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문화유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 문화유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 宗(종)旨(지)와 규범과 소속 사찰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종파와는 구별해야 한다. 따라서 건축 형식 역시 고유한 교학을 기준으로 하되 서로 간섭과 혼용은 당연했다고 보인다. 둘째, 이 시기는 역사상 유래가 없을 정도로 국제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당시 당나라는 동양의 중심 문화권을 형성하였고, 신라 역시 국제적으로 개방된 국가였다.
▷일본
나라시대(덴표, 天平) 710∼794
710년 C.E.수도가 나라로 옮겨지면서 불교는 나라불교라고 불리는 독특한 특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나라 불교란 중국의 각 시대에 걸쳐 번성했던 여섯 파의 교종을 망라한, 일본 불교교학의 전성기를 일컫는 말이다. 그 여섯 파란 구사종, 삼론종, 화엄종, 법상종, 율종, 그리고 성실종을 말한다.
이 시대의 불교는 불교도입 후 초창기에 해당되는 주로 수도에 집중되어 있었고 일반적으로 지배계급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8C에서 9C에 걸쳐 전국으로 점차 확산되어 나갔고 불교사상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또한 아스카(飛鳥) 하쿠호(白鳳)시대까지 지속되고 있던 지역성을 뛰어 넘어 일본 전국을 불교로 하나의 국가적인 통일체로 규합하려는 흐름이 진행된다.
일본에서는 초기부터 불교를 그들의 고유 신앙인 고신토(古神道)와 유사한 주술적 종교의 하나로 바라보았고, 또 샤머니즘적인 원시신앙적인 면으로 변용시켜 갔다. 그래서 그와 같은 목적으로 정치사회 불안을 제거하려는 목적으로써, 또는 국가를 보호하고 천재지변 등의 재앙을 소멸하고 복을 맞아들인다는 구복적본능적 욕구 등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불탑과 불상을 세웠던 것이다. 이러한 면은 일본 불교가 그들 조상 숭배와 강한 원시종교적 풍토 속에서 변형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불교사상은 새로운 내세에 대한 개념과 자선과 봉사에 관한 새로운 윤리적 가치들을 강조하였다. 이 시기 불교영향에 의해 매장이 감소되고 화장이 채택되었으며 살생을 금하여 당시의 일본인들 사이에 자리잡고 있던 호전적인 잔인성이 명백하게 감소하였으며 생선 외에 육식을 반대하는 편견이 늘어나게 되었다.
* 과연 토착적인 종교가 깊게 자리했던 이 시기의 일본에서 불교가 급속도로 확산될 수 있었던 원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 신토와 불교가 서로 다른 철학적 수준에서 작용하여 서로 심각하게 대립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그리고, 이미 중국에서 증명된 것과 같이 불교가 확산되면서 만났던 신앙들에 적용하고 또 여러 신앙들을 흡수할 수 있었던 불교의 능력 속에서 부분적으로 찾을 수 있으며, \'신토\'의 가미(神)들과 숭배가 부처들과 보편적인 불교 원리들의 종속적인 지역적 현시로서 불교에 조화될 수 있었다. \'신토\'의 불교에 대한 점증하는 종속은 12세기 신곤슈 승려들에 의해서 체계화되었으며 19세기에 비로소 \'신토\'는 불교로부터 다시 분리해 나가게 된다.
◎ 창건배경
▷ 중국
낙산 대불의 성립 역사적 배경은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미륵불이 있는 자리는 청의강, 대도하가 민강과 합류하는 지점으로 물살이 거세기로 유명하다. 그래서 빈번한 배사고가 있었다고 한다. 이에 해통 법사가 부처님의 힘을 빌어 사고를 막아 보자고 시작한 불사가 이 미륵불 건립이었다고 하는 설이다. 두 번째는 당나라 현종시대에 홍수가 잦아서 부처의 힘으로 어떻게 해보고자 90년의 세월을 들여서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 한국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삼국유사 향전에 의하면, 석불사(석굴암)는 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는 현생의 부모를 위하여 세워졌다 한다.
▷ 일본
첫째, 쇼무천황이 처음으로 노사나불을 접하고는 그 교리를 자신의 ‘왕권강화’ 라고하는 정치적 목적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였고, 대불과 천황을 결부시켜서 정치적으로 이용하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보통 불교학에서는 노사나불은 대광명(大光明)을 발산하고 온(十方)의 세계를 비추며, 또 그 지혜의 광명빛으로 중생을 해탈시킨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사찰의 금당에 본존으로서 대체적으로 석가불, 미륵불, 약사불을 안치하는 것이 상례였던 당시 일본에 있어서 노사나불은 그야말로 새로운 부처님이었던 것이다. 또 교리적으로도 노사나불은 모든 존재를 광명(光明)으로 비추어주는 태양과 같은 존재라고 설명되고 있었다. 즉, 모든 불보살(佛菩薩) 위에 위치하는 최고의 법불로서 모든 부처들 가운데서도 최고의 부처이기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2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