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암석학 용어정리
[1] 가시풀 조직(Spinifex) ~ 흑요석(암)(obsidian)…………………………………01
[2] 가상의(pseudomorphic) ~ 후기 지표 속성 작용(telogenesis)…………………20
[3] 가상 상평형도(pseudo-phase diagram) ~ L 텍토나이트(L-tectonite)…………36
[1] 가시풀 조직(Spinifex) ~ 흑요석(암)(obsidian)…………………………………01
[2] 가상의(pseudomorphic) ~ 후기 지표 속성 작용(telogenesis)…………………20
[3] 가상 상평형도(pseudo-phase diagram) ~ L 텍토나이트(L-tectonite)…………36
본문내용
나타나며 층상규산염 광물을 포함하는 세립질의 기질내에 은정 및 반상쇄정이 10% 이하인 엽리상 변성암
초압쇄 조직(ultramylonitic texture) : 현정질 내지 비현정질이며, 연성변형 및 구조동시성 재결정작용의 증거가 나타나고, 은정과 반상쇄정이 10% 이하인 엽상에서 반상쇄정질 엽상의 변성 조직
초염기성암
- ultrabasic rock : SiO2의 양이 45% 이하인 암석
- ultramafic rock : 색지수가 90~100인 어두운 암석
취성변형(brittle deformation) : 물질들이 5%의 전단력에 도달하기 전에 입자가 부숴지는 변형
케라토피어(Keratophyre) : 나트륨질의 변성화산암으로 안산암류와 유사한 화학조성을 갖으며 조장석, 방해석, 석영, 녹염석, 녹니석을 포함한다.
켈피킥 테두리(kelphytic rim) : 석류석이나 감람석이 각섬석, 휘석 혹은 이 두 광물의 집합체에 의해 테두리진 코로나 조직
켈피틱(kelphytic) : 석류석, 감람석 주변에 발달된 코로나 조직이나 이러한 조직을 포함하는 암석조직을 기술하는 용어
코로나(corona) : 중심 광물 주변에 고리형태로 성장한 광물들. 이중 일부는 방사성 형태로 성장하기도 한다. 이들 일부는 중심광물과 기질의 반응 경계이다.
코로나 조직(coronitic texture) : 조립 입자가 세립 입자로 둘러싸인 조직
타형변정질 입상 조직(allotrioblastic-granular texture) : 입자크기가 유사하며 타형인 입자들에 의해 특정지어지는 변성암 조직
타형변정질 조직(allotrioblastic texture) : 타형 입자로 특징지워지는 변성암 조직
텍토나이트 석리(tectonite fabric) : 암석의 변형사를 반영하는 조직이나 구조
텍토나이트(tectonite) : 변형의 역사를 보여주는 조직을 갖는 암석
파쇄 각력암(cataclastic breccia) : 세립으로 부숴진 입자로 이루어진 기질 내에 1/16mm보다 큰 반지름을 갖는 각진 암편이 나타나는 비엽리상의 동력변성암. 파쇄 각력암은 단층대에서 형성된다.
파쇄암(cataclasite) : 세립질의 기질 내에 각진 암편이 나타나는 비엽리상의 변성암. 여기서 기질과 암편은 유사한 물질이다.
파쇄작용(cataclasis) : 암석 내의 입자들을 갈고 부수는 작용
파쇄 조직(cataclastic texture) : 부숴진 암석과 광물로 특징지워지는 비엽리상의 변성 조직. 엽리상의 파쇄조직은 파쇄조직과 압쇄 조직의 전이 형태이다.
편마구조(gneissic structure) : 1mm에서 1m의 두께를 갖는 변성기원의 층이나 띠로 구성된 구조
편마상 조직(gneissose texture) : 성분이 서로 다른 띠의 호층으로 특징지어지는 변성 조직으로서 이들 중 일부는 광물의 정향성 배열에 의해 특지지어진다.
