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슬관절 손상에 대한 Test
* 측부인대 안정성 검사
* 십자인대
* 맥머리 테스트(McMurray test)
* 아프레이(Apley)의 압박 검사와 견인 검사
* 리닥숀 크릭(reduction click)
* 바운드 홈 테스트(bounce home test)
* 슬개골 압박 검사
* 슬개골 탈구와 아탈구의 불안 테스트
*티넬 징후(Tinel sign)
* 슬관절 삼출액 검사
◎ 슬관절의 내회전 위치에서의 역학적 검사
* Mc-Intosh가 제안한 검사 later Pivot Shift test
* Hughstom의 반사 실험
◎ 전십자인대의 파열을 보는 역학적 검사
* Losee 검사법
* Noyes 검사법
* Slocum 검사법
◎ 슬관절의 외회전 위치에서의 역학적 검사
* Pivot shift reverse test
* hughston의 후외방 이끌어내기 실험
* Bousquet의 외측 과잉 움직임 검사
* 외회전 전반슬 검사
* 측부인대 안정성 검사
* 십자인대
* 맥머리 테스트(McMurray test)
* 아프레이(Apley)의 압박 검사와 견인 검사
* 리닥숀 크릭(reduction click)
* 바운드 홈 테스트(bounce home test)
* 슬개골 압박 검사
* 슬개골 탈구와 아탈구의 불안 테스트
*티넬 징후(Tinel sign)
* 슬관절 삼출액 검사
◎ 슬관절의 내회전 위치에서의 역학적 검사
* Mc-Intosh가 제안한 검사 later Pivot Shift test
* Hughstom의 반사 실험
◎ 전십자인대의 파열을 보는 역학적 검사
* Losee 검사법
* Noyes 검사법
* Slocum 검사법
◎ 슬관절의 외회전 위치에서의 역학적 검사
* Pivot shift reverse test
* hughston의 후외방 이끌어내기 실험
* Bousquet의 외측 과잉 움직임 검사
* 외회전 전반슬 검사
본문내용
은 비정상적인 반사를 틀림없이 감지한다. 이것은 후십자인대가 파열되어 발생하는 대퇴골 외측과의 전방아탈구가 급격히 정복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외회전-외반-굴곡의 혼합 검사법도 똑같이 행하지만 실제로는 슬관절을 완전 신전한 위치에서 행하는 편이 좋다. 비정상 적인 반사는 슬관절을 30˚정도 굴곡한 상태에서 대퇴골 외측과가 경골관절 볼록면의 뒷경사면 위의 비정상적인 위치로 급격히 뛰어넘을 때에 감지.
이 증상이 안정되면 후십자인대의 파열이 의심.
-후외측 섬유 및 외측측부인대의 손상을 보는 검사법으로는 후십자인대의 파열이 없을 때
* hughston의 후외방 이끌어내기 실험
고관절, 슬관절을 각각 45˚, 90˚로 굴곡하고 양 발바닥을 진찰대 위에 붙여 놓는다. 발바닥 부위를 침상에 붙인 채로 두면 검사자는 환자의 슬관절의 회전을 방지하기 좋게 중간 위치로 지지할 수 있고, 외회전 15˚, 내회전 15˚위치로 바꿀수 있다. 검사자의 양손으로 경골의 상단을 잡고 위의 3가지 위치에서 하퇴를 후방으로 끈다. 마약 경골의 외측과 부분이 후외방으로 아탈구하는 것으로 내측과 부분이 그대로 있으면 이검사는 양성이다. 따라서 이 검사는 발을 외회전 위치로 행하는 진짜 회전성 이끌어내기 실험이다. 이와 같은 후외방 회전성 증상은 슬관절이 회전하지 않을 때나 내회 위치 때에는 후십자인대가 긴장하기 때문에 인정되지 않는다.
* Bousquet의 외측 과잉 움직임 검사
슬관절을 60˚로 굴곡해서 실시한다. 경골의 상단을 잡고 이것을 대퇴골과에 대해 하 및 상방으로 기울이는 힘을 가할 때 발이 외회전하면서 후방의 반사를 감지한다. 이들은 진자 외회전을 이끌어내기 검사의 한 예이다.
* 외회전 전반슬 검사
대퇴사두근을 충분히 이완시키는 아래 2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나 행할 수 있다.
