ.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사업유형
1. 인터넷 인프라 사업
1) 하드웨어 사업
2) 소프트웨어 사업
2. 네트워크 사업
3. 인터넷 서비스 사업
1) 인터넷 서비스
2) 온라인통신 서비스
Ⅴ.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목적
Ⅵ.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활용현황
Ⅶ.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전자산업
1. GE사(社)
1) 전 세계 단일 시장화에 대응하여 최고의 경영 가치를 스피드에 둔다
2)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스피드 경영을 실천한다
3) 세계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e-비즈니스에 주력한다
2. IBM사(社)
1) e-비즈니스를 새로운 기업 전략으로 선택하고 모든 사업의 초점을 맞춘다
2) e-비즈니스를 확산시키기 위한 세 가지 실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3) e-비즈니스의 특성을 이용하여 조직을 통합 운영한다
3. 오라클(Oracle)사(社)
1) 구매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업무 프로세스를 e-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하도록 전환시켜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2) 새로운 e-비즈니스 환경의 도입으로 큰 폭의 비용 절감 효과를 획득한다
4. 소니(Sony)사(社)
1) e-소니(e-Sony) 전략을 추진한다
2) 조직 혁신을 단행한다
3) 새로운 e-소니 전략의 효율적인 성공을 위해 제품의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Ⅷ.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건설산업
1. 개관
1) 건설업의 특성과 e-business
2) 기존 국내 건설업의 e-business 추진
3) 최근 e-business 추세
2. 사례 분석
1) 일본 건설업체 사례
2) 국내 건설업체 사례
3. 한일 사례 비교
Ⅸ. 향후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제고 방향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C 화면상에서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개별적으로 설계한 건물과 차고를 조합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함
2) 국내 건설업체 사례
대형 건설업체들 중심으로 사내 인트라넷 구축, 또 주택업체를 중심으로 사이버 주택과 사이버 공동체를 조성하기 위한 異업종간 거래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음
국내 건설업체의 경우 대형 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사내 인트라넷 구축이 몇 년 전부터 진행되고 있으나, 자재 조달 및 협력업체 선정을 인터넷을 통하는 기업간 거래는 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음
다만, 주택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정보화 주택 건설을 위하여 통신업체, 인터넷 전문업체 등과 제휴하여 광통신망 구축, 고속 인터넷 설치, 입주민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이 주를 이루고 있음
3. 한일 사례 비교
- 일본 건설업체들은 건설 산업 내의 기업간 거래가 발달한 반면 국내 건설업체들은 산업 내 기업간 거래는 취약한 반면 異업종 기업간 거래는 활발하게 진행중임
일본 건설업체들의 경우에는 사내 인트라넷을 비롯하여 국내외 연관 산업간의 거래를 중심으로 기업간 거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사내 인트라넷 구축 단계에 있고, 아직 산업 내 기업간 거래는 구축 초기 단계에 있음
일본의 경우는 사내 → 국내외 연관 산업간으로 확산되는 경로를 보인 반면, 우리나라는 사내 → 통신업체, 인터넷업체 등 異업종으로 진전되고 있음
Ⅸ. 향후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제고 방향
가장 중요한 것은 이용자 요구의 변화를 읽는데 있다. 이용자의 정보요구는 초기 정보획득, 즐거움, 돈,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는 네 가지 단계로 진화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인터넷을 활용하여 문자 위주의 단순 정보를 확보하는 것 자체가 큰 혁신인 시절이 있었다. 뉴스나 산업계 정보, 시장 및 기술동향 등이 그것이다. 다음 단계의 콘텐츠는 게임이나 영화, 미용, 건강 등 인생의 즐거움에 관련된 콘텐츠를 찾게 된다. 지금도 게임과 성인영화 부문의 콘텐츠가 가장 돈을 버는 콘텐츠로 인식되고 있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다. 즐거움의 단계가 지나면 이용자들은 돈을 벌 수 있는, 또는 돈을 버는데 도움이 되는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정확한 증권 관련 정보나 부동산, 재테크 등의 정보가 매력 있는 콘텐츠로 부각이 된다. 돈을 벌고 나면 사람들은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된다. 서울 강남에서 돈을 많이 가지고 있는 부자들이 가장 불리기 원하는 직함이 「회장님」인 것처럼, 사회적으로 자신의 신분을 인정받고 그리고 그것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등장하는 콘텐츠가 바로 「귀족 콘텐츠」다. 일반 콘텐츠와 차별화되어 사회적으로 특별히 엄선된 계층만이 접할 수 있는 고급 정보가 담긴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기획하면서 고려해야 할 또 한 가지 사항은 「시장의 변화」를 읽는 일이다. 시장에서는 단순한 문자정보보다는 사람들이 오감을 통해서 보고, 느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영상정보를 선호하게 된다. 문자 정보에 익숙한 이용자들은 더 이상 문자로 된 일반 콘텐츠에 돈을 지불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순한 콘텐츠 자체보다는 콘텐츠와 접목되어 별도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번들 콘텐츠(bundled contents)를 원한다. 이 때 콘텐츠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은 사업의 성격상 달라질 수 있지만 오프라인 상에서의 혜택이나 초고속 인터넷 접속망 등의 인프라와의 결합을 이야기 할 수도 있다. 시장과 기술과 사람이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바로 콘텐츠사업에서 부가가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길일 것이다.
