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간 교육 계획 (만 5세)
월간교육계획안 (11월)
주간 교육계획안 (11월 3주, 11/20~11/25)
일일 교육 계획안 (○○. 11월 3주 11/20-월)
활동의 개관
본시학습 지도안
월간교육계획안 (11월)
주간 교육계획안 (11월 3주, 11/20~11/25)
일일 교육 계획안 (○○. 11월 3주 11/20-월)
활동의 개관
본시학습 지도안
본문내용
지도
음률 활동
(13:00 ~ 13:15)
울어요(노래 부르기)
정리 및
화장실 다녀오기
(13:15 ~ 13:20)
화장실 다녀오기
이야기 나누기
(13:20 ~ 13:40)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
미술 활동
(13:40 ~ 14:00)
먹고 모아 두었던 우유곽으로 저금통 만들기
손씻기 및 화장실
다녀오기
(14:00 ~ 14:10)
활동중 나오는 쓰레기를 버리고 손을 씻도록 한다.
언어 영역
(14:10 ~ 14:25)
지구 여행(동시)
하루일과 평가
(14:25 ∼ 14:40)
오늘은 어떤 놀이를 계획했었니?
오늘은 어떤 놀이를 했었니?
오늘 하루 일과 중 가장 즐거웠던 활동은?
오늘 좋았던 일과 속상했던 일은?
귀가지도
(14:40 ~)
안전하게 귀가지도 한다.
활동의 개관
1. 일시 : 20○○. 11 / 20 (월)
2. 생활주제 : 지구와 환경 - 우리 환경
3. 생활주제 선정의 이유
좋은 환경은 우리의 생활을 풍요롭게 해 준다는 사실과 현재 유리의 환경은 생존에 위협을 줄 정도로 오염되었으며,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환경 보호를 유아기부터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됨 을 인식하도록 하기위해 ‘우리 환경’의 주제를 선정 한다.
4. 대상 : 만 5세
5. 예상 소요 시간 : 약 20분
6. 수업자 : ○○○
7. 소주제 :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
8. 주제의 개관
이 제재의 지도요소는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이다.
유아들로 하여금 버린 쓰레기를 줍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서 어떻게 하면 쓰레기 양을 줄이는 일 일까 생각해 보고 직접 체험을 통해 쓰레기의 양을 줄여 보기와 분리수거해 보기를 통해 자원을 절약하는 습관이 정착되도록 하는데 까지 지도한다.
9. 주제의 목표
가.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된다는 사실을 알고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 다.
나. 자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려는 태도를 갖는다.
10. 지도상의 유의점
가. 쓰레기 처리는 단순히 줍는 단계를 벗어나 바르게 분리하여 수거하는 습관화까지 지도하여야 한다.
나. 쓰레기는 물론 물, 공기, 흙을 오염시켜 생태계를 파괴시키므로 바르게 처리하여야 함을 인 지시키도록 한다.
다. 쓰레기를 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 이를 실습을 통해 몸에 배도록 지도하여야 한 다.
본시학습 지도안
일 시
20○○. 11 / 20(월)
대상
여 : 12명, 남 : 9명
합 : 21명
지 도
교 사
○○○
생 활
주 제
지구와 환경
활동명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
활 동
영 역
이야기 나누기
예상소요시간
약 20분
대상 연령
만 5 세
활 동
형 태
대집단 활동
준 비 물
지구 그림(우는표정, 웃는표정), 사진자료 4개, 폐 건전지, 실물화상기, 쓰레기 분리 수거통 4개, 쓰레기 실물 축소 사진 자료, 페이퍼, 숫자 스티커, 쓰레기 그림자료, 활동판.
활동 목표
환경의 소중함을 안다.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다.
교육 과정
관련 요소
언어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사회생활 : 사회현상과 환경 - 환경 보전에 관심 가지기
활동 과정
활 동 내 용
비 고
인 사
교사는 유아와 간단히 인사를 나눈다.
도 입
지구캐릭터를 의인화하여 주의집중에 도입한다.
- 오늘 우리 교실에 어떤 친구가 찾아왔데요. 그 친구가 우리 친구들에게 할 얘기가 있다고 하는데 우리 조용히 하고 들어 봐요.
- (지구가 흐느끼며 말한다.)
얘들아, 안녕! 난 지구야. 으흐흑 ㅠ.ㅠ
(응! 안녕? 왜울어?)
- 내가 지금 너무 아파.
(왜?)
- 지구에 사는 사람들이 아무 곳에나 마구 버린 쓰레기 때문 이야. 너희들이 날 도와 주겠니?
(어떻게 해야 되는데?)
- 많은 방법이 있는데 우리 친구들이 길이나 강가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바르게 버려줬으면 좋겠어. 할 수 있겠니?
(어떻게 하는 건데?)
- 그건 선생님이 가르쳐 주실거야. 너무 아파서 좀 쉬어야 할 것 같아. 내가 건강해지면 다시 보자. 미안. 안녕!
지구 그림 자료
(우는 표정)
전 개
환경 오염의 원인을 아이들과 자유롭게 이야기 나눈다.
