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평가][기업가치][기업][가치][IT기업가치평가][인터넷기업가치평가][벤처기업가치평가]IT(기술정보)기업가치평가, 인터넷기업가치평가, 벤처기업가치평가, M&A(기업인수합병)기업가치평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가치평가][기업가치][기업][가치][IT기업가치평가][인터넷기업가치평가][벤처기업가치평가]IT(기술정보)기업가치평가, 인터넷기업가치평가, 벤처기업가치평가, M&A(기업인수합병)기업가치평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IT(기술정보)기업가치평가

Ⅱ. 인터넷기업가치평가
1. 브랜드 가치
2. 고객 가치
3. 기술 가치
4. 조직 가치

Ⅲ. 벤처기업가치평가
1. 실증분석 대상 및 사용 파라미터 값
2. 실증분석 결과 : 과대평가 여부 검증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2) 개별 벤처기업을 평가하여 평균치를 분석한 경우
3) 예상도산 확률 추정치

Ⅳ. M&A(기업인수합병)기업가치평가
1. 개념
2. 가치 평가의 중요 두 가지 Issue
1) 영업권
2) 경영권 프리미엄
3) 영업권과 경영권 프리미엄
3. 가치평가(Valuation)의 오해사항(By aswath Damodaran)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나 인터넷 기업에서의 구성원들의 가치를 감안할 때, 조직가치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재무적 가치 평가는 다양한 재무적 지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재무적 가치를 대변하는 것으로 기업의 보유자산, 시장에서의 주식 가치, 미래의 현금 흐름 등을 들 수 있는데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인터넷기업의 경우 기업가치를 자산가치나 시장가치로 평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업이 창출하게 될 미래의 현금 흐름이 곧 기업가치의 시금석이 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미래 현금흐름을 예측하고 이를 현재의 기업가치로 전환하는 데에는 다양한 적용 방법론에 따라 판이한 결과를 낳게 된다. 각 적용 방법론은 5장에서 깊게 논의할 것이지만 어떠한 방법론을 적용하더라도 미래 현금흐름을 재무적으로 추정해야 하는 것은 공통의 과업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현금흐름은 ① 운영활동을 통한 현금흐름 ② 재무활동을 통한 현금흐름 ③ 투자활동을 통한 현금흐름으로 구성된다. 기업 가치평가를 위한 현금흐름, 즉 소위 가처분현금흐름(Free Cash Flow)는 운영활동을 통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투자자에게 돌아갈 수익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①수익의 추정 ②비용의 추정 ③추정 기간의 결정 ④추정 재무제표(Pro-forma Statement) 작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 재무적 지표에 대한 추정은 각 가치평가방법론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면, 수익 추정의 경우 현재의 수익에 대해 추정 성장율을 감안하여 단일한 규칙을 가진 수익의 성장을 추정하지만 실물옵션 평가법 적용시에는 각 투자 단계에 따른 투입과 이에 따른 현금 흐름의 추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서든 미래에 대한 추정치는 동일하여야 한다. 평가방법에 따라 기업의 미래가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재무적 요소의 평가는 비재무적 가치에 비해서 보대 용이하게 정량화 할 수 있고 따라서 좀 더 객관적인 근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비재무적 요소는 기업의 재무적 가치, 즉 미래의 현금 흐름의 근원이 되는 것이므로 가치평가 작업 시에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Ⅲ. 벤처기업가치평가
1. 실증분석 대상 및 사용 파라미터 값
한국의 벤처기업들은 1998년말 현재,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기업 중 벤처로 분류된 127개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1998년말 현재 재무제표에서 총자산, 총부채, 자기자본 및 매출액, 영업이익을 기초자료로 삼았다. 또한 성장옵션 가치를 계산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각 기업마다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값을 사용하였다; 무위험이자율은 국고채수익률 연평균치 7%, 평균기대수익률은 15%, 예상경제성장율은 10%, 벤처기업의 수익률 표준편차는 연율 55%. 벤처기업의 시가총액은 1999년말 주가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미국의 벤처기업들은 NASDAQ100 지수를 구성하는 기업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나스닥시장에 등록된 기업 중 지수구성 기업으로 선정된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재무제표에서 총자산, 총부채, 자기자본 및 매출액, 영업이익을 기초자료로 삼았다. 또한 성장옵션 가치를 계산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각 기업마다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값을 사용하였다; 무위험이자율은 국채(T-bond 30년 만기)수익률 년평균치 6%, 평균기대수익률은 13%, 예상경제성장율은 5%, 벤처기업의 수익률 표준편차는 년율 27%. 나스닥기업의 시가총액은 주가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한국의 벤처기업 및 미국 하이테크 기업들의 평균 자산규모, 부채비율이나 이익규모 및 각종 주가배수(price multiples)의 평균값을 비교해 봐야할 것이다.
한국의 벤처기업 및 한국의 대기업들의 평균 자산규모, 부채비율이나 이익규모 및 각종 주가배수(price multiples)의 평균값을 비교해 봐야할 것이다.
2. 실증분석 결과; 과대평가 여부 검증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분석대상인 벤처기업으로 분류된 124개 기업의 시가총액은 약 27조원으로 코스닥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시가총액과 장부가 부채총액의 합으로 표현되는 한국 벤처기업의 기업가치는 총 29조원에 달한다. 이 29조원이 실물자산의 부가가치 창출력(present value of cashflows from assets-in-place)와 성장옵션가치(present value of growth option)로 어떻게 분해되는지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벤처기업의 성장옵션 가치는 어느정도인가가 궁금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124개 한국 벤처기업의 성장옵션 가치는 약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업이익을 기대수익율로 할인하여 실물투자의 부가가치창출력을 가치로 환산한 실물자산가치가 1.5조원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그 크기가 막대함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벤처기업의 실물자산가치 대비 평균 성장옵션 배수는 약 8배에 달한 반면, 미국 하이테크 기업의 성장옵션 배수는 2.2배로 나타났다. 한국 벤처의 성장옵션 배수가 미국에 비해 4배 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호황, 성장기인 점 및 벤처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 등의 이유 때문에 한국기업의 성장옵션에 대한 가치부여가 미국기업과 비교해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시장의 옵션 파라미터를 한국 시장의 파라미터와 동일하다고 가정해서 성장옵션가치의 크기를 추정해 보면, 미국 하이테크 기업의 성장옵션 배수가 7.2배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 경우 한국 벤처의 성장옵션 배수 8배수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둘째, 한국 벤처기업의 과대평가 여부를 평가해 보면, 과대평가액이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벤처기업의 시가총액 약 27조원에서 차지하는 버블 비중이 49%에 해당 되는 금액이다.
미국 하이테크 기업들의 경우, 시가총액 3.8조 달러와 비교해, 과대평가액 규모가 2.7조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버블 비중이 70%를 상회하고 있다. 미국기업이 처한 경제환경이나 기업가치의 성장성, 변동성 등을 한국기업과 동일하게 바꾸어 버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