① 슬관절 신전 위치에서 행하는 방법 : 하지의 힘을 빼고 발의 앞부분을 잡고 슬관절을 신전한 채로 양하퇴를검진대에서 들어올린다. 이렇게 하면 아픈쪽 다리는 외회전해서 전반슬 위치를 취한다. 이것은 경골조면의 외방으로 편위가 일어나기 때문에 나타난다. 또한 외측 경골과의 후외방 아탈구에 의해 슬관절이 내반 위치를 취한다.
②슬관절 굴곡 위치에서 행하는 방법 : 검사자는 한쪽손으로 발을 잡고 슬관절을 서서히 신전해가면 슬관절을 지지한 다른쪽 손으로 경골의 후외방아탈구를 감지함과 함께 경골조면의 외방으로의 편위와 슬관절의 전반과 내반이 인정된다.
외회전-외반-굴곡의 혼합 검사법도 똑같이 행하지만 실제로는 슬관절을 완전 신전한 위치에서 행하는 편이 좋다. 비정상 적인 반사는 슬관절을 30˚정도 굴곡한 상태에서 대퇴골 외측과가 경골관절 볼록면의 뒷경사면 위의 비정상적인 위치로 급격히 뛰어넘을 때에 감지.
이 증상이 안정되면 후십자인대의 파열이 의심.
-후외측 섬유 및 외측측부인대의 손상을 보는 검사법으로는 후십자인대의 파열이 없을 때
* hughston의 후외방 이끌어내기 실험
고관절, 슬관절을 각각 45˚, 90˚로 굴곡하고 양 발바닥을 진찰대 위에 붙여 놓는다. 발바닥 부위를 침상에 붙인 채로 두면 검사자는 환자의 슬관절의 회전을 방지하기 좋게 중간 위치로 지지할 수 있고, 외회전 15˚, 내회전 15˚위치로 바꿀수 있다. 검사자의 양손으로 경골의 상단을 잡고 위의 3가지 위치에서 하퇴를 후방으로 끈다. 마약 경골의 외측과 부분이 후외방으로 아탈구하는 것으로 내측과 부분이 그대로 있으면 이검사는 양성이다. 따라서 이 검사는 발을 외회전 위치로 행하는 진짜 회전성 이끌어내기 실험이다. 이와 같은 후외방 회전성 증상은 슬관절이 회전하지 않을 때나 내회 위치 때에는 후십자인대가 긴장하기 때문에 인정되지 않는다.
* Bousquet의 외측 과잉 움직임 검사
슬관절을 60˚로 굴곡해서 실시한다. 경골의 상단을 잡고 이것을 대퇴골과에 대해 하 및 상방으로 기울이는 힘을 가할 때 발이 외회전하면서 후방의 반사를 감지한다. 이들은 진자 외회전을 이끌어내기 검사의 한 예이다.
* 외회전 전반슬 검사
대퇴사두근을 충분히 이완시키는 아래 2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나 행할 수 있다.
① 슬관절 신전 위치에서 행하는 방법 : 하지의 힘을 빼고 발의 앞부분을 잡고 슬관절을 신전한 채로 양하퇴를검진대에서 들어올린다. 이렇게 하면 아픈쪽 다리는 외회전해서 전반슬 위치를 취한다. 이것은 경골조면의 외방으로 편위가 일어나기 때문에 나타난다. 또한 외측 경골과의 후외방 아탈구에 의해 슬관절이 내반 위치를 취한다.
②슬관절 굴곡 위치에서 행하는 방법 : 검사자는 한쪽손으로 발을 잡고 슬관절을 서서히 신전해가면 슬관절을 지지한 다른쪽 손으로 경골의 후외방아탈구를 감지함과 함께 경골조면의 외방으로의 편위와 슬관절의 전반과 내반이 인정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논문] 배뇨 실습보고서(기본간호학)
심리치료 [분석/조사]
중증 뇌성마비 장애인의 만성적인 기형상태 관리
영화 촬영 기법 조사
이마트 경영분석과 마케팅사례분석
관절염 환자간호
슬개건염(Jumper`s knee)
뇌성마비 환아 타입별 예후와 치료
방사선 치료에서 등선량분포 곡선의 이해 (의약학)
Wal-mart의 데이터웨어하우징
03. 골반 근육 (pelvic muscle)의 기시, 정지 , 작용 , TP사진, 기능적 단위 등.pptx
대퇴경부골절 케이스(Femur neck FX, 대퇴경부골절 케이스, 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대퇴경부...
[간호학] 분만 Ⅰ기 간호
소개글