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의 원리
제 2절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자의 자세
제 3절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유형
제 4절 문제해결을 위한 질문 기법
제 5절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의 기법
제 2절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자의 자세
제 3절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유형
제 4절 문제해결을 위한 질문 기법
제 5절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의 기법
본문내용
가셔서 밤에 잠을 주무시겠죠. 그런데 자는 동안에 기적이 일어나 지금 가지고 있는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다고 상상해 봅시다. 하지만 자는 동안에 기적이 일어났기 때문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아무도 모르지요. 아침에 일어나서 무엇을 보면 기적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③ 질문 후, 기적이 일어난 상황을 상세히 묘사하도록 요청하여 희망을 갖게 함
④ 기적이 일어나 변화된 가족의 행동을 상상하게 하여 해결책을 탐색함
2) 대처질문
① 많은 가족들이 문제에 성공적으로 대처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인식할 때 희망과 가능성을 경험함
② 문제와 역경을 극복한 방법과 더 나빠지지 않을 수 있었던 노력을 발견하고 이를 간접적으로 칭찬함
③가족은 자신의 능력을 깨닫고 계속 노력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함
-예 :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잘 견뎌왔는데, 어떻게 그럴 수 있었나요?
>> 관계성질문과 악몽질문
1) 관계성 질문
① 자신에게 집중하다보면 다른 사람의 관점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음
② 타인의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
③ 다른 사람의 관점, 생각, 감정, 반응 등을 이해하고 타인을 관찰하며 가족에서 자신의 행동, 위치를 살펴보게 함
-예 : 어머니가 이 얘기를 듣는다면 뭐라고 하실까요?
남편은 무엇이 좀 변하면 문제가 해결 될 것이라고 말씀하실까요?
-치료에 참석하지 않은 구성원의 관점과 생각 등을 질문함으로써 문제를 가족관계 속에서 생각해보게 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함
2) 악몽질문
① 문제중심적 질문으로 변화에 대한 질문, 예외질문, 기적질문 등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
-예 : 오늘 밤에 잠자리에 들었는데 악몽을 꾼다고 가정합시다. 악몽은 바로 당신의 문제가 감자기 더욱 나빠진 겁니다. 내일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악몽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무엇을 보면 악몽이 현실로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② 질문에 대한 답을 들은 후 대처질문을 하거나 원하는 변화에 대해 질문할 수 있음
③ 내담자와 치료자 간 친밀감과 신뢰가 형성된 후 사용할 것
-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의 기법인 기적질문, 대처질문, 관계성질문은 문제가 해결된 상황을 구체화하고 강점과 자원 발견을 촉진하며 타인의 관점 이해를 돕는 해결중심적 질문이다
- 악몽질문은 해결중심적 질문으로 목표 설정과 해결책 탐색이 촉진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치료자와 내담자 간 신뢰가 형성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③ 질문 후, 기적이 일어난 상황을 상세히 묘사하도록 요청하여 희망을 갖게 함
④ 기적이 일어나 변화된 가족의 행동을 상상하게 하여 해결책을 탐색함
2) 대처질문
① 많은 가족들이 문제에 성공적으로 대처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인식할 때 희망과 가능성을 경험함
② 문제와 역경을 극복한 방법과 더 나빠지지 않을 수 있었던 노력을 발견하고 이를 간접적으로 칭찬함
③가족은 자신의 능력을 깨닫고 계속 노력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함
-예 :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잘 견뎌왔는데, 어떻게 그럴 수 있었나요?
>> 관계성질문과 악몽질문
1) 관계성 질문
① 자신에게 집중하다보면 다른 사람의 관점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음
② 타인의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
③ 다른 사람의 관점, 생각, 감정, 반응 등을 이해하고 타인을 관찰하며 가족에서 자신의 행동, 위치를 살펴보게 함
-예 : 어머니가 이 얘기를 듣는다면 뭐라고 하실까요?
남편은 무엇이 좀 변하면 문제가 해결 될 것이라고 말씀하실까요?
-치료에 참석하지 않은 구성원의 관점과 생각 등을 질문함으로써 문제를 가족관계 속에서 생각해보게 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함
2) 악몽질문
① 문제중심적 질문으로 변화에 대한 질문, 예외질문, 기적질문 등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
-예 : 오늘 밤에 잠자리에 들었는데 악몽을 꾼다고 가정합시다. 악몽은 바로 당신의 문제가 감자기 더욱 나빠진 겁니다. 내일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악몽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무엇을 보면 악몽이 현실로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② 질문에 대한 답을 들은 후 대처질문을 하거나 원하는 변화에 대해 질문할 수 있음
③ 내담자와 치료자 간 친밀감과 신뢰가 형성된 후 사용할 것
-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의 기법인 기적질문, 대처질문, 관계성질문은 문제가 해결된 상황을 구체화하고 강점과 자원 발견을 촉진하며 타인의 관점 이해를 돕는 해결중심적 질문이다
- 악몽질문은 해결중심적 질문으로 목표 설정과 해결책 탐색이 촉진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치료자와 내담자 간 신뢰가 형성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천자료
동아시아의 가족주의,성,공동체
[성심리,성윤리]스와핑에 대한 이해
개정된 자의 성과 본 규정의 의의
라온아띠의 행복한 성 이야기
정신지체인 성교육 프로그램
[유아 성교육][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아 성교육의 목적, 유아 성교육의 중요성, 유아 성교...
<한국사회 내 전통적인 성역할 모델이 현대 여성의 직업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
자신이 생각하는 21세기 성역할에 대해 기술
2017년 성사랑사회E형] 한국사회에서 엄마역할을 하면서 겪게되는 어려움, 한국사회가 엄마들...
[성, 사랑, 사회 A형] 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이 겪는 어려움 가운데 여성이라서 겪게 되는...
[성사랑사회 D형] 한국 사회에서 이주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들의 경험을 통해...
척수 손상 환자의 성재활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