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SK(SK그룹)의 정의
Ⅲ. SK(SK그룹)의 조직
1. SK의 조직도
2. SKMS를 통한 효과적인 조직운영 방안
1) 의욕관리를 통한 조직운영
2) 관리역량을 통한 조직운영
3) Coordination을 통한 조직운영
4) Communication을 통한 조직운영
5) SK-Manship을 통한 조직운영
6) MPR/S/T를 통한 조직운영
Ⅳ. SK(SK그룹)의 인재상
Ⅴ. SK(SK그룹)의 부채비율
Ⅵ. SK(SK그룹)의 재무상황
1. 자산/부채/자본
1) 관계회사 주식의 증가와 자산의 소폭 증가
2) 부채구조의 변화와 신용등급의 상승
2. 매출의 변화와 수익성
1) 판매가격의 상승과 매출의 증가
2) 영업이익의 하락은 원유가 상승때문인가
3) 판매관리비
4) 영업외손익
5) 현금흐름과 이익의 질
Ⅶ. SK(SK그룹)의 업무영역
1. Marketing
1) 국내 Marketing
2) 해외 Marketing
2. Production
1) 생산 기술
2) Engineering
3) 안전 / 환경
4) 정보통신
5) 건축 / 토목
3. R & D
1) 연구기획
2) 기술 / 상품개발
4. Supporting
1) 기획
2) 재무 / 회계
3) 인력
4) 홍보
5) 구매
6) 법무
7) 총무
8) 정보 기술
Ⅷ. SK(SK그룹)의 인재육성제도
Ⅸ. 결론
참고문헌
Ⅱ. SK(SK그룹)의 정의
Ⅲ. SK(SK그룹)의 조직
1. SK의 조직도
2. SKMS를 통한 효과적인 조직운영 방안
1) 의욕관리를 통한 조직운영
2) 관리역량을 통한 조직운영
3) Coordination을 통한 조직운영
4) Communication을 통한 조직운영
5) SK-Manship을 통한 조직운영
6) MPR/S/T를 통한 조직운영
Ⅳ. SK(SK그룹)의 인재상
Ⅴ. SK(SK그룹)의 부채비율
Ⅵ. SK(SK그룹)의 재무상황
1. 자산/부채/자본
1) 관계회사 주식의 증가와 자산의 소폭 증가
2) 부채구조의 변화와 신용등급의 상승
2. 매출의 변화와 수익성
1) 판매가격의 상승과 매출의 증가
2) 영업이익의 하락은 원유가 상승때문인가
3) 판매관리비
4) 영업외손익
5) 현금흐름과 이익의 질
Ⅶ. SK(SK그룹)의 업무영역
1. Marketing
1) 국내 Marketing
2) 해외 Marketing
2. Production
1) 생산 기술
2) Engineering
3) 안전 / 환경
4) 정보통신
5) 건축 / 토목
3. R & D
1) 연구기획
2) 기술 / 상품개발
4. Supporting
1) 기획
2) 재무 / 회계
3) 인력
4) 홍보
5) 구매
6) 법무
7) 총무
8) 정보 기술
Ⅷ. SK(SK그룹)의 인재육성제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히 94년부터는 모든 구성원들의 능력과 자질을 체계적, 계획적으로 개발/육성하여 회사에서 필요한 유능한 경영자 , 전문가 및 우수임원을 키울 수 있도록 종합적인 인력육성제도인 EMD(Executive Management Development System)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세계는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디지털 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경쟁력 있는 기업은 세계시장을 석권할 수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은 그 어디에도 설자리가 없는 글로벌 경쟁의 시대이기도 하다.
21세기 디지털 시대에는 기업이 보유한 지식으로 승부가 가려진다. 지식이라는 자원은 쓰면 쓸수록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해내는 무한자원이기 때문이다. SK는 전구성원이 보유하고 있는 Intangible Assets을 총동원하여 미래의 신 산업을 발굴, 육성하는 일에도 앞서 가고 있다. 더불어 앞으로 최대 성장산업이 될 생명과학 분야와 e-Commerce등의 신 사업을 본격 추진함으로서 SK의 새로운 성장 기반을 공고히 다져나가고 있다. 21세기 지식경영, 가치경영 SK는 한 발 앞서가고 있다.
