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마츠리란 무엇인가
1. 마츠리의 어원과 유래
2. 마츠리의 형태
3. 마츠리의 의미
4. 마츠리의 역사와 변천
5. 마츠리의 구성과 과정
5.1 제사적 측면 VS 축제적 측면
5.2 마츠리를 행하는 2가지 과정
5.3 신의 출현과 행사
5.4 도시 마츠리(박람회, 페스티발, 카니발)
6. 마츠리의 성격
6.1 서민문화의 성향이 강함
6.2 여러 형태와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의식문화이다.
6.3 씨족들이 운영하는 집단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6.4 질서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7. 마츠리의 역할과 기능
7.1 갈등해소의 기능
7.2 상업적 기능
7.3 사회적 기능
7.4 일본인에게 마츠리란
Ⅱ. 일본의 3대 마츠리와 각 지방의 마츠리
1. 일본의 3대 마츠리
1.1 도쿄(東京)의 간다마츠리(神田祭)
1.2 교토(京都)의 기온마츠리(祇園祭)
1.3 오사카(大阪)의 텐진마츠리(天神祭)
2. 동북지방의 3대 마츠리
2.1 아오모리의 네부타 마츠리(ねぶた祭)
2.2 센다이 다나바타 마츠리 (七夕祭)
2.3 아키타의 간토 마츠리(竿燈祭)
3. 그밖에 주요 마츠리
3.1 도오카에비스(十日戎)
3.2 유키(雪)마츠리
3.3 사이다이지 에요(西大寺會陽) 나체 축제
3.4 오미즈토리(お水取り)
3.5 온바시라마츠리(御柱祭)
3.6 하카다돈타쿠(博多どんたく)
3.7 치노와 신지(茅の輪神事)
3.8 나치노히마츠리(那智の火祭)
3.9 하카타기온야마가사(博多祇圓山笠)
3.10 아와오도리(阿波踊り)
3.11 지다이 마츠리(時代祭)
3.12 가라쓰쿤치(唐津くんち)
3.13 이나호마츠리(稻穗祭り)
3.14 시리츠미 마츠리(尻摘み祭り)
3.15 가마쿠라
3.16 치치부 요마츠리(秩父市 秩父の夜祭り)
3.17 나마하게 마츠리(なまはげ)
1. 마츠리의 어원과 유래
2. 마츠리의 형태
3. 마츠리의 의미
4. 마츠리의 역사와 변천
5. 마츠리의 구성과 과정
5.1 제사적 측면 VS 축제적 측면
5.2 마츠리를 행하는 2가지 과정
5.3 신의 출현과 행사
5.4 도시 마츠리(박람회, 페스티발, 카니발)
6. 마츠리의 성격
6.1 서민문화의 성향이 강함
6.2 여러 형태와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의식문화이다.
6.3 씨족들이 운영하는 집단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6.4 질서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다.
7. 마츠리의 역할과 기능
7.1 갈등해소의 기능
7.2 상업적 기능
7.3 사회적 기능
7.4 일본인에게 마츠리란
Ⅱ. 일본의 3대 마츠리와 각 지방의 마츠리
1. 일본의 3대 마츠리
1.1 도쿄(東京)의 간다마츠리(神田祭)
1.2 교토(京都)의 기온마츠리(祇園祭)
1.3 오사카(大阪)의 텐진마츠리(天神祭)
2. 동북지방의 3대 마츠리
2.1 아오모리의 네부타 마츠리(ねぶた祭)
2.2 센다이 다나바타 마츠리 (七夕祭)
2.3 아키타의 간토 마츠리(竿燈祭)
3. 그밖에 주요 마츠리
3.1 도오카에비스(十日戎)
3.2 유키(雪)마츠리
3.3 사이다이지 에요(西大寺會陽) 나체 축제
3.4 오미즈토리(お水取り)
3.5 온바시라마츠리(御柱祭)
3.6 하카다돈타쿠(博多どんたく)
3.7 치노와 신지(茅の輪神事)
3.8 나치노히마츠리(那智の火祭)
3.9 하카타기온야마가사(博多祇圓山笠)
3.10 아와오도리(阿波踊り)
3.11 지다이 마츠리(時代祭)
3.12 가라쓰쿤치(唐津くんち)
3.13 이나호마츠리(稻穗祭り)
3.14 시리츠미 마츠리(尻摘み祭り)
3.15 가마쿠라
3.16 치치부 요마츠리(秩父市 秩父の夜祭り)
3.17 나마하게 마츠리(なまはげ)
본문내용
로 세우는 사토비키제(里曳祭)로 나뉜다.
