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위치, 지형 및 지질, 기후
Ⅲ. 제주인, 제주의 문화
Ⅳ. 소결
Ⅱ. 위치, 지형 및 지질, 기후
Ⅲ. 제주인, 제주의 문화
Ⅳ. 소결
본문내용
고 「평안도와 명나라의 영역인 요동반도의 경계 연장선상에 있는 海浪國」에도 「제주민 20여가구가 새로 와서 여기에 거주한다」고 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요동반도 근처까지 거주민이 있었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Ⅳ. 소결
이렇듯 제주인은 과거부터 중앙정부의 지배와는 별도로 독특한 우리 만의 국가관과 정체성을 형성해 오고 있었다. 그로 인해 한반도 어느 지역과는 다른 자주성과 일본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해인문화까지 가지고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지금의 시대 많이 약화되고 희석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는 존재 자체에 대해 인정하고 받아들여서 제주인의 육지부와는 다른 모습이 존재하고 있음을 우리 제주인 모두가 알고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창훈.(1984). 제주문화의 사회과학적 이해에 관한 연구: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창간호. 제주도연구회.
권귀숙.(1996). 제주해녀의 신화와 실체:조혜정교수의 해녀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30집.
김상헌.(1992). 남사록. 김희동 역. 영가문화사.
김영화현길언.(1980). 제주설화를 통해서 본 제주도정신 고구(考究). 論文集 12. 제주대학교.
Ⅳ. 소결
이렇듯 제주인은 과거부터 중앙정부의 지배와는 별도로 독특한 우리 만의 국가관과 정체성을 형성해 오고 있었다. 그로 인해 한반도 어느 지역과는 다른 자주성과 일본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해인문화까지 가지고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지금의 시대 많이 약화되고 희석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는 존재 자체에 대해 인정하고 받아들여서 제주인의 육지부와는 다른 모습이 존재하고 있음을 우리 제주인 모두가 알고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창훈.(1984). 제주문화의 사회과학적 이해에 관한 연구: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창간호. 제주도연구회.
권귀숙.(1996). 제주해녀의 신화와 실체:조혜정교수의 해녀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30집.
김상헌.(1992). 남사록. 김희동 역. 영가문화사.
김영화현길언.(1980). 제주설화를 통해서 본 제주도정신 고구(考究). 論文集 12. 제주대학교.
추천자료
2001년 제주세계섬문화축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 제주도 관광 )
5분스피치(자전거로 떠나는 제주도 여행)
재무행정 사례연구 : 경기도와 제주도의 세입결산 분석
제석본풀이, 바리공주, 도랑선비와 청정각시,제주도 세경본풀이, 성주본가
PR과정 사례( '머리에꽃을' 제주도 거리축제)
[스포츠산업 분석]제주도 골프산업의 효과, 특징,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견해[A+ 추...
[경찰조직론] 제주도 자치경찰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사] 제주도 4.3사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가지고 이를 통해 우리가 가져야할 태...
[관광개발계획론] 제주도 - 중문관광단지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제주도(濟州島)의 문화적 특성 - 제주인의 정체성, 탐라정신, 민속,...
[해양산업] 제주도 해양과 해양산업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제주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제주도 의료관광 인적인프라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