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형질과 형질개량
Ⅱ. 형질과 출아형질
Ⅲ. 형질과 형질전환
Ⅳ. 형질과 형질전환동물
1. 형질 전환 동물이란
2. 형질 전환 동물을 만드는 방법
1) Pronuclear injection(전핵 주입법)
2) Retroviral Vector
3) Sperm-mediated DNA transfer
4) SiRNA(small interference RNA)
5) 그 밖의 다른 방법
Ⅴ. 형질과 생산형질
Ⅵ. 형질과 유전력
Ⅶ. 형질과 RFLP(제한효소단편길이다형성)
참고문헌
Ⅱ. 형질과 출아형질
Ⅲ. 형질과 형질전환
Ⅳ. 형질과 형질전환동물
1. 형질 전환 동물이란
2. 형질 전환 동물을 만드는 방법
1) Pronuclear injection(전핵 주입법)
2) Retroviral Vector
3) Sperm-mediated DNA transfer
4) SiRNA(small interference RNA)
5) 그 밖의 다른 방법
Ⅴ. 형질과 생산형질
Ⅵ. 형질과 유전력
Ⅶ. 형질과 RFLP(제한효소단편길이다형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다. Long 등(1991)은 Nebraska대학의 Gene Pool population의 1967년부터 1987년까지 계통조성자료에서 종모돈 736두 및 종빈돈 1,393마리에 대한 자료 분석에서 0.18이었다고 보고하였다. Mercer와 Crump(1990)은 1,095복의 Landrace종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0.100±0.042라고 보고하였으며, 834복의 초산차 성적만 분석한 경우에는 0.105±0.051로 추정되었다고 보고하였다.
Irgang과 Robison(1984)는 모계반형매 분석을 이용하여 1,326복의 1산차와 866복의 2산차 기록을 분석한 결과, 각 산차별 유전력이 1산차의 경우 0.30±0.36이고, 2산차의 경우 0.76±0.45로 1산차보다 2산차의 유전력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Roy 등(1988)은 Yorkshire종의 분만성적을 분석한 결과, 1산차, 2산차, 3산차이상 및 전체산차에서 각각 0.03±0.06, 0.26±0.08, 0.18±0.07 및 0.14±0.05이었다고 보고하였다.
모에 대한 자식의 회귀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을 추정한 경우를 보면 Stewart(1945)는 475복의 자료에 대해 0.16±0.22로 보고하였으며, Blunn과 Baker(1949)는 561복의 자료에 대해 0.24로 보고하였다. Boylan 등(1961)은 1,970복의 자료에 대해 0.03±0.07로 보고하였고, Revelle와 Robinson(1973)은 750복의 자료에 대해 유전력은 0.13±0.06으로 추정되었다고 보고하였다. Strang과 Smith(1979)는 Yorkshire종 38,000복의 자료에 대해 0.07±0.02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Bereskin(1984a)은 743복의 자료에 대해 분석한 결과 추정된 유전력은 0.04±0.02이었다고 보고하였다.
부계반형매 분석을 이용하여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을 추정한 경우를 보면 Stewart(1945)는 610복의 자료에 대해 0.18로 보고하였고, Fahmy와 Bernard(1972)는 751복의 자료에 대해 0.24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Young 등(1978)은 Nebraska대학의 Gene Pool population의 610복의 자료에 대해 0.66±0.23로 보고하였고, Strang과 Smith(1979)는 Yorkshire종 38,000복에 대해 추정된 유전력은 0.04±0.04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Pumfrey 등(1980)은 789복의 자료에 대해 0.44±0.21이었다고 보고하였다. Irvin과 Swiger(1984)는 Duroc종 119복, Yorkshire종 396복 그리고 Hampshire종 94복을 포함한 총 609복의 자료에 대해 0.20±0.11로 보고하였고, Ferguson 등(1985)은 Yorkshire종 663복과 Duroc종 460복에 대해 각각 0.21±0.14 및 0.04±0.10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Vangen(1986)은 55,983복의 자료에 대해 0.07±0.01로 보고하였다.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을 추정한 경우를 보면 Woodward 등(1993)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American Yorkshire Club의 SPI program에 이용된 61,596복의 Yorkshire 자료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전력이 0.11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Gu 등(1989)은 Landrace종 1,018복과 Yorkshire종 863복에 대해 각각 0.106±0.043 및 0.102±0.054이었다고 보고하였다. Southwood와 Kennedy(1990)는 Yorkshire종 8,825복과 Landrace종 12,302복에 대해 각각 0.131±0.045 및 0.086±0.032이었다고 보고하였다. Ferraz와 Johnson (1993)은 Landrace종 517복과 Yorkshire종 698복에 대해 각각 0.11과 0.10으로 보고하였다.
