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벤처기업가치
1. 실증분석 대상 및 사용 파라미터 값
2. 실증분석 결과 : 과대평가 여부 검증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2) 개별 벤처기업을 평가하여 평균치를 분석한 경우
3) 예상도산 확률 추정치
Ⅱ. 회사정리기업가치
1. 부채비율
2. 장기부채비율
3. 수익성
4. 기업규모
5. 담보자산
6. 기업의 특이성
7. 성장성
8. 경영위험
Ⅲ. 상장기업가치
1. EVA 전체실적
2. EVA 상위기업
3. 업종별 현황
4. 누적EVA실적
1) 최근 5년간 누적EVA 상위기업현황
2) 연속 EVA+기업현황
Ⅳ. 호텔기업가치
1. 가치에 의거한 교육훈련과 환대가치간의 관계
2. 환대가치와 직무 관련 존중/직무에 관련된 자아존중/직무아노미/직무윤리/직무관여간의 관계
1) 환대가치와 직무 관련 존중간의 관계
2) 환대가치와 ‘직무에 관련된 자아존중’간의 관계
3) 환대가치와 직무아노미간의 관계
4) 환대가치와 직무윤리간의 관계
5) 환대가치와 직무관여간의 관계
Ⅴ. M&A(기업인수합병)기업가치
Ⅵ. 기업브랜드가치
1. 신상품
2. 제품의 결함
3. 최고 경영진 교체
4. 경쟁사의 움직임
5. 법적 대응
참고문헌
1. 실증분석 대상 및 사용 파라미터 값
2. 실증분석 결과 : 과대평가 여부 검증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2) 개별 벤처기업을 평가하여 평균치를 분석한 경우
3) 예상도산 확률 추정치
Ⅱ. 회사정리기업가치
1. 부채비율
2. 장기부채비율
3. 수익성
4. 기업규모
5. 담보자산
6. 기업의 특이성
7. 성장성
8. 경영위험
Ⅲ. 상장기업가치
1. EVA 전체실적
2. EVA 상위기업
3. 업종별 현황
4. 누적EVA실적
1) 최근 5년간 누적EVA 상위기업현황
2) 연속 EVA+기업현황
Ⅳ. 호텔기업가치
1. 가치에 의거한 교육훈련과 환대가치간의 관계
2. 환대가치와 직무 관련 존중/직무에 관련된 자아존중/직무아노미/직무윤리/직무관여간의 관계
1) 환대가치와 직무 관련 존중간의 관계
2) 환대가치와 ‘직무에 관련된 자아존중’간의 관계
3) 환대가치와 직무아노미간의 관계
4) 환대가치와 직무윤리간의 관계
5) 환대가치와 직무관여간의 관계
Ⅴ. M&A(기업인수합병)기업가치
Ⅵ. 기업브랜드가치
1. 신상품
2. 제품의 결함
3. 최고 경영진 교체
4. 경쟁사의 움직임
5. 법적 대응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의 결합, 자산이나 주식의 취득을 통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이미 내적성장을 통해 상당한 발전을 이룬 기업이 새로운 사업을 시도하는 데에 있어서 독자적인 힘만으로 한계에 부딪히게 될 때 외적성장의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기업의 외적 성장은 주로 매수. 합병(mergers and acquisitions ; M&A)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외적성장의 가장 전형적인 수단으로서 시도되는 M&A의 성패는 전진과 퇴보라는 기업의 死活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M&A가 활성화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M&A의 거래 이후 피인수기업들의 주가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적으로 한솔제지에 인수된 한국마벨(현 한솔전자)과 광림전자(현 한솔PCS)의 경우 한솔그룹으로 인수된 후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자산가치 우량업체인 동원산업에 인수된 성미전자의 경우도 주가가 189%나 급등했다. 또한 수산중공업에 인수된 대호의 경우도 인수이후 주가가 90.70% 상승했다.