Ⅹ. 결론
한국 최초의 인터넷은 1982년 7월, 서울대학교와 KIET(전자통신연구소의 전신)간에 1200 bps 전용선으로 연결하여 구축한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이라는 전산망이다. 그 후 정부에서는 1987년 1월 \"전산망 보급 확장과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정부 주도의 국가 기간망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 3월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통하여 KAIST와 하와이대학이 접속되어 인터넷의 모든 기관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부터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가 시작되었다. 1994년은 상용 인터넷 시대의 원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통신의 KORNET, 데이콤 보라넷, 아이네트가 직접 전용선을 미국에 설치하고 상업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1995년부터는 나우콤, 천리안, 하이텔 등의 PC통신 업체들도 인터넷 상용망을 이용해 일반 PC사용자들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1996년 1월에는 삼성 데이터 시스템이 인터넷 서비스인 유니텔 서비스를 통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현재는 여러 기업들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전과정을 통하여 그 최종 형태로서 인터넷의 꽃이라고 불리워지는 전자상거래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때부터 인터넷과 전자상거래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즉,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전자상거래가 도입되었지만 이제는 전자상거래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인터넷을 더 발전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쇼핑몰 서비스가 처음 시작된 것은 1996년 6월부터이며, 2개 업체가 본격적인 전자상거래를 시작하였다. 이후 7개 업체가 전자상거래를 시작하여 현재 그 수는 350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의 전자상거래는 단순한 쇼핑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과 관련된 모든 부문으로 확산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상엽(2002), 인터넷 비즈니스 기업의 성공전략, 중앙대학교
○ 김희정(2000), 인터넷 비즈니스에서의 컨텐츠 설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 김명준 외 1명(1999), 차세대 인터넷 비즈니스, 한국통신학회
○ 신현암(2000),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조건, 삼성경제연구소
○ 이상훈 외 2명(2007), 인터넷 비즈니스 리더의 수성전략, 한국경영학회
○ 윤한성(2010), E 비즈니스 정보암호화, 21세기사
2) 국내 건설업체 사례
대형 건설업체들 중심으로 사내 인트라넷 구축, 또 주택업체를 중심으로 사이버 주택과 사이버 공동체를 조성하기 위한 異업종간 거래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음
국내 건설업체의 경우 대형 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사내 인트라넷 구축이 몇 년 전부터 진행되고 있으나, 자재 조달 및 협력업체 선정을 인터넷을 통하는 기업간 거래는 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음
다만, 주택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정보화 주택 건설을 위하여 통신업체, 인터넷 전문업체 등과 제휴하여 광통신망 구축, 고속 인터넷 설치, 입주민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이 주를 이루고 있음
3. 한일 사례 비교
- 일본 건설업체들은 건설 산업 내의 기업간 거래가 발달한 반면 국내 건설업체들은 산업 내 기업간 거래는 취약한 반면 異업종 기업간 거래는 활발하게 진행중임
일본 건설업체들의 경우에는 사내 인트라넷을 비롯하여 국내외 연관 산업간의 거래를 중심으로 기업간 거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사내 인트라넷 구축 단계에 있고, 아직 산업 내 기업간 거래는 구축 초기 단계에 있음
일본의 경우는 사내 → 국내외 연관 산업간으로 확산되는 경로를 보인 반면, 우리나라는 사내 → 통신업체, 인터넷업체 등 異업종으로 진전되고 있음
Ⅸ. 향후 인터넷비즈니스(E-BIZ, E비즈니스, 이비지니스)의 제고 방향
가장 중요한 것은 이용자 요구의 변화를 읽는데 있다. 이용자의 정보요구는 초기 정보획득, 즐거움, 돈,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는 네 가지 단계로 진화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인터넷을 활용하여 문자 위주의 단순 정보를 확보하는 것 자체가 큰 혁신인 시절이 있었다. 뉴스나 산업계 정보, 시장 및 기술동향 등이 그것이다. 다음 단계의 콘텐츠는 게임이나 영화, 미용, 건강 등 인생의 즐거움에 관련된 콘텐츠를 찾게 된다. 지금도 게임과 성인영화 부문의 콘텐츠가 가장 돈을 버는 콘텐츠로 인식되고 있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다. 즐거움의 단계가 지나면 이용자들은 돈을 벌 수 있는, 또는 돈을 버는데 도움이 되는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정확한 증권 관련 정보나 부동산, 재테크 등의 정보가 매력 있는 콘텐츠로 부각이 된다. 돈을 벌고 나면 사람들은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된다. 