Vidovic(1985)은 4개 농장에서 5년 동안 종모돈 274두, 종빈돈 3,476두에서 생산된 총 14,078복을 분석한 결과, 0.08±0.03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McCarter 등(1987)은 34,000복의 Yorkshire종의 자료를 3산차에 근거하여 보정했을 때 0.13±0.02이었다고 보고하였고, Popescu-Vifor 등(1988)은 Romanian Large White종에 대해 0.23±0.22의 유전력 추정치를 보고하였으며, Roy 등(1988)은 Yorkshire종의 분만성적을 분석한 결과, 1산차, 2산차, 3산차 이상 및 전체 산차에서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해 추정된 유전력이 각각 0.04±0.06, 0.14±0.08, 0.14±0.07 및 0.10±0.05이었다고 보고하였다.
Kerr과 Cameron(1995)은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1,220두의 Large White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추정된 유전력이 0.06±0.04라고 보고하였으며, See 등(1993)은 Hampshire종, Landrace종과 Spotted종에 대해 추정된 유전력은 각각 0.13±0.001, 0.12±0.001 및 0.13±0.002이었다고 보고하였다.
Ⅶ. 형질과 RFLP(제한효소단편길이다형성)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란 DNA를 制限酵素로 절단할 때 생기는 DNA 단편 크기의 多形性을 의미하는데, Beckmann 等과 Kochert 等은 이와 같은 DNA의 自然的 變異 特性을 이용하여 交配 世代의 핵 DNA를 분석함으로써 遺傳子地圖를 作成하고 遺傳樣式을 밝히거나 遺傳資源의 類緣關係를 분석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Tanksley는 RFLP 標識因子가 식물 전체 조직이나 세포단위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자연적 변이를 재료로 하기 때문에 모든 염색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많은 표지인자를 만들 수 있고, DNA를 직접 분석함으로써 共優性(codominant)으로 발현되는 유전현상
Irgang과 Robison(1984)는 모계반형매 분석을 이용하여 1,326복의 1산차와 866복의 2산차 기록을 분석한 결과, 각 산차별 유전력이 1산차의 경우 0.30±0.36이고, 2산차의 경우 0.76±0.45로 1산차보다 2산차의 유전력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Roy 등(1988)은 Yorkshire종의 분만성적을 분석한 결과, 1산차, 2산차, 3산차이상 및 전체산차에서 각각 0.03±0.06, 0.26±0.08, 0.18±0.07 및 0.14±0.05이었다고 보고하였다.
모에 대한 자식의 회귀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을 추정한 경우를 보면 Stewart(1945)는 475복의 자료에 대해 0.16±0.22로 보고하였으며, Blunn과 Baker(1949)는 561복의 자료에 대해 0.24로 보고하였다. Boylan 등(1961)은 1,970복의 자료에 대해 0.03±0.07로 보고하였고, Revelle와 Robinson(1973)은 750복의 자료에 대해 유전력은 0.13±0.06으로 추정되었다고 보고하였다. Strang과 Smith(1979)는 Yorkshire종 38,000복의 자료에 대해 0.07±0.02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Bereskin(1984a)은 743복의 자료에 대해 분석한 결과 추정된 유전력은 0.04±0.02이었다고 보고하였다.
