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종교(宗敎)와 신학(神學)
1) 인간에게 있어 종교의 의미
2) 종교의 기원과 발전
2. 삼국의 불교 수용
1) 불교의 기원과 유입
2) 고구려의 불교
3) 백제의 불교
4) 신라의 불교
3. 불교 수용의 역할
1) 불교를 통한 왕권 강화
2) 소수 귀족 중심의 지배 체계 확립
4. 삼국 불교의 변화
1) 불교의 대중화, 선종(宣宗)
2) 경전의 깊은 의미, 교종(敎宗)
5. 삼국 불교의 의의
1) 권력 신장의 도구로부터 민중의 동반자까지
1) 인간에게 있어 종교의 의미
2) 종교의 기원과 발전
2. 삼국의 불교 수용
1) 불교의 기원과 유입
2) 고구려의 불교
3) 백제의 불교
4) 신라의 불교
3. 불교 수용의 역할
1) 불교를 통한 왕권 강화
2) 소수 귀족 중심의 지배 체계 확립
4. 삼국 불교의 변화
1) 불교의 대중화, 선종(宣宗)
2) 경전의 깊은 의미, 교종(敎宗)
5. 삼국 불교의 의의
1) 권력 신장의 도구로부터 민중의 동반자까지
본문내용
의 대립을 넘어 서로 조화하여 하나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원효대사의 깨달음에서 기인한다. 당시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던 중 어둠 속에서 해골물을 마시면서 그는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된다. ‘모든 만물의 시초가 한마음에서 발행하여 한마음으로 다시온다’ 라는 마음의 순수성에 대해 알게 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그가 주장한 일심사상이다. 일심사상을 기본으로 한 각 종파간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한 그의 노력은 또한 일반 백성들에게 향하게 된다.
불교의 깨달음이 경서에만 있지 않음에 대해 새롭게 안 그는 백성들에게 설법하기 시작한다. 철학적 특성이 강한 불교의 경서가 아닌 일반 민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내세의 염원을 바라는 아미타 신상을 보급한 것이다. 교리를 우선으로 하는 교종(敎宗)이 아닌 마음의 깨달음을 중심으로 하는 선종(宣宗)의 전파를 통해 일반 민중은 불교와 가까워졌고, 더 이상 불교는 귀족만의 전유물을 벗어나 모든 사람의 공통적인 종교가 된 것이다. 참된 의미의 국교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2) 경전의 깊은 의미, 교종(敎宗)
불교의 대중화를 이끈 인물이 원효대사였다면 경서의 깊은 내용을 더욱 체계화하고 연구해 보급한 것은 바로 그의 동료 의상이었다. 원효대사와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던 그는 원효대사가 깨달음을 얻고 떠난 뒤 당나라에서 홀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다. 당나라에서 그가 배운 것은 바로 화엄사상이었다. 그 근본된 내용은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라는 사상으로 의상은 이 화엄사상의 핵심을 뽑아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기에 이른다. 이 책은 당시 신라의 전제왕권을 사상적으로 뒷받침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지배층의 권위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의상대사가 설법한 내용은 현세의 고난을 넘어서기 위한 존재인 관세음보살에 관한 내용이었다. 현재의 나를 채워나감을 통해 내세의 나를 더욱 확고히 하고자 하는 가르침으로 이는 왕족과 귀족들의 큰 인기를 끌게 된다.
5. 삼국 불교의 의의
1) 권력 신장의 도구로부터 민중의 동반자까지
삼국의 불교를 살펴보면 그 시작은 지배층의 강화라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그러나 후에 민중에게로 넘어와 대중화가 되면서부터는 힘든 민중의 삶을 어루만지는 위로자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는 삼국 모두 마찬가지다.
현대 사회에서 불교의 의미가 힘든 국민들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깨달음을 주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임을 생각할 때 이러한 움직임의 시작이 바로 우리나라 불교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삼국 시대 불교의 역사를 보면 결국 모든 사상은 지배층에서 점점 민중에게로 넘어오면서 변화해 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 불교의 수립이 권력의 신장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중앙집권적 요소를 마련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으나 후에는 민중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삶의 희망을 심어주는 요소로 발전했다. 오늘날 불교가 이 나라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생각해보면 이러한 움직임의 시작은 삼국 시대가 그 시작이었음을 생각해 본다.
불교의 깨달음이 경서에만 있지 않음에 대해 새롭게 안 그는 백성들에게 설법하기 시작한다. 철학적 특성이 강한 불교의 경서가 아닌 일반 민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내세의 염원을 바라는 아미타 신상을 보급한 것이다. 교리를 우선으로 하는 교종(敎宗)이 아닌 마음의 깨달음을 중심으로 하는 선종(宣宗)의 전파를 통해 일반 민중은 불교와 가까워졌고, 더 이상 불교는 귀족만의 전유물을 벗어나 모든 사람의 공통적인 종교가 된 것이다. 참된 의미의 국교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2) 경전의 깊은 의미, 교종(敎宗)
불교의 대중화를 이끈 인물이 원효대사였다면 경서의 깊은 내용을 더욱 체계화하고 연구해 보급한 것은 바로 그의 동료 의상이었다. 원효대사와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던 그는 원효대사가 깨달음을 얻고 떠난 뒤 당나라에서 홀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다. 당나라에서 그가 배운 것은 바로 화엄사상이었다. 그 근본된 내용은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라는 사상으로 의상은 이 화엄사상의 핵심을 뽑아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기에 이른다. 이 책은 당시 신라의 전제왕권을 사상적으로 뒷받침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지배층의 권위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의상대사가 설법한 내용은 현세의 고난을 넘어서기 위한 존재인 관세음보살에 관한 내용이었다. 현재의 나를 채워나감을 통해 내세의 나를 더욱 확고히 하고자 하는 가르침으로 이는 왕족과 귀족들의 큰 인기를 끌게 된다.
5. 삼국 불교의 의의
1) 권력 신장의 도구로부터 민중의 동반자까지
삼국의 불교를 살펴보면 그 시작은 지배층의 강화라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그러나 후에 민중에게로 넘어와 대중화가 되면서부터는 힘든 민중의 삶을 어루만지는 위로자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는 삼국 모두 마찬가지다.
현대 사회에서 불교의 의미가 힘든 국민들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깨달음을 주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임을 생각할 때 이러한 움직임의 시작이 바로 우리나라 불교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삼국 시대 불교의 역사를 보면 결국 모든 사상은 지배층에서 점점 민중에게로 넘어오면서 변화해 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 불교의 수립이 권력의 신장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중앙집권적 요소를 마련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으나 후에는 민중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삶의 희망을 심어주는 요소로 발전했다. 오늘날 불교가 이 나라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생각해보면 이러한 움직임의 시작은 삼국 시대가 그 시작이었음을 생각해 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