- 지금 지구가 많이 아프다고 해요. 왜 아프다고 했는지 생각나나 요?
- 사람들이 쓰레기를 아무데나 버리면 왜 지구가 아픈지 아는 친구 말해볼까?
- 그럼 지구 친구가 아프지 않도록 하려면 우리 친구들이 어떻게 해 야 하는지 선생님이 알려줄까요?
환경 오염 실태를 유아들에게 인식 시킨다.
- 먼저 선생님과 사진 한 장 같이 보자.
(바다에 쓰레기들이 널려있는 사진을 보여주며) 무슨 사진 같아요?
(수질오염 결과로 물고기가 죽은 사진을 보여주며) 이것이 어떤 사진인 것 같니?
- 왜 죽었을까?
- 맞아요. 왜 오염이 된걸까?
- 그래? 그럼 사진 한 장 더 보고 선생님이 알려 줄게. (오염된 물 고기를 먹은 새의 사진과 건강한 모습의 새 사진을 함께 보여주며) 이것은 무슨 사진 이에요?
- (건강한 새의 모습과 비교하며) 이 사진과 옆에 사진을 비교했을 때 부리 색깔이 어때요? 건강해 보이나요?
- 친구들이 잘 봤어요.
- 자, 그럼 우리 친구들 (건전지를 보여주며) 이것이 무엇인지 아는 친구?
- 맞아요. 어디에 사용되는지 본 적 있니?
(시계, 장난감, 가스렌지, 라디오, 리모콘 등등)
- 이런 건전지가 그냥 아무곳에나 버려지면 남아 있는 내용물 때문에 물고기도 죽고 그런 물고기를 먹은 새가 아프게 되는 거에요.
- 그럼, 우리 친구들 밥 반찬으로 생선 먹은 적 있나요?
- 만약에 저렇게 오염된 물 속에서 자란 고기를 우리가 먹는다면 우 리는 어떻게 될까요?
- 맞아요. 이 사진에서 보는 새처럼 우리도 아프게 되고 OO 말처럼 죽을지도 몰라요. 그렇지만 분리해서 바르게 버리면 새도 그렇고 우리도 아프지 않게되요. 지금부터 선생님과 방법을 한 번 알아 보 도록 해요.
환경 오염의 인과관계를 간단히 말하고 예방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중 하나가 쓰레기 분리 배출임을 알려준다.
- 먼저 OO도 쓰레기를 버리고 OO도 버린 쓰레기는 다 모아서 어 디로 갈 것 같아요?
- 친구들 말이 맞아요. 더 자세하게 말하면 일반 쓰레기는 태우거나 땅 속에 묻어요. 그래서 땅 속에서
음률 활동
(13:00 ~ 13:15)
울어요(노래 부르기)
정리 및
화장실 다녀오기
(13:15 ~ 13:20)
화장실 다녀오기
이야기 나누기
(13:20 ~ 13:40)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
미술 활동
(13:40 ~ 14:00)
먹고 모아 두었던 우유곽으로 저금통 만들기
손씻기 및 화장실
다녀오기
(14:00 ~ 14:10)
활동중 나오는 쓰레기를 버리고 손을 씻도록 한다.
언어 영역
(14:10 ~ 14:25)
지구 여행(동시)
하루일과 평가
(14:25 ∼ 14:40)
오늘은 어떤 놀이를 계획했었니?
오늘은 어떤 놀이를 했었니?
오늘 하루 일과 중 가장 즐거웠던 활동은?
오늘 좋았던 일과 속상했던 일은?
귀가지도
(14:40 ~)
안전하게 귀가지도 한다.
활동의 개관
1. 일시 : 20○○. 11 / 20 (월)
2. 생활주제 : 지구와 환경 - 우리 환경
3. 생활주제 선정의 이유
좋은 환경은 우리의 생활을 풍요롭게 해 준다는 사실과 현재 유리의 환경은 생존에 위협을 줄 정도로 오염되었으며,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환경 보호를 유아기부터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됨 을 인식하도록 하기위해 ‘우리 환경’의 주제를 선정 한다.
4. 대상 : 만 5세
5. 예상 소요 시간 : 약 20분
6. 수업자 : ○○○
7. 소주제 :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
8. 주제의 개관
이 제재의 지도요소는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이다.
유아들로 하여금 버린 쓰레기를 줍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서 어떻게 하면 쓰레기 양을 줄이는 일 일까 생각해 보고 직접 체험을 통해 쓰레기의 양을 줄여 보기와 분리수거해 보기를 통해 자원을 절약하는 습관이 정착되도록 하는데 까지 지도한다.
9. 주제의 목표
가.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된다는 사실을 알고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 다.
나. 자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려는 태도를 갖는다.
10. 지도상의 유의점
가. 쓰레기 처리는 단순히 줍는 단계를 벗어나 바르게 분리하여 수거하는 습관화까지 지도하여야 한다.
나. 쓰레기는 물론 물, 공기, 흙을 오염시켜 생태계를 파괴시키므로 바르게 처리하여야 함을 인 지시키도록 한다.