반면 동부그룹에 인수된 한농의 경우는 주가가 36.74% 하락하였다. 또 한국제지에 인수된 동해펄프, 성원건설에 인수된 대한투금도 인수이후 주가하락률이 각각 43.38%, 39.52%에 달했다.
이와 같이 현실적으로 기업이 M&A를 행한다고 해서 반드시 規模의 經濟가 실현되고 기업의 경쟁력이 提高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목표기업(target company)이 매수기업(acquirer)과 같은 산업에 있으며, 규모 또한 합병에 적절하다고 해도 성공의 가능성은 50%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M&A를 통하여 기업이 외적성장 등의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M&A대상기업의 올바른 선정과 대상기업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가 先行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M&A를 시도하는 기업측면에서의 가장 큰 애로점은 합리적 기업가치의 평가가 어렵다는 데에 있다. 기업가치평가란 즉 기업전체의 가치를 결정하는 일이다. M&A시에 기업 \'전체\'의 가치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M&A 자체가 기업재산의 개별적인 이전이 아니고 포괄적인 이전이므로 개개의 재산에 대한 평가보다는 오히려 기업 전체를 평가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은 단순한 財産價値의 합과는 다른 것이며, 그 평가방법도 평가의 기준과 목적에 따라서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M&A의 궁극적 목적은 기업의 소유자인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으므로 기업가치평가는 기본적으로 繼續企業(going-concern)으로서의 기업가치에 대한 평가가 되어야 한다.
또한 M&A, 기업간의 매수. 합병은 徹頭徹尾하게 해당 회사들간의 이해관계에 그 기초를 둔 것이기 때문에 그 가치평가에 있어서 정확하고 확실히 하는 것은 M&A라는 의사결정에 결정적 요인이 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M&A의 과정 중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의 하나를 우리는 \'企業價値評價\'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더구나 오늘날 기업경영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은 특히 지속적인 물가상승, 기업위험과 불확실성의 상존, 자본시장의 미발달과 같은 어려운 환경여건마저 지니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기업환경여건에서 기업 자신이 존속과 변화, 성장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보려고 하는 것이 企業構造의 改編(restructuring)이며 M&A일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M&A에 있어서 기업가치평가가 가장 중요하고도 난해한 만큼, 그것이 합리적일 때 기업의 M&A는 개별기업의 외적성장의 수단으로서 그리고 또한 기업구조개편의 수단으로서도 의미가 있게 될 것이며, 크게 중요시 될 것이다.
Ⅵ. 기업브랜드가치
1. 신상품
전체적으로 볼 때 신상품 도입으로 인해 브랜드 가치가 확연히 바뀌지는 않았다. 그러나 광고와 홍보 때문에 블록버스터가 됐고 결과적으로 브랜드 자체를 좌지우지하게 된 서브브랜드가 세 가지 있었다. IBM의 씽크패드, 애플의 뉴튼,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가 그것이다. 씽크패드와 뉴튼의 경우 회사 전체 매출에서 아주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가치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흥미롭다.
2. 제품의 결함
가을 뉴튼의 과대광고에 대해 소비자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고, 이는 결국 애플의 브랜드 가치 하락으로 이어졌다. 강력한 서브브랜드는 모브랜드의 명성에 거꾸로 영향을 준다. 노벨의 넷웨어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뿐 아니라 Y2K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허둥대자 노벨의 브랜드 가치는 떨어졌다.
펜티엄 부동 소수점 연산 오류에 대한 인텔의 대응은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주는 조치에 대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여 주는 좋은 사례다. 칩의 결함이 공론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칩 교환 결정이 내려지기까지 기간 동안 인텔의 주가는 11%나 하락했다. 반면 결함있는 칩을 교환해 준다고 발표를 한 당일 주가는 6%가까이 반등했다. 칩 교환에 무려 5억 달러가 소요된다는 사실이 예견됐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반등한 것이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손실을 무릅쓰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텔의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우리는 제품의 결함이 브랜드 가치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은 경우도 발견했다. 관건은 경영진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었다. 부동 소수점 연산 오류 문제가 발생했을 당시 인텔의 애매한 태도는 오히려 고객의 반응을 악화시켰을 뿐이다.