편마암(gneiss) : 성분이 서로 다른 EL의 호층을 보여주며 편편한 엽리가 발달된 변성암으로 이들 중 일부는 광물의 정향성 배열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편암(schist) : 많은 층상규산염 광물과 침상 광물을 포함하는 현정질 엽리상 변성암
편압(deviatoric stress) : 특정 방향성을 갖으며 정압이나 평균 압력을 초과하는 전단력
포이킬로변정질 조직(poikiloblastic texture) : 거정의 광물이 여러 세립의 광물을 포획하고 있는 변성 조직
표식 광물(critical mineral) : 반응식과 안정 영역이 알려진 광물로서 이들은 변성상간 혹은 변성대간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표식 광물 조합(critical mineral assemblage) : 반응식과 안정영역이 알려진 광물 조합으로 이들은 변성대간 혹은 변성상간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프란시스칸형 변성상 계열(Franciscan-type Facies Series) : 캘리포니아 프란시스칸 복합체의 암석들에 의해 대표되는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의 변성상들의 연속체. 여기서는 경옥질 휘석과 로소나이트가 중요 혹은 표식광물이다.
프레나이트-펌펠이라이트상(Prehnite-Pumpellyite Facies) : P = 1-3kb, T = 200-350℃의 환경에서 결정화된 광물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변성암체. 이 이름은 변성 작용시 앞에 제시된 압력-온도 조건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헬리시틱 조직(helicitic texture) : 반상변정이나 포이킬리틱 입자 내에 작은 포획물들이 나선형 혹은 습곡의 형태로 배열된 변성 조직
형상 정향성(Shape preferred orientation, SOP) : 신장된 혹은 판상의 광물이 동일 방향으로 배열된 조직
호온펠스(hornfels) : 접촉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된 다이아블라스틱 혹은 입상변정질 조직을 보여주는 세립질의 어두운 색의 암석
혼블랜드 호온펠스상(Hornblende Hornfelse Facies) : P = 0-3kb, T = 400-575℃의 조건에서 결정작용을 받은 광물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변성암체. 이 이름은 변성작용시 앞에 제시된 압력-온도 조건을 지시하기도 한다.
화강암화 작용(granitization) : 이온의 확산 현사에 의한 변성과정에 의해 석영과 알칼리 장석을 함유하는 반자형 입상 조직의 현정질 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
회복(recovery) : 많이 변형된 입자가 재결정작용 혹은 내부의 조직 변화를 통해 결정 내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작용
회색질부(mesosome) : 미그마타이트에 수반되는 중간 밝기 색을 보여주는 변성암
후퇴변성작용(retrograde metamorphism) : 압력-온도 경로가 지표의 조건에 가까워지는 변성작용
휘석 호온펠스상(Pyroxene Hornfels Facies) : P = 0-4kb, T = 550-750℃의 환경에서 결정화된 광물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변성암체. 이 이름은 변성작용시 앞에 제시된 압력-온도 조건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ACF 변성상도(ACF diagram) : 변성암석학에서 사용되는 삼각형의 가상 상평형도. A 꼭지점은 알루미늄질 광물이나 성분을, C 꼭지점은 C
초압쇄 조직(ultramylonitic texture) : 현정질 내지 비현정질이며, 연성변형 및 구조동시성 재결정작용의 증거가 나타나고, 은정과 반상쇄정이 10% 이하인 엽상에서 반상쇄정질 엽상의 변성 조직
초염기성암
- ultrabasic rock : SiO2의 양이 45% 이하인 암석
- ultramafic rock : 색지수가 90~100인 어두운 암석
취성변형(brittle deformation) : 물질들이 5%의 전단력에 도달하기 전에 입자가 부숴지는 변형
케라토피어(Keratophyre) : 나트륨질의 변성화산암으로 안산암류와 유사한 화학조성을 갖으며 조장석, 방해석, 석영, 녹염석, 녹니석을 포함한다.
켈피킥 테두리(kelphytic rim) : 석류석이나 감람석이 각섬석, 휘석 혹은 이 두 광물의 집합체에 의해 테두리진 코로나 조직
켈피틱(kelphytic) : 석류석, 감람석 주변에 발달된 코로나 조직이나 이러한 조직을 포함하는 암석조직을 기술하는 용어
코로나(corona) : 중심 광물 주변에 고리형태로 성장한 광물들. 이중 일부는 방사성 형태로 성장하기도 한다. 이들 일부는 중심광물과 기질의 반응 경계이다.
코로나 조직(coronitic texture) : 조립 입자가 세립 입자로 둘러싸인 조직
타형변정질 입상 조직(allotrioblastic-granular texture) : 입자크기가 유사하며 타형인 입자들에 의해 특정지어지는 변성암 조직
타형변정질 조직(allotrioblastic texture) : 타형 입자로 특징지워지는 변성암 조직
텍토나이트 석리(tectonite fabric) : 암석의 변형사를 반영하는 조직이나 구조
텍토나이트(tectonite) : 변형의 역사를 보여주는 조직을 갖는 암석
파쇄 각력암(cataclastic breccia) : 세립으로 부숴진 입자로 이루어진 기질 내에 1/16mm보다 큰 반지름을 갖는 각진 암편이 나타나는 비엽리상의 동력변성암. 파쇄 각력암은 단층대에서 형성된다.