SK가 바라는 인재는 글로벌 상황 속에서 국제적인 안목과 능력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패기 있는 사람이다. 그러한 사람만이 다가오는 미래를 지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요약하면
-패기(사고는 적극적으로 / 행동은 진취적으로 / 일처리는 빈틈없고 야무지게)
-경영지식
-경영에 부수된 지식
-사교자세
-가정 및 건강관리수준이 높고 계속 함양시켜 나갈 수 있는 사람
Ⅴ. SK(SK그룹)의 부채비율
당사의 부채비율은 152%이다. 차입금은 약 6조7천억원 수준이며, 이중 단기차입금이 2조7천억원, 장기차입금이 4조원 이다. 단기차입금은 대부분 원유수입을 위한 무역금융(Usance)이며, 장기차입금은 대부분 국내에서 발행된 회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Ⅵ. SK(SK그룹)의 재무상황
1. 자산/부채/자본
1) 관계회사 주식의 증가와 자산의 소폭 증가
총자산은 1,700억원 감소했다가 6월말에는 다시 1조원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8,300억원 이상 증가했다. 반면에 투자자산은 6,630억원 증가했다. 대부분 지분법평가이익의 증가때문이다. 사업구조조정 차원에서 자회사 매각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산이 감소할 수 있지만, 지분법평가이익이 그 이상 발생하고 있어 감소하지는 않을 듯하다.
당좌자산은 4,800억원 감소하였지만, 반기에는 4,280억원 증가하였다. 주로 부채상환때문이다. 그 결과 차입금순감소액이 4,300억원 이다.
총부채는 1조 1,400억원 감소했다. 반면에 자기자본은 1조, 9,7800억원 증가했다. 반기에 막대한 순이익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유형자산은 작으나마 계속 감소추세이다. 감가상각 수준의 기계장치 등에 대한 설비투자도 없다는 이야기다. 부채를 많이 상환했다는 점, 현금으로 매입한 관계회사 지분이 적다는 점은 긍정적인 자산구조의 변화인 반면, 유형자산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부정적인 측면이다.
2) 부채구조의 변화와 신용등급의 상승
SK의 국내.외 신용평가기관에 의한 신용등급은 한 등급 상승했다. 외국의 신용평가기관의 평가는 BB+(안정)에서BB+(긍정)으로 상승했다. 약간 상승한 것이다. 현재 부채는 1조 1,400억원 감소했다. 차입금등과 함께 보증충당금 5,000억원이 감소했다. 이자비용이 나가는 차입금이 감소하면서, 유동부채가 감소하고, 부채비율이 낮아진 것은 부채구조가 좋아졌음을 의미한다.
2. 매출의 변화와 수익성
1) 판매가격의 상승과 매출의 증가
매출변화를 보면 반기매출은 1조 9,800억원 증가했다. 내수와 수출 모두 증가했는데, 내수 7,800억원, 수출이1조2,000억원 증가했다. 매출증가는 판매 가격 상승이 주요인이고, 부차적으로 판매량 증가때문이었다. 매출증가 중 수출이 대폭 증가한 것은 특기할만하다. 그 동안 석유 매출의 대부분은 국내매출이었는데, 세계적으로 석유정제시설의 공급부족 때문에 국내 시장의 침체에도 수출은 대폭 증가한 것이다.