3. 최고 경영진 교체
1993년 루이스 거스너의 IBM 대표 취임과 1997년 애플 설립자 스티브 잡스의 복귀는 해당 기업의 브랜드 가치 상승을 가져왔다. 브랜드와 가치 상승을 가져왔다. 브랜드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이 경영자들이 지휘봉을 잡으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도입하는등 탁월한 비전과 과감한 추진력을 보여 줬기 때문이다. 반면 오라클의 경우 게이 레인 사장이 사직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유능하고 널리 알려진 리더가 회사를 떠났기 때문이다.
4. 경쟁사의 움직임
브랜드 가치는 회사 내부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경쟁사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1992년 말 휴렛팩커드가 급격한 브랜드 가치 하락을 겪은 데는 경쟁사 캐논의 광고 공세가 한
외적성장의 가장 전형적인 수단으로서 시도되는 M&A의 성패는 전진과 퇴보라는 기업의 死活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M&A가 활성화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M&A의 거래 이후 피인수기업들의 주가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적으로 한솔제지에 인수된 한국마벨(현 한솔전자)과 광림전자(현 한솔PCS)의 경우 한솔그룹으로 인수된 후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자산가치 우량업체인 동원산업에 인수된 성미전자의 경우도 주가가 189%나 급등했다. 또한 수산중공업에 인수된 대호의 경우도 인수이후 주가가 90.70% 상승했다.
반면 동부그룹에 인수된 한농의 경우는 주가가 36.74% 하락하였다. 또 한국제지에 인수된 동해펄프, 성원건설에 인수된 대한투금도 인수이후 주가하락률이 각각 43.38%, 39.52%에 달했다.
이와 같이 현실적으로 기업이 M&A를 행한다고 해서 반드시 規模의 經濟가 실현되고 기업의 경쟁력이 提高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목표기업(target company)이 매수기업(acquirer)과 같은 산업에 있으며, 규모 또한 합병에 적절하다고 해도 성공의 가능성은 50%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M&A를 통하여 기업이 외적성장 등의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M&A대상기업의 올바른 선정과 대상기업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가 先行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M&A를 시도하는 기업측면에서의 가장 큰 애로점은 합리적 기업가치의 평가가 어렵다는 데에 있다. 기업가치평가란 즉 기업전체의 가치를 결정하는 일이다. M&A시에 기업 \'전체\'의 가치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M&A 자체가 기업재산의 개별적인 이전이 아니고 포괄적인 이전이므로 개개의 재산에 대한 평가보다는 오히려 기업 전체를 평가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은 단순한 財産價値의 합과는 다른 것이며, 그 평가방법도 평가의 기준과 목적에 따라서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M&A의 궁극적 목적은 기업의 소유자인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으므로 기업가치평가는 기본적으로 繼續企業(going-concern)으로서의 기업가치에 대한 평가가 되어야 한다.
또한 M&A, 기업간의 매수. 합병은 徹頭徹尾하게 해당 회사들간의 이해관계에 그 기초를 둔 것이기 때문에 그 가치평가에 있어서 정확하고 확실히 하는 것은 M&A라는 의사결정에 결정적 요인이 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M&A의 과정 중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의 하나를 우리는 \'企業價値評價\'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더구나 오늘날 기업경영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은 특히 지속적인 물가상승, 기업위험과 불확실성의 상존, 자본시장의 미발달과 같은 어려운 환경여건마저 지니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기업환경여건에서 기업 자신이 존속과 변화, 성장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보려고 하는 것이 企業構造의 改編(restructuring)이며 M&A일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M&A에 있어서 기업가치평가가 가장 중요하고도 난해한 만큼, 그것이 합리적일 때 기업의 M&A는 개별기업의 외적성장의 수단으로서 그리고 또한 기업구조개편의 수단으로서도 의미가 있게 될 것이며, 크게 중요시 될 것이다.
