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생산성][노동][생산성][노동생산성 개념][노동생산성 유형][산출][제조업]노동생산성의 개념, 노동생산성의 유형, 노동생산성의 기존연구, 노동생산성의 산출, 노동생산성의 제조업, 노동생산성의 광공업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동생산성][노동][생산성][노동생산성 개념][노동생산성 유형][산출][제조업]노동생산성의 개념, 노동생산성의 유형, 노동생산성의 기존연구, 노동생산성의 산출, 노동생산성의 제조업, 노동생산성의 광공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노동생산성의 개념

Ⅲ. 노동생산성의 유형

Ⅳ. 노동생산성의 기존연구

Ⅴ. 노동생산성의 산출

Ⅵ. 노동생산성의 제조업
1. 국민경제노동생산성은 2.7%로서 0.5%p 감소
2.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조사한 물적노동생산성(전체근로자 기준)과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증가율은 3.5%, 3.2% 증가

Ⅶ. 노동생산성의 광공업
1. 노동투입량
2. 산출량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4
3.5
상용근로자기준
지 수
128.8
144.0
168.4
185.0
192.4
증가율
14.8
11.8
17.0
9.8
4.0
부가가치노동생산성
(전체근로자 기준)
지 수
126.5
141.6
156.6
169.1
174.6
증가율
14.6
12.0
10.6
8.3
3.2
Ⅶ. 노동생산성의 광공업
3/4분기 광공업(전기가스 및 수도업 포함)부문의 상용근로자기준 노동생산성지수는 199.6(1995=100.0)으로 전년동기대비 1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출량지수가 157.3으로 전년동기대비 19.6%의 높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이에 대한 노동투입량 지수가 78.8로 전년동기대비 2.7%만 증가한데 기인한 것이다.
노동생산성의 분기별 증가율 추이는 1/4분기 14.0%, 2/4분기 16.3%, 3/4분기 16.5%로 꾸준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1. 노동투입량
3/4분기의 노동투입량지수(상용근로자 기준)는 78.8로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투입량의 분기별 증가율 추이를 살펴보면 4/4분기 12.2%를 기점으로 1/4분기 8.2%, 2/4분기 1.7%로 그 증가추세는 점차 둔화되고 있다.
2. 산출량
3/4분기 산출량 지수는 157.3으로 전년동기대비 19.6%의 높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그 상승속도는 4/4분기(28.9%) 이후 다소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출하를 비롯한 소비투자 등 실물부문의 내수증가는 둔화내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노동생산성
노동투입량
산출량
00
171.7(18.8)
77.1(4.5)
131.9(24.2)
05
1/4
160.5(17.2)
72.7(△2.7)
116.7(14.1)
2/4
165.5(20.7)
77.7(3.2)
128.6(24.6)
3/4
171.3(21.6)
76.8(5.7)
131.5(28.5)
4/4
185.6(14.9)
81.3(12.2)
150.8(28.9)
2012
1/4
183.0(14.0)
78.7(8.2)
144.0(23.4)
2/4
192.4(16.3)
79.1(1.7)
152.1(18.3)
3/4
199.6(16.5)
78.8(2.7)
157.3(19.6)
Ⅷ. 결론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70년대의 高산출증가高총요소생산성증가에서 80년대의 高산출증가中총요소생산성증가를 거쳐, 90년대에는 低산출증가中총요소생산성증가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80년대 이후 성장기여율을 보면, 대부분의 세부산업에서 자본스톡의 증가가 산출증가의 70%에서 80%를 기여하여 가장 큰 성장의 원천임을 보였다.
자본스톡의 증가율이 산출증가율을 웃돌면서 자본생산성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90년대 산출증가가 둔화되면서 자본생산성의 감소추세가 높아지고 있다.
90년대에는 근로자의 노동장비율증가에 따른 노동생산성의 증가와 제조업 기피현상으로 근로자수가 감소하고 더욱이 1인당 평균근로시간수가 줄면서 노동투입의 산출기여율은 현재에는 -11.3%로 나타났다. 총요소생산성의 기여율은 평균 15~25%수준으로 노동의 기여보다 높으나 선진국과 비교시 낮은 편이다. 총요소생산성은 기간별로 그리고 자주 연도별로 격심한 증감률을 보였다.
참고문헌
강은정(2010) : 한국과 일본의 산업별 노동생산성 및 총요소생산성 비교, 서울대학교
김용민 외 1명(2003) : 다능화와 노동생산성 성장, 한국노동경제학회
김진웅(2010) : 노동생산성 혁신의 산업 간 전이효과, 한국경제연구학회
남성일(1991) : 한국의 노동생산성과 적정임금, 한국경제연구원
신동균(2005) : 고령화와 노동생산성 전망, 한양대학교
황수경(2008) : 서비스산업 고용 및 노동생산성 변동의 구조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7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