다. 쓰레기를 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 이를 실습을 통해 몸에 배도록 지도하여야 한 다.
본시학습 지도안
일 시
20○○. 11 / 20(월)
대상
여 : 12명, 남 : 9명
합 : 21명
지 도
교 사
○○○
생 활
주 제
지구와 환경
활동명
쓰레기 바르게 처리하기
활 동
영 역
이야기 나누기
예상소요시간
약 20분
대상 연령
만 5 세
활 동
형 태
대집단 활동
준 비 물
지구 그림(우는표정, 웃는표정), 사진자료 4개, 폐 건전지, 실물화상기, 쓰레기 분리 수거통 4개, 쓰레기 실물 축소 사진 자료, 페이퍼, 숫자 스티커, 쓰레기 그림자료, 활동판.
활동 목표
환경의 소중함을 안다.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다.
교육 과정
관련 요소
언어생활 : 말하기 - 경험, 생각, 느낌 말하기
사회생활 : 사회현상과 환경 - 환경 보전에 관심 가지기
활동 과정
활 동 내 용
비 고
인 사
교사는 유아와 간단히 인사를 나눈다.
도 입
지구캐릭터를 의인화하여 주의집중에 도입한다.
- 오늘 우리 교실에 어떤 친구가 찾아왔데요. 그 친구가 우리 친구들에게 할 얘기가 있다고 하는데 우리 조용히 하고 들어 봐요.
- (지구가 흐느끼며 말한다.)
얘들아, 안녕! 난 지구야. 으흐흑 ㅠ.ㅠ
(응! 안녕? 왜울어?)
- 내가 지금 너무 아파.
(왜?)
- 지구에 사는 사람들이 아무 곳에나 마구 버린 쓰레기 때문 이야. 너희들이 날 도와 주겠니?
(어떻게 해야 되는데?)
- 많은 방법이 있는데 우리 친구들이 길이나 강가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바르게 버려줬으면 좋겠어. 할 수 있겠니?
(어떻게 하는 건데?)
- 그건 선생님이 가르쳐 주실거야. 너무 아파서 좀 쉬어야 할 것 같아. 내가 건강해지면 다시 보자. 미안. 안녕!
지구 그림 자료
(우는 표정)
전 개
환경 오염의 원인을 아이들과 자유롭게 이야기 나눈다.
- 지금 지구가 많이 아프다고 해요. 왜 아프다고 했는지 생각나나 요?
- 사람들이 쓰레기를 아무데나 버리면 왜 지구가 아픈지 아는 친구 말해볼까?
- 그럼 지구 친구가 아프지 않도록 하려면 우리 친구들이 어떻게 해 야 하는지 선생님이 알려줄까요?
환경 오염 실태를 유아들에게 인식 시킨다.
- 먼저 선생님과 사진 한 장 같이 보자.
(바다에 쓰레기들이 널려있는 사진을 보여주며) 무슨 사진 같아요?
(수질오염 결과로 물고기가 죽은 사진을 보여주며) 이것이 어떤 사진인 것 같니?
- 왜 죽었을까?
- 맞아요. 왜 오염이 된걸까?
- 그래? 그럼 사진 한 장 더 보고 선생님이 알려 줄게. (오염된 물 고기를 먹은 새의 사진과 건강한 모습의 새 사진을 함께 보여주며) 이것은 무슨 사진 이에요?
- (건강한 새의 모습과 비교하며) 이 사진과 옆에 사진을 비교했을 때 부리 색깔이 어때요? 건강해 보이나요?
- 친구들이 잘 봤어요.
- 자, 그럼 우리 친구들 (건전지를 보여주며) 이것이 무엇인지 아는 친구?
- 맞아요. 어디에 사용되는지 본 적 있니?
(시계, 장난감, 가스렌지, 라디오, 리모콘 등등)
- 이런 건전지가 그냥 아무곳에나 버려지면 남아 있는 내용물 때문에 물고기도 죽고 그런 물고기를 먹은 새가 아프게 되는 거에요.
- 그럼, 우리 친구들 밥 반찬으로 생선 먹은 적 있나요?
- 만약에 저렇게 오염된 물 속에서 자란 고기를 우리가 먹는다면 우 리는 어떻게 될까요?
- 맞아요. 이 사진에서 보는 새처럼 우리도 아프게 되고 OO 말처럼 죽을지도 몰라요. 그렇지만 분리해서 바르게 버리면 새도 그렇고 우리도 아프지 않게되요. 지금부터 선생님과 방법을 한 번 알아 보 도록 해요.
환경 오염의 인과관계를 간단히 말하고 예방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중 하나가 쓰레기 분리 배출임을 알려준다.
- 먼저 OO도 쓰레기를 버리고 OO도 버린 쓰레기는 다 모아서 어 디로 갈 것 같아요?
- 친구들 말이 맞아요. 더 자세하게 말하면 일반 쓰레기는 태우거나 땅 속에 묻어요. 그래서 땅 속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