이 중 하이라이트인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의 풍물을 소개하는 TV 프로그램에서 가끔 볼 수 있는 지름 1m, 길이 16m, 무게 12톤에 달하는 거대한 나무를 타고 경사 30도의 급한 비탈에서 거목을 떨어뜨리는 기오토시(木落し)가 매우 유명하다.
TV를 통해 전국에 방영될 만큼 유명하며, 부상자는 물론이고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위험하기 그지없지만 「온바시라마츠리」가 열리는 2달 동안은 스와 인근은 거의 정열의 도가니가 된다. 이 외에도 하천을 건너는 가와오코시(川越し), 기둥을 신사에 세우는 다테온바라(建御柱)등 매우 볼거리가 많다.
3.6 하카다돈타쿠(博多どんたく 행사일: 5월3일부터 4일)
돈타쿠란 네덜란드어 Zondag에서 전래된 말로 휴일이란 의미가 있다.5월 3일-4일 후쿠오카시(福岡市)의 하카타(博多)에서 행해지는 시민축제로 남녀노소가 3-4일 샤모지(シャモジ)를 두드리며 행진한다. 칠복신(七福神)의 에비스(惠比壽), 다이코쿠(大黑)등으로 가장한 사람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그 외 여러 가지 예술행사가 열린다. 또 이 날은「본치카아이야, 넨네시나(ぼんちかわいや,ねんねしな)」라는 노래로, 이 마츠리 로 시 전체가 들끓는다고 한다. 옛날에는 마쯔바야시라고도 했으며 약400년 전 하카다 상인이 축전영주(築前領主)가 있는 성에 3복신, 어린아이, \"토오리몬(通りもん:행운을 기원하며 걷는 모습, 형태)\"으로 이뤄진 「마쯔바야시(松ばやし: 솔잎)」를 준비해서 신년인사를 갔었던 것에서 유래된 것 이지만,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토오리몬」이 주민들 사이에서 자유스러운 인사법으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3.7 치노와 신지(茅の輪神事 행사일: 6월30일)
6월 30일 전국각지의 신사에서 행해진다.
사람을 본떠 만든 종이인형에 이름과 나이를 쓴 후 입김을 불어넣는다. 또는 몸 상태가 좋지 않은 부분을 인형으로 문지른다. 그러면 인형이 대신하여 여름철 액막이를 해준다고 하는 신앙이다. 참배하는 사람에게 띠로 만든 동그라미 속(치노와)을 빠져나가게 하여 액막이를 해준다. 옛날 스사노오노미코토(須左之男命)가 하룻밤의 숙소를 마련해준 소민소라이(蘇民將來)에게 치노와를 허리에 차면 여름의 좋지 않은 병을 막을 수 있다고 가르쳐 준 전설에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3.8 나치노히마츠리(那智の火祭. 행사일: 7월14일)
일본의 3대 불 마츠리 중 하나인 와카야마(和歌山), 나치(那智)의 히마츠리(火祭:불대제)는 매년 7월 14일에 거행 되는 연례대제로, 원래는 음력 6월 14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호장한 오타이마츠(大松明)를 태워「나치의 히마츠리」라고 이름 붙여진 것이나, 원래 정식명칭은「오우기마츠리(扇祭)」이다.
옛날 진무(神武)천황이 정벌을 위해 나치(那智)의 오타키(大)폭포에서 제를 올릴 때 번뜩 영감이 떠올라, 폭포에 신전(:지금의 히로(飛瀧)신사)을 모시고 오쿠니누시노미고토(大主命)라는 신을 시작으로 한 12명의 신들을 우러르게 되었다. 나중에 진도쿠(仁) 천황 시대(약 4세기 초반)에 이 신전을 나치(那智)산 중턱으로 옮겨 세우고 그곳으로 신들을 안치했는데, 12명의 신들이 1년에 한 번(7월 14일) 원래의 신전인 나치의 오타키 폭포 앞으로 돌아가게 되었고, 그 날을 제사지내는 것이 바로 나치의 히마츠리이다.
