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텍스트 분할
1. 줄 분리
2. 단어 분리
Ⅱ. 코드 분할
Ⅲ. 공개키 암호 코프로세서 분할
Ⅳ. 파티션 분할
Ⅴ. HW/SW(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할
1. 프레임웍에 근거한 HW/SW 분할 시스템 구현
2. Ptolemy를 이용한 통합 시뮬레이션
Ⅵ. 파장 분할
Ⅶ. 시분할
참고문헌
1. 줄 분리
2. 단어 분리
Ⅱ. 코드 분할
Ⅲ. 공개키 암호 코프로세서 분할
Ⅳ. 파티션 분할
Ⅴ. HW/SW(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할
1. 프레임웍에 근거한 HW/SW 분할 시스템 구현
2. Ptolemy를 이용한 통합 시뮬레이션
Ⅵ. 파장 분할
Ⅶ. 시분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할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2. Ptolemy를 이용한 통합 시뮬레이션
Ptolemy10)는 디지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과 합성을 위한 통합 환경으로, 전체 시스템을 통일되고 일반적인 언어로 기술하지 않고, 각 서브시스템에 적합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고, 각각의 이질적인 표현 방식들 간에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 특히 Ptolemy는 이질적 기술들간의 막강한 변환 기능을 갖추고 있어, 제안한 Greedy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결과인 CDFG를 C와 VHDL로 변환한 다음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의 Ptolemy를 이용해서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현재까지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관계로 정확한 실험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의 구축이 완료되면 제안한 알고리즘에 의한 HW/SW 분할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간 시스템의 대표적 예인 Control System을 SpecCharts를 이용해 기술하고, 제안한 절차에 의해 HW/SW 분할 및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그 성능을 평가할 것이다. SpecCharts 언어를 이용해서 실시간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웹-기반 SpecCharts 기술 환경을 보여준다.
Ⅵ. 파장 분할
광섬유의 큰 매력 중 하나는 매우 넓은 주파수 영역에 걸쳐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2dB/km의 손실을 기준으로 한다면 약 130THz 구간(100nm)의 대역폭을 가지게 된다.(참고: THz = 1012Hz) 현재까지의 광통신 기술은 이 넓은 전송 가능 구간 중 1310nm 부근에서 단지 수백 MHz~수 GHz 폭의 한 채널만 사용해 왔었다. WDM 전송은 이 넓은 대역을 최대한 활용해 보자는 생각에서 출발한 전송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파장은 1310nm 영역과 1550nm 영역이다. 최근 1550nm 영역에서 동작하는 에르븀 첨가 광증폭기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파장분할 다중화의 연구는 주로 이 파장 부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일정한 파장 간격으로 채널을 배치하여 각 채널에 신호를 실은 후, 여러 채널을 광학적으로 다중화하여 한 개의 광섬유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는 한 개의 광섬유 코어에 한 개의 파장만을 실어 보냈으나, WDM 전송에서는 여러 개의 파장을 하나로 묶어서 보내며, 수신 측에서는 각 채널을 파장별로 분해하여 각 채널을 별도로 활용한다.
Ⅶ. 시분할
◎ 시분할처리시스템(Timesharing)
*여러 대의 터미널을 사용 데이터를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
한 대의 컴퓨터에 다수의 단말 장치를 연결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의 각종 자원을 시간적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동시에 대화식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대화형 또는 인터렉티브(Interactive)방식이라함
시스템은 할달된 시간만큼 사용자에게 서비스한후 다른 사용자로 신속히 전환하기
2. Ptolemy를 이용한 통합 시뮬레이션
Ptolemy10)는 디지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과 합성을 위한 통합 환경으로, 전체 시스템을 통일되고 일반적인 언어로 기술하지 않고, 각 서브시스템에 적합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고, 각각의 이질적인 표현 방식들 간에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 특히 Ptolemy는 이질적 기술들간의 막강한 변환 기능을 갖추고 있어, 제안한 Greedy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결과인 CDFG를 C와 VHDL로 변환한 다음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의 Ptolemy를 이용해서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현재까지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관계로 정확한 실험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의 구축이 완료되면 제안한 알고리즘에 의한 HW/SW 분할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간 시스템의 대표적 예인 Control System을 SpecCharts를 이용해 기술하고, 제안한 절차에 의해 HW/SW 분할 및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그 성능을 평가할 것이다. SpecCharts 언어를 이용해서 실시간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웹-기반 SpecCharts 기술 환경을 보여준다.
Ⅵ. 파장 분할
광섬유의 큰 매력 중 하나는 매우 넓은 주파수 영역에 걸쳐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2dB/km의 손실을 기준으로 한다면 약 130THz 구간(100nm)의 대역폭을 가지게 된다.(참고: THz = 1012Hz) 현재까지의 광통신 기술은 이 넓은 전송 가능 구간 중 1310nm 부근에서 단지 수백 MHz~수 GHz 폭의 한 채널만 사용해 왔었다. WDM 전송은 이 넓은 대역을 최대한 활용해 보자는 생각에서 출발한 전송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파장은 1310nm 영역과 1550nm 영역이다. 최근 1550nm 영역에서 동작하는 에르븀 첨가 광증폭기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파장분할 다중화의 연구는 주로 이 파장 부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일정한 파장 간격으로 채널을 배치하여 각 채널에 신호를 실은 후, 여러 채널을 광학적으로 다중화하여 한 개의 광섬유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는 한 개의 광섬유 코어에 한 개의 파장만을 실어 보냈으나, WDM 전송에서는 여러 개의 파장을 하나로 묶어서 보내며, 수신 측에서는 각 채널을 파장별로 분해하여 각 채널을 별도로 활용한다.
Ⅶ. 시분할
◎ 시분할처리시스템(Timesharing)
*여러 대의 터미널을 사용 데이터를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
한 대의 컴퓨터에 다수의 단말 장치를 연결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의 각종 자원을 시간적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동시에 대화식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대화형 또는 인터렉티브(Interactive)방식이라함
시스템은 할달된 시간만큼 사용자에게 서비스한후 다른 사용자로 신속히 전환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