서울 강남에서 돈을 많이 가지고 있는 부자들이 가장 불리기 원하는 직함이 「회장님」인 것처럼, 사회적으로 자신의 신분을 인정받고 그리고 그것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등장하는 콘텐츠가 바로 「귀족 콘텐츠」다. 일반 콘텐츠와 차별화되어 사회적으로 특별히 엄선된 계층만이 접할 수 있는 고급 정보가 담긴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기획하면서 고려해야 할 또 한 가지 사항은 「시장의 변화」를 읽는 일이다. 시장에서는 단순한 문자정보보다는 사람들이 오감을 통해서 보고, 느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영상정보를 선호하게 된다. 문자 정보에 익숙한 이용자들은 더 이상 문자로 된 일반 콘텐츠에 돈을 지불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순한 콘텐츠 자체보다는 콘텐츠와 접목되어 별도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번들 콘텐츠(bundled contents)를 원한다. 이 때 콘텐츠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은 사업의 성격상 달라질 수 있지만 오프라인 상에서의 혜택이나 초고속 인터넷 접속망 등의 인프라와의 결합을 이야기 할 수도 있다. 시장과 기술과 사람이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바로 콘텐츠사업에서 부가가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길일 것이다.
Ⅹ. 결론
한국 최초의 인터넷은 1982년 7월, 서울대학교와 KIET(전자통신연구소의 전신)간에 1200 bps 전용선으로 연결하여 구축한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이라는 전산망이다. 그 후 정부에서는 1987년 1월 \"전산망 보급 확장과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정부 주도의 국가 기간망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 3월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통하여 KAIST와 하와이대학이 접속되어 인터넷의 모든 기관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부터 본격적인 인터넷 시대가 시작되었다. 1994년은 상용 인터넷 시대의 원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통신의 KORNET, 데이콤 보라넷, 아이네트가 직접 전용선을 미국에 설치하고 상업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1995년부터는 나우콤, 천리안, 하이텔 등의 PC통신 업체들도 인터넷 상용망을 이용해 일반 PC사용자들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1996년 1월에는 삼성 데이터 시스템이 인터넷 서비스인 유니텔 서비스를 통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현재는 여러 기업들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전과정을 통하여 그 최종 형태로서 인터넷의 꽃이라고 불리워지는 전자상거래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때부터 인터넷과 전자상거래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즉,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전자상거래가 도입되었지만 이제는 전자상거래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인터넷을 더 발전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쇼핑몰 서비스가 처음 시작된 것은 1996년 6월부터이며, 2개 업체가 본격적인 전자상거래를 시작하였다. 이후 7개 업체가 전자상거래를 시작하여 현재 그 수는 350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의 전자상거래는 단순한 쇼핑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과 관련된 모든 부문으로 확산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상엽(2002), 인터넷 비즈니스 기업의 성공전략, 중앙대학교
○ 김희정(2000), 인터넷 비즈니스에서의 컨텐츠 설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 김명준 외 1명(1999), 차세대 인터넷 비즈니스, 한국통신학회
○ 신현암(2000),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조건, 삼성경제연구소
○ 이상훈 외 2명(2007), 인터넷 비즈니스 리더의 수성전략, 한국경영학회
○ 윤한성(2010), E 비즈니스 정보암호화, 21세기사
추천자료
인터넷서점 YES24의 e-비즈니스 성공사례
2009년 2학기 E-비즈니스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e-비즈니스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e-비즈니스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동계계절시험 e-비즈니스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e-비즈니스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동계계절시험 e-비즈니스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e-비즈니스 과제 - OSI 7 Layer 모델 명칭
2015년 1학기 e-비즈니스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e-비즈니스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동계계절시험 e-비즈니스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e-비즈니스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