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배우의 의의
Ⅲ. 배우의 특징
Ⅳ. 배우와 토론연극
Ⅴ. 배우와 연기
Ⅵ. 배우와 이미지연극
Ⅶ. 배우와 무대연기
1. 일상 속에서의 연기를 이해할수록 무대의 연기를 더욱 이해하게 된다
2. 무대 연기가 지닌 특성(차이점)
Ⅷ. 배우의 현황
Ⅸ. 배우의 전망
참고문헌
Ⅱ. 배우의 의의
Ⅲ. 배우의 특징
Ⅳ. 배우와 토론연극
Ⅴ. 배우와 연기
Ⅵ. 배우와 이미지연극
Ⅶ. 배우와 무대연기
1. 일상 속에서의 연기를 이해할수록 무대의 연기를 더욱 이해하게 된다
2. 무대 연기가 지닌 특성(차이점)
Ⅷ. 배우의 현황
Ⅸ. 배우의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떻게 하면 우리의 현실로부터 억압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상태로 만들어낼 수 있는가를 이미지를 교정함으로써 눈에 보이는 형태로 드러내도록 한다. 그들은 반드시 가능한 변화의 이미지를 보여주어야만 한다.관객-배우들은 반드시 신속하게 자신을 표현해야만 하는데, 그것은 그들이 말로써 먼저 생각한 다음 그 말을 구체적인 표현으로 번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미지 연극의 목적은 관객-배우들을 마치 조각가처럼 이미지로 생각하고 말하도록 만드는 데에 있다. 그 변화의 과정이 완성되면 \'조각상들\' 스스로가 느린 동작이나 일련의 정지동작으로 그것을 보여주는데, 이 때 각 \'조각\'(배우)는 자신의 개인적 특성을 보여서는 안되면 오직 역할상의 인물로 행동해야 한다.
Ⅶ. 배우와 무대연기
1. 일상 속에서의 연기를 이해할수록 무대의 연기를 더욱 이해하게 된다
--유사성. 일상에서의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들(말, 몸짓, 바디랭귀지, 음성톤, 의도의 암시 등)은 배우들이 등장인물 표현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다.
->나아가 배우는 무대 위에서 사회적인 역할과 개인적인 역할을 함께 연기한다.
예) 가정주부로 분한 여배우
2. 무대 연기가 지닌 특성(차이점)
1)무대 위에 선 배우는 줄곧 관찰의 대상이 된다. *사건(일상/극중) 현장의 목격자.
2)배우는 실생활에서 경험이 없는 역할을 연기하기도 한다.
부자의 금전문제 다툼 부부의 아이문제 다툼 등등
->배우가 자신의 개인적 경험과 동떨어진 역을 연기하려면, 상상력과 재능을 발휘해야 한다.
3)극중 연기는 언제나 의식적이다. - 배우와 관객 서로가 연기는 사전에 계획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역설적으로, 실생활 보다 더 진실하게 재현된다.
생크(Thedore Shank)-\"연기는 가장이 아니다. 사기꾼은 자신이 사기꾼이 아닌척하듯, 배우는 자신이 맥베드인 척하지 않는다. 그 대신 배우는 하나의 환영(illusion)으로 전달 될 어떤 모습을 창조해 나간다.”
--즉 무대 위에 선 등장인물-잔다르크, 안티고네, 오이디푸스, 햄릿-은 어떤 인물에 대한 하나의 상징이나 이미지이다.
--등장인물은 극작가에 의해 창조되어 배우의 몸을 빌어 관객에게 전달되는 허구적 인물이다.
작가의 ‘의도’ -연출가의 ‘해석’ - 배우의 ‘구체화’ - 관객에게 ‘전달’
Ⅷ. 배우의 현황
한국연극협회에 가입되어 있는 극단 수는 101개이고 연극연출가는 110명이다. 연극연출가의 대부분은 극단대표로 있으면서 연출을 맡기 때문에 배우 및 스텝관리뿐만 아니라 극단전반의 경영과 재정에 대해서도 신경써야 한다. 연극배우는 서울과 지방에 각각 약 1,500명씩 약 3,000명의 배우가 있으나 지방의 경우 실제 활동하는 인원은 이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보이며 연극배우들의 성비는 50%씩 남녀배우의 비율이 비슷하다. 적게는 4~5명의 단원이 이끌어 가는 극단도 있으나 대개 수습단원, 준단원, 정단원을 포함해 약 20~30명의 단원들이 있다. 오디션을 거쳐 수습단원이 되면 기본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을 받고 포스터 작업 등 기획작업 및 워크
Ⅶ. 배우와 무대연기
1. 일상 속에서의 연기를 이해할수록 무대의 연기를 더욱 이해하게 된다
--유사성. 일상에서의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들(말, 몸짓, 바디랭귀지, 음성톤, 의도의 암시 등)은 배우들이 등장인물 표현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다.
->나아가 배우는 무대 위에서 사회적인 역할과 개인적인 역할을 함께 연기한다.
예) 가정주부로 분한 여배우
2. 무대 연기가 지닌 특성(차이점)
1)무대 위에 선 배우는 줄곧 관찰의 대상이 된다. *사건(일상/극중) 현장의 목격자.
2)배우는 실생활에서 경험이 없는 역할을 연기하기도 한다.
부자의 금전문제 다툼 부부의 아이문제 다툼 등등
->배우가 자신의 개인적 경험과 동떨어진 역을 연기하려면, 상상력과 재능을 발휘해야 한다.
3)극중 연기는 언제나 의식적이다. - 배우와 관객 서로가 연기는 사전에 계획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역설적으로, 실생활 보다 더 진실하게 재현된다.
생크(Thedore Shank)-\"연기는 가장이 아니다. 사기꾼은 자신이 사기꾼이 아닌척하듯, 배우는 자신이 맥베드인 척하지 않는다. 그 대신 배우는 하나의 환영(illusion)으로 전달 될 어떤 모습을 창조해 나간다.”
--즉 무대 위에 선 등장인물-잔다르크, 안티고네, 오이디푸스, 햄릿-은 어떤 인물에 대한 하나의 상징이나 이미지이다.
--등장인물은 극작가에 의해 창조되어 배우의 몸을 빌어 관객에게 전달되는 허구적 인물이다.
작가의 ‘의도’ -연출가의 ‘해석’ - 배우의 ‘구체화’ - 관객에게 ‘전달’
Ⅷ. 배우의 현황
한국연극협회에 가입되어 있는 극단 수는 101개이고 연극연출가는 110명이다. 연극연출가의 대부분은 극단대표로 있으면서 연출을 맡기 때문에 배우 및 스텝관리뿐만 아니라 극단전반의 경영과 재정에 대해서도 신경써야 한다. 연극배우는 서울과 지방에 각각 약 1,500명씩 약 3,000명의 배우가 있으나 지방의 경우 실제 활동하는 인원은 이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보이며 연극배우들의 성비는 50%씩 남녀배우의 비율이 비슷하다. 적게는 4~5명의 단원이 이끌어 가는 극단도 있으나 대개 수습단원, 준단원, 정단원을 포함해 약 20~30명의 단원들이 있다. 오디션을 거쳐 수습단원이 되면 기본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을 받고 포스터 작업 등 기획작업 및 워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