앞서 원래 명칭이 「오우기마츠리」라고 했는데, 오우기(扇)란 \"부채\"라는 일본어이다. 옛날에는 부채가 신의 몸이라는, 즉 부채를 몸 삼아 신들이 영엄한 일을 한다는 신앙이 널리 퍼져있었다. 그런 연유로 지금까지도 제례행사나 예능활동에 부채를 사용하는 일이 많고, 「나치의 히마츠리」에서도 그 신앙을 바탕으로 12명의 신을 모신 가마에 부채를 사용하고 있다. 부채신위가마는 폭이 1미터, 길이 6미터의 가늘고 긴 삼나무 판자로 만들어졌는데, 둥근 태양이 그려진 부채와 백동경이 장식되어 있고 붉은색을 띄어 그 모습이 매우 신령스럽다. 행사는 당일 11시부터 거행된다. 12개의 부채에 몸을 담은 구마노(熊野) 신들을 모신 가마를 12개의 오타이마츠가 맞이하러 간다. 오타이마츠에 하나씩 불을 붙여 나가면 이를 들고있는 사람들과 그들을 보조하는 곁꾼들의 소리에 살기가 넘친다. 오타이마츠를 태우는 이유는 나쁜 것을 태워 깨끗하게 하려는 것으로, 신을 모시기 위해 청렴하게 하는 절차이다. 드디어 활활 타오르는 12개의 오타이마츠가 부채신위가마를 맞이하면서 히로신사 경내를 나가기 시작한다. 오타이마츠는 50킬로그램이 넘는 무게로, 그 중량과 화염의 기세에 눌리지 않고 다이류(大龍)까지 나아가는 모습은 매우 용맹무쌍하다.
부채신위가마의 출발에 앞서 거행되는 무용도 볼만한데, 일본의 중요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된 덴가쿠무(田樂舞)도 있다.
*오타이마츠(大松明) : 다이마츠는 횃불로, 불을 붙이기 위해 소나무나 대나무 가지, 또는 마른 나뭇가지를 엮어 다발로 만든 것이다. 오타이마츠는 크게 만든 것으로, 대(大)자를 붙여 일컫는 말이다.
3.9 하카타기온야마가사(博多祇圓山笠. 행사일: 7월1일부터 15일)
매년 7월 1일∼15일에 행해지고 있으며, 700년 이상의 전통을 지닌 하카타 최대의 축제이고 남자마츠리이다. 가마쿠라(鎌倉) 때 하카타에서 유행했던 병마 퇴치를 기원했던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때에는 시내 중심가의 상점가에 높이 16m의 호화찬란한 \'가자리야마가사(飾り山笠)\'가 장식되어지며, 마지막 날에 행해지는 \"오이야마(追山)\"는 무게 1톤의「카키야마(山)」를 짊어지고 쫓고 쫓기는 치열한 경주를 펼치는 것이다. 축제의 개막은 호화스러운 하카타 인형을 장식한 「카자리야마(飾り山)」를 일제히 공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예전에는 10톤에 가까운 「카자리야마」를 짊어졌었지만 요즘에는 「카자리야마」용의 축소판인 「카키야마」가 만들어져 후반의 주역이 되었다. 12일은 실제 코스를 달리는「오이야마나라시(追山ならし)」가 열린다. 13일에는 시내의 대로를 달려 시청 앞까지 이르는 「슈우단야마미세(集團山見せ)」가 행해진다. 마지막 날에는 즐전신사(櫛田神社)에 모인「카키야마」가 각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큰북소리와 함께 일제히 출발한다. 골 지점까지 5km를「으
이 중 하이라이트인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의 풍물을 소개하는 TV 프로그램에서 가끔 볼 수 있는 지름 1m, 길이 16m, 무게 12톤에 달하는 거대한 나무를 타고 경사 30도의 급한 비탈에서 거목을 떨어뜨리는 기오토시(木落し)가 매우 유명하다.
TV를 통해 전국에 방영될 만큼 유명하며, 부상자는 물론이고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위험하기 그지없지만 「온바시라마츠리」가 열리는 2달 동안은 스와 인근은 거의 정열의 도가니가 된다. 이 외에도 하천을 건너는 가와오코시(川越し), 기둥을 신사에 세우는 다테온바라(建御柱)등 매우 볼거리가 많다.