Ⅵ. 기업브랜드가치
1. 신상품
전체적으로 볼 때 신상품 도입으로 인해 브랜드 가치가 확연히 바뀌지는 않았다. 그러나 광고와 홍보 때문에 블록버스터가 됐고 결과적으로 브랜드 자체를 좌지우지하게 된 서브브랜드가 세 가지 있었다. IBM의 씽크패드, 애플의 뉴튼,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가 그것이다. 씽크패드와 뉴튼의 경우 회사 전체 매출에서 아주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가치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흥미롭다.
2. 제품의 결함
가을 뉴튼의 과대광고에 대해 소비자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고, 이는 결국 애플의 브랜드 가치 하락으로 이어졌다. 강력한 서브브랜드는 모브랜드의 명성에 거꾸로 영향을 준다. 노벨의 넷웨어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뿐 아니라 Y2K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허둥대자 노벨의 브랜드 가치는 떨어졌다.
펜티엄 부동 소수점 연산 오류에 대한 인텔의 대응은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주는 조치에 대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여 주는 좋은 사례다. 칩의 결함이 공론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칩 교환 결정이 내려지기까지 기간 동안 인텔의 주가는 11%나 하락했다. 반면 결함있는 칩을 교환해 준다고 발표를 한 당일 주가는 6%가까이 반등했다. 칩 교환에 무려 5억 달러가 소요된다는 사실이 예견됐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반등한 것이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손실을 무릅쓰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텔의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우리는 제품의 결함이 브랜드 가치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은 경우도 발견했다. 관건은 경영진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었다. 부동 소수점 연산 오류 문제가 발생했을 당시 인텔의 애매한 태도는 오히려 고객의 반응을 악화시켰을 뿐이다.
3. 최고 경영진 교체
1993년 루이스 거스너의 IBM 대표 취임과 1997년 애플 설립자 스티브 잡스의 복귀는 해당 기업의 브랜드 가치 상승을 가져왔다. 브랜드와 가치 상승을 가져왔다. 브랜드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이 경영자들이 지휘봉을 잡으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도입하는등 탁월한 비전과 과감한 추진력을 보여 줬기 때문이다. 반면 오라클의 경우 게이 레인 사장이 사직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유능하고 널리 알려진 리더가 회사를 떠났기 때문이다.
4. 경쟁사의 움직임
브랜드 가치는 회사 내부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경쟁사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1992년 말 휴렛팩커드가 급격한 브랜드 가치 하락을 겪은 데는 경쟁사 캐논의 광고 공세가 한
추천자료
[기업윤리]회계의 투명성과 기업 가치의 관계
투자분석기법과 기업의 가치 극대화의 연관관계
인터넷기업의 가치평가
기업의 가치평가 방법 및 MM의 자본구조이론
우리나라 유통기업의 핵심가치 조사 및 분석 - 취업스타
[경영학원론] 기업 가치 10순위.PPT자료
우리나라 기업들의 핵심가치 조사 및 분석 - 전자 (IT 및 부품 포함) : 전자업종의핵심가치경...
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위험과 아사히맥주를 통해 살펴본 전사적 위험관리의 의...
사회적 기업의 핵심 가치
강원랜드 기업분석 보고서 [강원랜드 재무분석, SWOT분석, 가치평가, 재무제표분석]
전통적 기업과 인터넷 비즈니스 기업의 가치 창출 방법에 대한 차이점에 대하여 논하도록 하시오
소비자행동론 A형 소비자는 욕구충족자, 가치추구자, 배우, 생산자, 영향력 행사자의 역할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