파쇄암(cataclasite) : 세립질의 기질 내에 각진 암편이 나타나는 비엽리상의 변성암. 여기서 기질과 암편은 유사한 물질이다.
파쇄작용(cataclasis) : 암석 내의 입자들을 갈고 부수는 작용
파쇄 조직(cataclastic texture) : 부숴진 암석과 광물로 특징지워지는 비엽리상의 변성 조직. 엽리상의 파쇄조직은 파쇄조직과 압쇄 조직의 전이 형태이다.
편마구조(gneissic structure) : 1mm에서 1m의 두께를 갖는 변성기원의 층이나 띠로 구성된 구조
편마상 조직(gneissose texture) : 성분이 서로 다른 띠의 호층으로 특징지어지는 변성 조직으로서 이들 중 일부는 광물의 정향성 배열에 의해 특지지어진다.
편마암(gneiss) : 성분이 서로 다른 EL의 호층을 보여주며 편편한 엽리가 발달된 변성암으로 이들 중 일부는 광물의 정향성 배열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편암(schist) : 많은 층상규산염 광물과 침상 광물을 포함하는 현정질 엽리상 변성암
편압(deviatoric stress) : 특정 방향성을 갖으며 정압이나 평균 압력을 초과하는 전단력
포이킬로변정질 조직(poikiloblastic texture) : 거정의 광물이 여러 세립의 광물을 포획하고 있는 변성 조직
표식 광물(critical mineral) : 반응식과 안정 영역이 알려진 광물로서 이들은 변성상간 혹은 변성대간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표식 광물 조합(critical mineral assemblage) : 반응식과 안정영역이 알려진 광물 조합으로 이들은 변성대간 혹은 변성상간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프란시스칸형 변성상 계열(Franciscan-type Facies Series) : 캘리포니아 프란시스칸 복합체의 암석들에 의해 대표되는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의 변성상들의 연속체. 여기서는 경옥질 휘석과 로소나이트가 중요 혹은 표식광물이다.
프레나이트-펌펠이라이트상(Prehnite-Pumpellyite Facies) : P = 1-3kb, T = 200-350℃의 환경에서 결정화된 광물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변성암체. 이 이름은 변성 작용시 앞에 제시된 압력-온도 조건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헬리시틱 조직(helicitic texture) : 반상변정이나 포이킬리틱 입자 내에 작은 포획물들이 나선형 혹은 습곡의 형태로 배열된 변성 조직
형상 정향성(Shape preferred orientation, SOP) : 신장된 혹은 판상의 광물이 동일 방향으로 배열된 조직
호온펠스(hornfels) : 접촉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된 다이아블라스틱 혹은 입상변정질 조직을 보여주는 세립질의 어두운 색의 암석
혼블랜드 호온펠스상(Hornblende Hornfelse Facies) : P = 0-3kb, T = 400-575℃의 조건에서 결정작용을 받은 광물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변성암체. 이 이름은 변성작용시 앞에 제시된 압력-온도 조건을 지시하기도 한다.
화강암화 작용(granitization) : 이온의 확산 현사에 의한 변성과정에 의해 석영과 알칼리 장석을 함유하는 반자형 입상 조직의 현정질 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
회복(recovery) : 많이 변형된 입자가 재결정작용 혹은 내부의 조직 변화를 통해 결정 내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작용
회색질부(mesosome) : 미그마타이트에 수반되는 중간 밝기 색을 보여주는 변성암
후퇴변성작용(retrograde metamorphism) : 압력-온도 경로가 지표의 조건에 가까워지는 변성작용
휘석 호온펠스상(Pyroxene Hornfels Facies) : P = 0-4kb, T = 550-750℃의 환경에서 결정화된 광물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변성암체. 이 이름은 변성작용시 앞에 제시된 압력-온도 조건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ACF 변성상도(ACF diagram) : 변성암석학에서 사용되는 삼각형의 가상 상평형도. A 꼭지점은 알루미늄질 광물이나 성분을, C 꼭지점은 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