2) 영업이익의 하락은 원유가 상승때문인가
매출총이익율은 전기에 비해 4.3%나 하락했다. 동시에 영업이익율도 3.2%나 하락했다. 회사에서는 원유원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익율 하락의 원인을 더 살펴보면, 원유가격이 상승한 것도 원인이 되겠지만, 그와 함께 원화가치가 비교적 안정되었기 때문이다. 원유가격이 올랐음에도 원화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실제 매출원가에 반영되는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그리고 원유가격 상승을 수출가격에 반영하지 못한 것도 원인의 하나이다. 전기에는 원유가격이 오른 만큼 판매가격 역시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9,500억원 증가하였다. 그런데 1,280억원 감소했다. 주된 이유는 판매관리비가 아닌 매출총이익이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결국 전기에 비해 영업이익율이 3.2%나 하락했다. 영업이익의 하락은 석유사업부문의 하락이 주도했다. 석유사업부문에서만 영업이익의 감소가 대략 2,000억원 가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회사에서는 유가상승 때문에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했다고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유가와 환율 요인 외 다른 원인은 없는가? S-OIL의 영업이익 변화를 보면, 영업이익율이 2.4%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석유사업이 대부분이고, 원유도입조건이 SK보다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는 S-OIL의 영업이익율 하락에 비해 SK가 더 크게 영업이익율이 하락한 것은 단지 원유가 때문인지는 좀 더 살펴볼 여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판매관리비
판매관리비는 274억원 감소하였는데, 가장 주요한 이유는 대손상각비가 2,579억원 줄었기 때문이다. 발생하지 않아도 될 네트웍스 관련 대손상각비 2,579억원이 줄어드는 바람에 전체 판매관리비 역시 274억원 감소한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2,305억원 증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급여가 535억원, 50% 증가하였다. 판매관리비에 있는 급여는 관리직 인건비인 데, 조합원 급여(제조원가상 급여가 대부분)가 34% 증가한 것에 비하면 대단히 많이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물론 급여에 스톡
현재 세계는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디지털 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경쟁력 있는 기업은 세계시장을 석권할 수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은 그 어디에도 설자리가 없는 글로벌 경쟁의 시대이기도 하다.
21세기 디지털 시대에는 기업이 보유한 지식으로 승부가 가려진다. 지식이라는 자원은 쓰면 쓸수록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해내는 무한자원이기 때문이다. SK는 전구성원이 보유하고 있는 Intangible Assets을 총동원하여 미래의 신 산업을 발굴, 육성하는 일에도 앞서 가고 있다. 더불어 앞으로 최대 성장산업이 될 생명과학 분야와 e-Commerce등의 신 사업을 본격 추진함으로서 SK의 새로운 성장 기반을 공고히 다져나가고 있다. 21세기 지식경영, 가치경영 SK는 한 발 앞서가고 있다.
SK가 바라는 인재는 글로벌 상황 속에서 국제적인 안목과 능력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패기 있는 사람이다. 그러한 사람만이 다가오는 미래를 지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요약하면
-패기(사고는 적극적으로 / 행동은 진취적으로 / 일처리는 빈틈없고 야무지게)
-경영지식
-경영에 부수된 지식
-사교자세
-가정 및 건강관리수준이 높고 계속 함양시켜 나갈 수 있는 사람
Ⅴ. SK(SK그룹)의 부채비율
당사의 부채비율은 152%이다. 차입금은 약 6조7천억원 수준이며, 이중 단기차입금이 2조7천억원, 장기차입금이 4조원 이다. 단기차입금은 대부분 원유수입을 위한 무역금융(Usance)이며, 장기차입금은 대부분 국내에서 발행된 회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Ⅵ. SK(SK그룹)의 재무상황
1. 자산/부채/자본
1) 관계회사 주식의 증가와 자산의 소폭 증가
총자산은 1,700억원 감소했다가 6월말에는 다시 1조원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8,300억원 이상 증가했다. 반면에 투자자산은 6,630억원 증가했다. 대부분 지분법평가이익의 증가때문이다. 사업구조조정 차원에서 자회사 매각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산이 감소할 수 있지만, 지분법평가이익이 그 이상 발생하고 있어 감소하지는 않을 듯하다.
당좌자산은 4,800억원 감소하였지만, 반기에는 4,280억원 증가하였다. 주로 부채상환때문이다. 그 결과 차입금순감소액이 4,300억원 이다.
총부채는 1조 1,400억원 감소했다. 반면에 자기자본은 1조, 9,7800억원 증가했다. 반기에 막대한 순이익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유형자산은 작으나마 계속 감소추세이다. 감가상각 수준의 기계장치 등에 대한 설비투자도 없다는 이야기다. 부채를 많이 상환했다는 점, 현금으로 매입한 관계회사 지분이 적다는 점은 긍정적인 자산구조의 변화인 반면, 유형자산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부정적인 측면이다.