3.6 하카다돈타쿠(博多どんたく 행사일: 5월3일부터 4일)
돈타쿠란 네덜란드어 Zondag에서 전래된 말로 휴일이란 의미가 있다.5월 3일-4일 후쿠오카시(福岡市)의 하카타(博多)에서 행해지는 시민축제로 남녀노소가 3-4일 샤모지(シャモジ)를 두드리며 행진한다. 칠복신(七福神)의 에비스(惠比壽), 다이코쿠(大黑)등으로 가장한 사람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그 외 여러 가지 예술행사가 열린다. 또 이 날은「본치카아이야, 넨네시나(ぼんちかわいや,ねんねしな)」라는 노래로, 이 마츠리 로 시 전체가 들끓는다고 한다. 옛날에는 마쯔바야시라고도 했으며 약400년 전 하카다 상인이 축전영주(築前領主)가 있는 성에 3복신, 어린아이, \"토오리몬(通りもん:행운을 기원하며 걷는 모습, 형태)\"으로 이뤄진 「마쯔바야시(松ばやし: 솔잎)」를 준비해서 신년인사를 갔었던 것에서 유래된 것 이지만,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토오리몬」이 주민들 사이에서 자유스러운 인사법으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3.7 치노와 신지(茅の輪神事 행사일: 6월30일)
6월 30일 전국각지의 신사에서 행해진다.
사람을 본떠 만든 종이인형에 이름과 나이를 쓴 후 입김을 불어넣는다. 또는 몸 상태가 좋지 않은 부분을 인형으로 문지른다. 그러면 인형이 대신하여 여름철 액막이를 해준다고 하는 신앙이다. 참배하는 사람에게 띠로 만든 동그라미 속(치노와)을 빠져나가게 하여 액막이를 해준다. 옛날 스사노오노미코토(須左之男命)가 하룻밤의 숙소를 마련해준 소민소라이(蘇民將來)에게 치노와를 허리에 차면 여름의 좋지 않은 병을 막을 수 있다고 가르쳐 준 전설에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3.8 나치노히마츠리(那智の火祭. 행사일: 7월14일)
일본의 3대 불 마츠리 중 하나인 와카야마(和歌山), 나치(那智)의 히마츠리(火祭:불대제)는 매년 7월 14일에 거행 되는 연례대제로, 원래는 음력 6월 14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호장한 오타이마츠(大松明)를 태워「나치의 히마츠리」라고 이름 붙여진 것이나, 원래 정식명칭은「오우기마츠리(扇祭)」이다.
옛날 진무(神武)천황이 정벌을 위해 나치(那智)의 오타키(大)폭포에서 제를 올릴 때 번뜩 영감이 떠올라, 폭포에 신전(:지금의 히로(飛瀧)신사)을 모시고 오쿠니누시노미고토(大主命)라는 신을 시작으로 한 12명의 신들을 우러르게 되었다. 나중에 진도쿠(仁) 천황 시대(약 4세기 초반)에 이 신전을 나치(那智)산 중턱으로 옮겨 세우고 그곳으로 신들을 안치했는데, 12명의 신들이 1년에 한 번(7월 14일) 원래의 신전인 나치의 오타키 폭포 앞으로 돌아가게 되었고, 그 날을 제사지내는 것이 바로 나치의 히마츠리이다.
