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족간의 갈등해결방법으로 ‘나 -전달법’이 갈등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있는데 ‘나-전달법’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부모와 자녀의 대화에서 나-전달법이 필요한 이유
2. 나 전달법의 기본원리
3. 나-전달법을 사용하는 시기
4. 올바른 나 전달법 예시
Ⅲ. 결론
Ⅰ. 서론
Ⅱ. 본론
1. 부모와 자녀의 대화에서 나-전달법이 필요한 이유
2. 나 전달법의 기본원리
3. 나-전달법을 사용하는 시기
4. 올바른 나 전달법 예시
Ⅲ. 결론
본문내용
간을 갖고 자제력을 회복한 후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좋다.
4. 올바른 나 전달법 예시
1) 내가 저녁뉴스를 보고 있는데 네가 떠들면 -행동서술 나는 정말 짜증나 -감정 왜냐하면 떠는 소리 때문에 뉴스에서 나오는 중요한 정보를 들을 수 없거든 -구 체적 영향
2) 네가 차안에서 장난을 치면 -행동서술
나는 정신이 산만해지고 불안해져서 -감정 운전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단다 -구체적 영향
3) 네가 일요일 아침 일찍 자고 있는 동생을 깨우면 -행동서술 나는 잠을 잘 수가 없고 일어나서 동생을 달래주어야 하니까 -구체적 영향 화가 난단다 -감정4) 아빠와 나는 중요한 이야기를 하고 있단다 -행동서술 너희들이 주위에서 왔다 갔다 하니까 -행동서술
주의가 산만해져서 -구체적 영향
얘기가 자꾸 끊어지고 제대로 얘기를 할 수 없구나 -구체적 영향
Ⅲ. 결론
인간관계의 대부분은 언어적이든, 비언어적이든 간에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위해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익힐 필요가 있다. 부모들에게 “자녀와 대화를 많이 하느냐?”라고 질문을 한다면 “물론 자녀들과 이야기 하지.”라고 대답하는 부모들이 많겠지만 사실상 대화라고 하기보다 잔소리, 비난, 평가, 훈계 등의 양상으로 이끄는 경우가 대부분일지 모른다. 아무리 좋은 의도에서라도 이러한 종류의 대화는 의사소통을 촉진시키기 보다는 감소시키며, 오히려 관계를 긴장시킨다.
인간관계는 상호적이다. 즉, 서로가 관계에 영향을 주고 기여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어떤 인간관계가 좋지 않다고 할 때 반드시 한 편만 탓할 수는 없다. 부모-자녀도 인간관계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만일 그 관계가 부정적이고 불만족스럽다 해서 반드시 자녀의 탓, 부모의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다른 인간관계와 달리 부모-자녀 관계는 되돌리거나 파기할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지식과 경험을 갖춘 성인인 부모가 관계의 개선을 위해 먼저 노력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인간관계는 상호적이기 때문에 한 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려는 노력을 보이면 상대방도 그 변화에 맞추려 노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비판하고 상대를 가르치고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상대방이 하기를 바라는 행동이나 마음보다 너 전달법이 아닌 나 전달법을 이용하여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를 한다면 부모와 자식의 관계 회사동료 및 친구의 관계에서의 인간관계가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라 본다.
4. 올바른 나 전달법 예시
1) 내가 저녁뉴스를 보고 있는데 네가 떠들면 -행동서술 나는 정말 짜증나 -감정 왜냐하면 떠는 소리 때문에 뉴스에서 나오는 중요한 정보를 들을 수 없거든 -구 체적 영향
2) 네가 차안에서 장난을 치면 -행동서술
나는 정신이 산만해지고 불안해져서 -감정 운전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단다 -구체적 영향
3) 네가 일요일 아침 일찍 자고 있는 동생을 깨우면 -행동서술 나는 잠을 잘 수가 없고 일어나서 동생을 달래주어야 하니까 -구체적 영향 화가 난단다 -감정4) 아빠와 나는 중요한 이야기를 하고 있단다 -행동서술 너희들이 주위에서 왔다 갔다 하니까 -행동서술
주의가 산만해져서 -구체적 영향
얘기가 자꾸 끊어지고 제대로 얘기를 할 수 없구나 -구체적 영향
Ⅲ. 결론
인간관계의 대부분은 언어적이든, 비언어적이든 간에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위해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익힐 필요가 있다. 부모들에게 “자녀와 대화를 많이 하느냐?”라고 질문을 한다면 “물론 자녀들과 이야기 하지.”라고 대답하는 부모들이 많겠지만 사실상 대화라고 하기보다 잔소리, 비난, 평가, 훈계 등의 양상으로 이끄는 경우가 대부분일지 모른다. 아무리 좋은 의도에서라도 이러한 종류의 대화는 의사소통을 촉진시키기 보다는 감소시키며, 오히려 관계를 긴장시킨다.
인간관계는 상호적이다. 즉, 서로가 관계에 영향을 주고 기여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어떤 인간관계가 좋지 않다고 할 때 반드시 한 편만 탓할 수는 없다. 부모-자녀도 인간관계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만일 그 관계가 부정적이고 불만족스럽다 해서 반드시 자녀의 탓, 부모의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다른 인간관계와 달리 부모-자녀 관계는 되돌리거나 파기할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지식과 경험을 갖춘 성인인 부모가 관계의 개선을 위해 먼저 노력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인간관계는 상호적이기 때문에 한 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려는 노력을 보이면 상대방도 그 변화에 맞추려 노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비판하고 상대를 가르치고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상대방이 하기를 바라는 행동이나 마음보다 너 전달법이 아닌 나 전달법을 이용하여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를 한다면 부모와 자식의 관계 회사동료 및 친구의 관계에서의 인간관계가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라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달의 원리
열전달 실험시 나오는 데이터 값과 오차값에 대한 고찰 및 원리분석
리더십 유형과 나의 선택
장애인복지법의 목적과 개념, 발달사, 장애인복지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나의견해
낙태에 관한 나의 입장
21C 유아교사의 모습과 나의 각오
Erikson의 사회 심리적 발달단계(나의 발달단계)
[학교생활지도][생활지도][학교생활]학교생활지도의 개념과 범위, 학교생활지도의 원리와 기...
조세법의 기본원칙 검토
발달의 원리 중 발달에는 결정적시기(민감한 시기)가 있다. 한 유아의 평생을 좌우 하는 전생...
만 5세아 누리과정의 기본 구성 및 방향과 교수 학습 원리에 대해 설명 하고 자신의 생각을 ...
수학의 의미와 아동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본 후, 나의 수학 경험을 돌아보고 내가 생각하...
[민주주의 연구레포트] 민주주의 개념,발달과정과 한국 민주주의 문제점과 향후방향제시및 나...
최근 일어나는 데이트폭력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왜 일어나는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