2) 부채구조의 변화와 신용등급의 상승
SK의 국내.외 신용평가기관에 의한 신용등급은 한 등급 상승했다. 외국의 신용평가기관의 평가는 BB+(안정)에서BB+(긍정)으로 상승했다. 약간 상승한 것이다. 현재 부채는 1조 1,400억원 감소했다. 차입금등과 함께 보증충당금 5,000억원이 감소했다. 이자비용이 나가는 차입금이 감소하면서, 유동부채가 감소하고, 부채비율이 낮아진 것은 부채구조가 좋아졌음을 의미한다.
2. 매출의 변화와 수익성
1) 판매가격의 상승과 매출의 증가
매출변화를 보면 반기매출은 1조 9,800억원 증가했다. 내수와 수출 모두 증가했는데, 내수 7,800억원, 수출이1조2,000억원 증가했다. 매출증가는 판매 가격 상승이 주요인이고, 부차적으로 판매량 증가때문이었다. 매출증가 중 수출이 대폭 증가한 것은 특기할만하다. 그 동안 석유 매출의 대부분은 국내매출이었는데, 세계적으로 석유정제시설의 공급부족 때문에 국내 시장의 침체에도 수출은 대폭 증가한 것이다.
2) 영업이익의 하락은 원유가 상승때문인가
매출총이익율은 전기에 비해 4.3%나 하락했다. 동시에 영업이익율도 3.2%나 하락했다. 회사에서는 원유원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익율 하락의 원인을 더 살펴보면, 원유가격이 상승한 것도 원인이 되겠지만, 그와 함께 원화가치가 비교적 안정되었기 때문이다. 원유가격이 올랐음에도 원화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실제 매출원가에 반영되는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그리고 원유가격 상승을 수출가격에 반영하지 못한 것도 원인의 하나이다. 전기에는 원유가격이 오른 만큼 판매가격 역시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9,500억원 증가하였다. 그런데 1,280억원 감소했다. 주된 이유는 판매관리비가 아닌 매출총이익이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결국 전기에 비해 영업이익율이 3.2%나 하락했다. 영업이익의 하락은 석유사업부문의 하락이 주도했다. 석유사업부문에서만 영업이익의 감소가 대략 2,000억원 가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회사에서는 유가상승 때문에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했다고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유가와 환율 요인 외 다른 원인은 없는가? S-OIL의 영업이익 변화를 보면, 영업이익율이 2.4%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석유사업이 대부분이고, 원유도입조건이 SK보다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는 S-OIL의 영업이익율 하락에 비해 SK가 더 크게 영업이익율이 하락한 것은 단지 원유가 때문인지는 좀 더 살펴볼 여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판매관리비
판매관리비는 274억원 감소하였는데, 가장 주요한 이유는 대손상각비가 2,579억원 줄었기 때문이다. 발생하지 않아도 될 네트웍스 관련 대손상각비 2,579억원이 줄어드는 바람에 전체 판매관리비 역시 274억원 감소한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2,305억원 증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급여가 535억원, 50% 증가하였다. 판매관리비에 있는 급여는 관리직 인건비인 데, 조합원 급여(제조원가상 급여가 대부분)가 34% 증가한 것에 비하면 대단히 많이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물론 급여에 스톡
추천자료
lg텔레콤,sk텔레콤,ktf 2005년,2006년,2007년 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기업분석
sk텔레콤의 재무분석과 배당정책
금호석유화학 재무분석(기업분석)
롯데쇼핑 재무분석(기업분석)
[경영전략] 삼성중공업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 (2005~2007)
[경영전략] 삼성전자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 (2005년~2007년)
[경영전략] SK텔레콤 vs LG텔레콤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재무분석 (2005년~2007년)
[경영전략] KTF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 (2005~2007)
[기업분석, 경영전략] STX조선 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
[기업분석] STX조선과 삼성중공업의 재무제표분석 (2005-2007)
[기업분석, 경영전략] POSCO(포스코), 현대제철의 재무제표분석 (2005-2007)
[기업분석, 경영전략] 포스코(POSCO)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
[기업분석, 경영전략] 현대제철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
2012년도와 2013년도 유한양행의 재무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