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면역의 정의
2. 면역학의 역사
3. 면역의 분류
4. 면역의 성립과 그 구성 인자
5. 면역반응과 유전제어
6. 항체생산이론•면역이론 가설
7. 면역반응의 종류와 분류
8.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의한 조직장애)
9. 자기면역
10. 종양면역•암면역
11. 이식면역
12. 면역혈액
13. 생체방어 메커니즘과 면역 및 감염면역
2. 면역학의 역사
3. 면역의 분류
4. 면역의 성립과 그 구성 인자
5. 면역반응과 유전제어
6. 항체생산이론•면역이론 가설
7. 면역반응의 종류와 분류
8.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의한 조직장애)
9. 자기면역
10. 종양면역•암면역
11. 이식면역
12. 면역혈액
13. 생체방어 메커니즘과 면역 및 감염면역
본문내용
일란성쌍생아 사이 등의 이식이며, 제공자와 수용자가 개체는 달라도 유전자형이 동일하여 거부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③ 동종이식
동일 종속 내에서 다른 개체끼리의 이식인데, 유전자형이 서로 다르므로 거부반응이 일어난다. 세포면역이 주체이다.
④ 이종이식
서로 다른 종속 사이에서의 이식인데 액성면역의 주체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이식이라고 하는 경우는 ③을 가리키며 이것을 성공시키는 데는 특히 다음 두 가지가 중요하다.
㉠ 조직적합성검사:제공자수용자 사이의 유전자형의 차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해서 생체에 불리한 거부반응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한 검사이다. 사람의 경우는 HLA-A, B, C, D, DR, DQ항원 등을 가능한 한 일치시킬수록 이식의 성공률은 높아진다. HLA항원은 장기이식에서는 이식항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외에 질환감수성 및 면역응답 메커니즘을 해명하기 위한 실마리가 된다.
㉡ 이식면역반응의 억제:이식면역반응을 억제하려면 생체를 면역학적 무반응상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
12. 면역혈액
1901년 란트슈타이너는 자기의 5명의 연구실원의 혈액에서 혈구와 혈청을 분리시키고, 어떤 조합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나는지의 여부를 관찰해서 오늘의 ABO식 혈액형을 분류하였다. 40년 란트슈타이너와 A.S. 비너는 붉은털원숭이의 혈구를 토끼모르모트에게 주입시켜 얻은 항체에 의한 Rh인자(항원)를 발견하였다. 39년 미국의 P. 레빈과 R.E. 스테트슨은 25세의 부인이 두번째 아이를 사산한 뒤 출혈이 멎지 않아 ABO형이 적합한 남편의 혈액을 수혈하자 격렬한 반응을 일으킨다는 임상례를 얻었다. 이 반응을 항체에 의한 것, 즉 ABO형의 것이 아니고 임신에 의한 면역항체라고 판정되어 Rh식 혈액형과 동일하게 보았다. 현재, Rh식 혈액형은 신생아용혈증의 원인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13. 생체방어 메커니즘과 면역 및 감염면역
생체의 방어 메커니즘은 선천적 저항성과 후천적 저항성에 의하여 지배되며, 다시 후천적 저항성에는 세포성면역과 액성면역을 포함한 특이적 저항성과 염증인터페론 등에 의한 비특이적 저항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감염방어도 생체방어의 하나이기 때문에 특이적 메커니즘에 의한 것과 비특이적 메커니즘에 의한 것이 구별되고, 감염면역에도 세포성 액성 외에 이 둘에 의한 감염방어 메커니즘이 있다. 감염에 대하여 발병을 막는 수단으로 예방접종이 있는데 능동면역과 수동면역이 있다.
③ 동종이식
동일 종속 내에서 다른 개체끼리의 이식인데, 유전자형이 서로 다르므로 거부반응이 일어난다. 세포면역이 주체이다.
④ 이종이식
서로 다른 종속 사이에서의 이식인데 액성면역의 주체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이식이라고 하는 경우는 ③을 가리키며 이것을 성공시키는 데는 특히 다음 두 가지가 중요하다.
㉠ 조직적합성검사:제공자수용자 사이의 유전자형의 차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해서 생체에 불리한 거부반응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한 검사이다. 사람의 경우는 HLA-A, B, C, D, DR, DQ항원 등을 가능한 한 일치시킬수록 이식의 성공률은 높아진다. HLA항원은 장기이식에서는 이식항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외에 질환감수성 및 면역응답 메커니즘을 해명하기 위한 실마리가 된다.
㉡ 이식면역반응의 억제:이식면역반응을 억제하려면 생체를 면역학적 무반응상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
12. 면역혈액
1901년 란트슈타이너는 자기의 5명의 연구실원의 혈액에서 혈구와 혈청을 분리시키고, 어떤 조합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나는지의 여부를 관찰해서 오늘의 ABO식 혈액형을 분류하였다. 40년 란트슈타이너와 A.S. 비너는 붉은털원숭이의 혈구를 토끼모르모트에게 주입시켜 얻은 항체에 의한 Rh인자(항원)를 발견하였다. 39년 미국의 P. 레빈과 R.E. 스테트슨은 25세의 부인이 두번째 아이를 사산한 뒤 출혈이 멎지 않아 ABO형이 적합한 남편의 혈액을 수혈하자 격렬한 반응을 일으킨다는 임상례를 얻었다. 이 반응을 항체에 의한 것, 즉 ABO형의 것이 아니고 임신에 의한 면역항체라고 판정되어 Rh식 혈액형과 동일하게 보았다. 현재, Rh식 혈액형은 신생아용혈증의 원인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13. 생체방어 메커니즘과 면역 및 감염면역
생체의 방어 메커니즘은 선천적 저항성과 후천적 저항성에 의하여 지배되며, 다시 후천적 저항성에는 세포성면역과 액성면역을 포함한 특이적 저항성과 염증인터페론 등에 의한 비특이적 저항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감염방어도 생체방어의 하나이기 때문에 특이적 메커니즘에 의한 것과 비특이적 메커니즘에 의한 것이 구별되고, 감염면역에도 세포성 액성 외에 이 둘에 의한 감염방어 메커니즘이 있다. 감염에 대하여 발병을 막는 수단으로 예방접종이 있는데 능동면역과 수동면역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