앞서 원래 명칭이 「오우기마츠리」라고 했는데, 오우기(扇)란 \"부채\"라는 일본어이다. 옛날에는 부채가 신의 몸이라는, 즉 부채를 몸 삼아 신들이 영엄한 일을 한다는 신앙이 널리 퍼져있었다. 그런 연유로 지금까지도 제례행사나 예능활동에 부채를 사용하는 일이 많고, 「나치의 히마츠리」에서도 그 신앙을 바탕으로 12명의 신을 모신 가마에 부채를 사용하고 있다. 부채신위가마는 폭이 1미터, 길이 6미터의 가늘고 긴 삼나무 판자로 만들어졌는데, 둥근 태양이 그려진 부채와 백동경이 장식되어 있고 붉은색을 띄어 그 모습이 매우 신령스럽다. 행사는 당일 11시부터 거행된다. 12개의 부채에 몸을 담은 구마노(熊野) 신들을 모신 가마를 12개의 오타이마츠가 맞이하러 간다. 오타이마츠에 하나씩 불을 붙여 나가면 이를 들고있는 사람들과 그들을 보조하는 곁꾼들의 소리에 살기가 넘친다. 오타이마츠를 태우는 이유는 나쁜 것을 태워 깨끗하게 하려는 것으로, 신을 모시기 위해 청렴하게 하는 절차이다. 드디어 활활 타오르는 12개의 오타이마츠가 부채신위가마를 맞이하면서 히로신사 경내를 나가기 시작한다. 오타이마츠는 50킬로그램이 넘는 무게로, 그 중량과 화염의 기세에 눌리지 않고 다이류(大龍)까지 나아가는 모습은 매우 용맹무쌍하다.
부채신위가마의 출발에 앞서 거행되는 무용도 볼만한데, 일본의 중요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된 덴가쿠무(田樂舞)도 있다.
*오타이마츠(大松明) : 다이마츠는 횃불로, 불을 붙이기 위해 소나무나 대나무 가지, 또는 마른 나뭇가지를 엮어 다발로 만든 것이다. 오타이마츠는 크게 만든 것으로, 대(大)자를 붙여 일컫는 말이다.
3.9 하카타기온야마가사(博多祇圓山笠. 행사일: 7월1일부터 15일)
매년 7월 1일∼15일에 행해지고 있으며, 700년 이상의 전통을 지닌 하카타 최대의 축제이고 남자마츠리이다. 가마쿠라(鎌倉) 때 하카타에서 유행했던 병마 퇴치를 기원했던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때에는 시내 중심가의 상점가에 높이 16m의 호화찬란한 \'가자리야마가사(飾り山笠)\'가 장식되어지며, 마지막 날에 행해지는 \"오이야마(追山)\"는 무게 1톤의「카키야마(山)」를 짊어지고 쫓고 쫓기는 치열한 경주를 펼치는 것이다. 축제의 개막은 호화스러운 하카타 인형을 장식한 「카자리야마(飾り山)」를 일제히 공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예전에는 10톤에 가까운 「카자리야마」를 짊어졌었지만 요즘에는 「카자리야마」용의 축소판인 「카키야마」가 만들어져 후반의 주역이 되었다. 12일은 실제 코스를 달리는「오이야마나라시(追山ならし)」가 열린다. 13일에는 시내의 대로를 달려 시청 앞까지 이르는 「슈우단야마미세(集團山見せ)」가 행해진다. 마지막 날에는 즐전신사(櫛田神社)에 모인「카키야마」가 각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큰북소리와 함께 일제히 출발한다. 골 지점까지 5km를「으
추천자료
[생활대]-일본음식의 역사
지역축제의 관광상품 현황및 향후방안 (하동야생차축제를 중심으로)
샷포르 눈꽃축제와 우리나라 눈꽃축제와 비교후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역축제] 춘천 국제마임 축제
[세계의 축제][한국의 축제][축제][축제 사례][이벤트][관광상품][문화관광상품][지역축제][...
[축제, 이색축제, 축제 발전 전략] 세계의 이색축제와 국내 축제를 통해본 축제 발전 전략 - ...
[축제][한국축제]세계 각국의 축제를 통해본 한국축제의 현주소와 활성화 방안(축제의 성격과...
[2008 방송대 세계의풍속과문화]대항해시대 온라인게임으로 살펴본 일본인의 특징적성향 분석...
한국축제와 세계축제
을사늑약 100년, 그때 일본이 탄생했다 - 제1편 러일전쟁
[경기도 과천시][경기도][과천시][과천][지명유래][공연인프라][과천시 성장][과천시 축제][...
[국제][국제방송][국제관광][국제꽃박람회][국제영화제][국제축제][국제페스티벌][방송][관광...
삿포로 눈축제 (さっぽろ雪まつり) - 홋카이도 삿포로, 삿포로 눈축제 역사와 발전 과정 및 ...
[축제 활성화 사업계획서] 축제 서비스 사업계획서 - 축제 활성화 사업계획서, 축제 활성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