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신경계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신경계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추신경계

- 뇌

- 척수

Ⅱ 말초신경

Ⅲ 자율신경

본문내용

teral fissure)
8. 소뇌혀(lingula, 소뇌소설)
9. 중심소엽(central lobule)
10. 소뇌정상(culmen)
11. 소뇌비탈(declive, 경사)
12. 소뇌잎새(folium)
13. 소뇌융기(tuber)
14. 피라미드(pyramis)
15. 소뇌목젖(uvula, 충부수)
16. 결절(nodulus, 소절)
17. 상연수천장(superior medullary velum)
18. 하연수천장(inferior medullary velum)
19. 제4뇌실(4th ventricle)
20. 교뇌(pons)
Tracts in brain stem
- Ascending tracts
* dorsal system
* spinithalamic tract
* spinicerebellar tract
- Descending tracts
* corticospinal tract
* corticorericular tract
* corticobulbar tract
* corticopontine tract
● 척수
척수는 하위중추로서 31개의 분절을 가진 input-output system이다.
뇌척수막은 제 3요추까지 내려와 있어서, 척수의 하단에는 빈공간이 존재하므로 뇌척수액을 채취할 때에는 이곳을 천자한다. 제 2,3요추 아래에 척수신경은 말총과 같이 길게 뻗어 있어, 이를 마미(cauda equina)라고 한다. 또한 척수는 상지와 하지로 가는 신경이 합쳐지는 두 곳에서 팽대되어 있어 각각 경팽대(cervical enlargement), 요팽대(lumbar enlargement)라고 한다.
31쌍의 말초신경은 추간공을 통해서 척주관을 나오는데, 경신경(cervical nerve:C1~C8) 8쌍, 흉신경(thoracic nerve:T1~T12) 12쌍, 요신경(lumbar nerve:S1~S5) 5쌍, 미골신경(coccygeal nerve:C0) 1쌍으로 구분한다.
1. 운동계
추체로계(pyramidal system) : 수의적 운동경로
추체외로계(extrapyramidal system) : 불수의적 운동경로
[추체로와 추체외로계]
전도로
기시
정지
기능
추체로
피질연수로
대뇌피질
뇌간의 운동핵
두경부 골격근의 수의운동조절
외측피질척수로
대뇌피질
척수의 전각
목 이하 골격근의 수의운동 조절
전피질척수로
대뇌피질
척수의 전각
목 이하 골격근의 수의운동 조절
추체외로
적핵척수로
중뇌의 적핵
척수의 전각
자세 및 근장력의 불수의적 조절
전정척수로
교의 전정신경핵
척수의 전각
근장력 및 신체균형의 불수의적 조절
망상체척수로
뇌간 망상체내의 핵
척수의 전외측각
반사활동 및 자율기능의 불수의적 조절
시개척수로
중뇌의 상구와 하구
척수의 전각
시청각에 대한 두경부 및 상지의 불수의적 조절
1)추체로계
수의운동을 지배하는 추체로계(pyramidal system)는 대뇌피질의 운동영역인 중심전회를 구성하고 있는 추체세포(pyramidal cell)에서 기시한다.
피질연수로 : 얼굴의 수의운동을 제어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 피질척수로의 축삭들은 척수 회백질 전각의 운동신경원들과 시냅스를 이루어 목 이하의 골격들의 운동을 조절, 연수 하단에서 교차한 후 척수 측삭을 하행하기 때문에 외측피질척수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라고 한다.
전피질척수로(anterior corticospinal tract) : 연수에서 교차하지 않고 척수 전삭을 통하여 내려온다.
2)추체외로계
추체외로계(extrapycamidal system)는 골격근의 운동이나 긴장, 근육들의 협동운동 등을 반사적 혹은 불수의적으로 지배하는 신경섬유로의 총칭으로 연수의 올리브핵, 중뇌의 적핵 및 흑질 등의 askg은 회백질들이 중계소로써 게재하고 있다.
[신경로]
적핵척수로(rubrospinal tract)
전정척수로(vestibulospinal tract)
망상체척수로(reticulospinal tract)
시개척수로(tectospinal tract)
<척수 신경로>
* ascending tracts
- dorsal system
(뒤기둥-안쪽섬유띠로 posterior white column-medial lemniscal pathways)
- spinothalamic tracts(4, 6)
- spinocerebellar tracts(2, 3)
- spinotectal tract(5)
- spino-olivary tract(7)
- 척수신경절세포 first order neuron
척수, 뇌줄기 신경세포 second order neuron
시상 신경세포 third order neuron
* posterior white column-medial lemniscal pathways
부드러운 움직임을 생성하고 fine movement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
: 판별촉각discriminative touch 세밀한 촉각을 분별하는 분별적 촉각
: 고유감각 인식conscious proprioception 의식적인 고유감각 , 신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의식적으로 인지
: 입체인식불능증stereognosis
Ⅱ 말초신경계통
우리 몸 각 부위의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중추신경계통인 뇌와 척수에 전달하고,
여기서 통합조정되어 일으키는 반응을 다시 몸 전체의 뼈대근육, 내장근육 및 각종 분비샘에 전달하는 신경계통이다.
뇌신경(12쌍) : 몸신경, 자율신경
척수신경(31쌍) : 몸신경, 자율신경
1.뇌신경
뇌에서 직접 출입하는 12쌍의 신경 감각신경(Ⅰ, Ⅱ, Ⅷ), 운동신경(Ⅲ, Ⅳ, Ⅵ, , ), 혼합신경(Ⅴ, Ⅶ, Ⅸ, Ⅹ)
신경명
주작용성
분포영역
주요기능
Ⅰ. 후각신경
감각성
코안 윗부위
후각
Ⅱ. 시각신경
감각성
안구의망막
시각
Ⅲ. 눈돌림신경
운동성
안구의 위/아래, 안쪽곧은근, 아래빗근
위눈꺼풀올림근, 동공조임근
안구 운동과 동공 조절
Ⅳ. 도르래신경
운동성
안구의 윗빗근
안구 운동
Ⅴ. 삼차신경
눈신경
위턱신경
아랙턱신경
혼합성
감각성
감각성
혼합성
눈확과 이마 등의 피부
췻턱
씹기근육
안구, 머리덮개 등의감각
윗턱의 감각
아래턱의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8.08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1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