부계반형매 분석을 이용하여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을 추정한 경우를 보면 Stewart(1945)는 610복의 자료에 대해 0.18로 보고하였고, Fahmy와 Bernard(1972)는 751복의 자료에 대해 0.24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Young 등(1978)은 Nebraska대학의 Gene Pool population의 610복의 자료에 대해 0.66±0.23로 보고하였고, Strang과 Smith(1979)는 Yorkshire종 38,000복에 대해 추정된 유전력은 0.04±0.04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Pumfrey 등(1980)은 789복의 자료에 대해 0.44±0.21이었다고 보고하였다. Irvin과 Swiger(1984)는 Duroc종 119복, Yorkshire종 396복 그리고 Hampshire종 94복을 포함한 총 609복의 자료에 대해 0.20±0.11로 보고하였고, Ferguson 등(1985)은 Yorkshire종 663복과 Duroc종 460복에 대해 각각 0.21±0.14 및 0.04±0.10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Vangen(1986)은 55,983복의 자료에 대해 0.07±0.01로 보고하였다.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을 추정한 경우를 보면 Woodward 등(1993)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American Yorkshire Club의 SPI program에 이용된 61,596복의 Yorkshire 자료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전력이 0.11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Gu 등(1989)은 Landrace종 1,018복과 Yorkshire종 863복에 대해 각각 0.106±0.043 및 0.102±0.054이었다고 보고하였다. Southwood와 Kennedy(1990)는 Yorkshire종 8,825복과 Landrace종 12,302복에 대해 각각 0.131±0.045 및 0.086±0.032이었다고 보고하였다. Ferraz와 Johnson (1993)은 Landrace종 517복과 Yorkshire종 698복에 대해 각각 0.11과 0.10으로 보고하였다.
Vidovic(1985)은 4개 농장에서 5년 동안 종모돈 274두, 종빈돈 3,476두에서 생산된 총 14,078복을 분석한 결과, 0.08±0.03이었다고 보고하였으며, McCarter 등(1987)은 34,000복의 Yorkshire종의 자료를 3산차에 근거하여 보정했을 때 0.13±0.02이었다고 보고하였고, Popescu-Vifor 등(1988)은 Romanian Large White종에 대해 0.23±0.22의 유전력 추정치를 보고하였으며, Roy 등(1988)은 Yorkshire종의 분만성적을 분석한 결과, 1산차, 2산차, 3산차 이상 및 전체 산차에서 생시 복당 생존자돈수에 대해 추정된 유전력이 각각 0.04±0.06, 0.14±0.08, 0.14±0.07 및 0.10±0.05이었다고 보고하였다.
Kerr과 Cameron(1995)은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1,220두의 Large White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추정된 유전력이 0.06±0.04라고 보고하였으며, See 등(1993)은 Hampshire종, Landrace종과 Spotted종에 대해 추정된 유전력은 각각 0.13±0.001, 0.12±0.001 및 0.13±0.002이었다고 보고하였다.
Ⅶ. 형질과 RFLP(제한효소단편길이다형성)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란 DNA를 制限酵素로 절단할 때 생기는 DNA 단편 크기의 多形性을 의미하는데, Beckmann 等과 Kochert 等은 이와 같은 DNA의 自然的 變異 特性을 이용하여 交配 世代의 핵 DNA를 분석함으로써 遺傳子地圖를 作成하고 遺傳樣式을 밝히거나 遺傳資源의 類緣關係를 분석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Tanksley는 RFLP 標識因子가 식물 전체 조직이나 세포단위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자연적 변이를 재료로 하기 때문에 모든 염색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많은 표지인자를 만들 수 있고, DNA를 직접 분석함으로써 共優性(codominant)으로 발현되는 유전현상
추천자료
Bacillus thuringiensis가 생산하는 살충성 단백질들과 그 유전자들에 대한 고찰
장기 이식을 위한 인간복제는 허용될 수 있는가?
[생화학]생화학 용어 정리
단백질과발현
[과외](고3) 01 모의고사 과탐 생물2
유전자 변형돼지와 이종이식에 대한 조사
[생명공학][생명공학기술][생명공학산업][바이오][생물산업]생명공학의 정의, 특징, 중요성, ...
[인간복제]인간복제란?, 인간복제기술의 발달과 역사, 최신 인간복제 기술과 주요 쟁점의 동...
유전공학 기술의 응용과 현황 및 유전공학의 미래
편입,정시,수시면접자료-생명과학,생명공학,자연과학대학,이공대학
2009년 2학기 식품미생물학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균주 개량 기술)
DNA물리화학적 구조 및 미생물질에 의한 유전물질의 교환방법(식품미생물학)
생명과학의 이해 요약정리 : chapter 9 ~ 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