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상승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음상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모음상승의 정의

Ⅲ. 모음상승의 유형
1. 에 → 이
- 용례 제시 및 설명
2. 어 → 으
- 용례 제시 및 설명
3. 오 → 우
- 용례 제시 및 설명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
③ 어휘 형태소 내부에서의 ‘에→이’가 대부분 어두 위치의 장음에 한정. 장음이 아닌 환경임에도 ‘에→이’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가 있어 절대적인 조건은 아니나 숫자적 우위로 보아 서울말에서 ‘에→이’가 어두 위치의 장음이라는 음운론적 조건하에서 수행되었음을 보여줌.
2) 전남방언에서 나타나는 ‘에→이’의 실현
① ‘에→이’가 상당히 생산적인 모습을 보임.
② 어휘적 확산이 폭넓게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비어두 위치에서도 ‘에→이’가 실현되고 있음.
③ 장음이 아닌 환경에서도 자주 발견됨.
3) 천안방언에서 나타나는 ‘에→이’의 실현
① 천안방언에서도 ‘에→이’의 실현은 음장이 큰 역할을 한다.
② 한자어보다 순우리말에 적극적이다.
4) ‘에→이’ 실현의 공통점
① 음장이 가장 중요한 음운론적 동기를 가짐.
: 애초에 음장이 음운론적 기능을 발휘하는 어두 위치에서 발생하여, 음장이 그러한 기능을 갖지 못하는 비어두 위치나 문법형태소에까지 확대 적용되었던 것으로 보임.
② 모음상승은 규칙순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위에서 언급한 급여관계 인데 중부 방언권에서는 ‘건더기>건데기>건디기’. ‘구더기>구데기>구디기’와 같이 움라우트를 거쳐 ‘ㅔ>ㅣ’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천안방언에서 나타 나는 ‘지렁이→지링이’는 모음상승이 수직상승이라고 볼 때 불가능한 현상이다. 이는 일단 ‘지렁이가 ‘지렝이’로 먼저 움라우트를 겪음으로써 대각선으로 이루어 지지 못하던 모음상승이 적용받게 되어 수직상승의 결과로 ‘지렝이’가 ‘지링이’로 실현된 것이다. 류준, 「충남 연기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2006, pp. 34~35.
남부 방언권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보편적이다. 따라서 모음상승 현상은 남부방언에서 점차 북진한 것으로 판단된다.
③ ‘에→이’의 적용에 의한 어휘의 재구조화가 공통적으로 발견
ㄱ) 3인칭 비존칭 대명사 ‘저’의 주격형 ‘제가’가 모음상승에 의해 ‘지가’로 실현.
ㆍ지가 약을 드리죠. <서울>
ㆍ지가 술 한 잔얼 딱 내. <전남>
속격형 ‘제’ 역시 모음상승에 의해 ‘지’로 실현.
ㆍ지멋대루 어디 가구 싶으면 <서울>
ㆍ지 시 살 때 어머이가 죽었은께 <전남>
ㄴ) 2인칭 비존칭 대명사 ‘너’의 주격과 소유격으로 ‘네’가 아닌 ‘니’가 흔히     사용됨.
ㆍ니가 죽냐 내가 죽냐 한번 해보자 <전남>
그러나 이와 같은 재구조화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에→이’는 아직까지 <표준어 규정> 등의 규범적인 언어 정책의 수립 과정에서 하나의 언어 변화로서 수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오늘날 자연스러운 음성 변화로서의 효력이 점점 축소되고 있다. 젊은 층에서는 교육에 의한 이른바 철자 발음의 지배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는 것이다.
(2) ‘어 → 으’의 모음상승
 여기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조금씩 상이한 변이형으로 실현되는 모음상승 중에서 충청지방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는데, /ㅓ/[ㅡ]로의 변이를 설명하는데 있어 천안방언과 금산방언 쪽으로 편향되었음을 미리 밝힌다.
 ‘어 -> 으’ 의 모음상승은 중설모음위치에서 수행된 한 단계 수직 모음상승으로, 이 또한 개구도의 축소를 통해 조음상의 노력을 덜고자 하는 경향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어→으’의 모음상승을 살펴보기 전에 유의해야 할 점은, 현대 국어에서는 모음 음소 ‘어’//가 중설 중모음인 ‘어’[]와 후설저모음인 ‘어’[]를 변이음으로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이음은 중부 방언에서는 대체로 ①[]는 ‘어’가 장음일 때, ②단어의 첫 음절이 아닌 곳에 나타난다. 이와 비교적으로, []는 단어의 첫 음절에서 ‘어’가 단음일 때 나타난다. 이제부터, 어두 위치에 올 경우와 비어두 위치에 올 경우, 모음상승이 형태론적 제약을 받을 경우를 여러 용례를 가지고 살펴보기로 한다.
1) 어두 위치
① 고유어 어두 위치에 장음 ‘어’[:]
-용례 : 거지 한가지여 → [그지 한가지여] 거짓말 → [그짐말]
거머리 → [그머리] 더럽게 → [드럽게]
어른 → [으른] 서러워 → [스러워]
거들어 주고 → [그둘어주구] 처녀 →[츠녀]
※ 어두에 위치하기 때문에 선행하는 자음의 종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으’로의     모음상승이 생산적으로 실현됨을 볼 수 있다.
② 어말 자음을 가진 경우
-용례 : 넣고 → [느쿠] 전화 넣고서 → [즈나 느크서]
넣어도 → [느두] 넣+면 → [느문]
넣어서 → [느서] 넣었다는 거 → [느따능거]
넣었다가 → [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